-
[스페셜1]
더위에 쫄지마!
올여름 개봉하는 블록버스터를 보고 있노라니 현기증이 일 지경이다. 대재앙에 처한 지구의 연이은 아우성을 들으며 여름을 보낼 자신이 없다면 다음 방법을 추천한다. 일단,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독특한 영화제와 록 페스티벌 라인업을 꼼꼼히 체크하자. 휴가와 결합하면 단 며칠 만으로도 극강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 록 페스티벌에 관한 상세 가이드는 차우진 음악평
글: 씨네21 취재팀 │
2013-07-01
-
[스페셜1]
‘이름이 뭐예요?’(2)
두 얼굴의 사나이
닐스 아르스트럽 Niels Arestrup
평범하고 마음씨 좋은 노인은 어울리지 않는다. 자크 오디아르의 <내 심장이 건너뛴 박동>(2005)이나 <예언자>(2010)에서처럼 입에서는 담배 연기를 뿜어올리고, 손에는 붕대를 감고 있어야 그의 진면목이 드러난다. 하지만 <워 호스>(2011)에서 손녀가
글: 주성철 │
글: 이화정 │
글: 송경원 │
글: 이기준 │
2013-07-01
-
[스페셜1]
‘이름이 뭐예요?’(1)
이름만 들어서는 기억이 가물가물한 배우들, 하지만 얼굴만 보면 자동으로 수많은 명장면들이 줄줄이 떠오르는 배우들이 있다. 바로 그런 아리송한 배우들을 한데 모았다. 하지만 아무나 골라낸 것은 절대 아니다.
숨겨진 발견의 필모그래피나 새롭게 도전할 새로운 캐릭터 등 어딘가 ‘반전’의 매력이 있는 이들만 모았다. 자크 오디아르의 <예언자>에서 주
글: 주성철 │
글: 이화정 │
글: 송경원 │
글: 이기준 │
2013-07-01
-
[스페셜1]
지독한 사춘기 미스터리한 10대
아름다움과 욕망, 죽음과 성에 대한 매혹. 이러한 요소들은 언제나 프랑수아 오종의 영화 중심부를 관통하는 큰 줄기였다. 그러나 샬롯 램플링으로 대변되는 오종의 성숙한 페르소나들이 사회적 지위와 계급, 권력의 틀에 가로막혀 환상의 영역에서 자신의 욕망을 표출하곤 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프랑수아 오종의 신작 <영 앤드 뷰티풀>에서 우리가
글: 장영엽 │
2013-06-11
-
[스페셜1]
돌이킬 수 없는
오랫동안 대륙과 인종의 경계를 넘나들며 식민주의와 욕망, 폭력에 대한 영화를 만들어왔던 프랑스 감독 클레어 드니의 시선은 지금 유럽 대륙에 머물러 있다. 도시의 밤거리를 배회하며 자신의 욕망을 좇는 <바스터즈>의 인물들은, 언젠가 파국을 맞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면서도 위험한 길을 선택하는 사람들이다. 그런 그들은 이 타락한 도시의 진정한 선인인
글: 장영엽 │
2013-06-11
-
[스페셜1]
인디언과 유대인 두 남자의 대화
칸이 사랑하는 프랑스 작가주의 감독의 첫 미국영화. 아르노 데스플레생의 <지미 P>에 대한 언론의 관심은, 너무나 유럽적인 이 지성의 감독이 미국을 배경으로 어떤 영화를 만들 것인지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5월18일 기자시사를 통해 공개된 <지미 P>는 정신분석학과 꿈이라는 테마나 인물간의 대화에 주목하는 스타일에 있어 데스플레생
글: 장영엽 │
2013-06-11
-
[스페셜1]
사랑과 공포가 맞닿은 관능의 시간
<호수의 이방인>은 이후의 전개를 도무지 예측할 수 없는 영화다. 서로의 몸을 음흉한 눈빛으로 훑으며 쾌락을 좇던 게이들의 낙원의 숲은, 그들이 노닐던 호숫가에 떠오른 한구의 시체로 인해 공포의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사랑과 섹슈얼리티, 두려움과 공포가 공존하는 이 작은 사회를 간결하고 힘있는 이미지를 통해 포착해낸 프랑스 감독 알랭 기로디의 시선
글: 장영엽 │
2013-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