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인터뷰] 대리만족, 의미심장, <어쩔수가 없다> 배우 손예진
※영화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손예진이 인터뷰 도중 가장 많이 언급한 단어는 ‘현실’이었다. 그사이 결혼과 출산을 경험한 영화 바깥의 현실이 영화 속 현실을 채비하며 살림을 꾸리던 미리에게 현실적으로 녹아들었다는 요지였다. 놀랄 일은 아니다. 현실은 시대와 불가분의 관계고, 손예진은 늘 시대에 발맞춰온 배우니까. 손예진이 “사랑하다 아파서 죽고, 예쁘게
글: 정재현 │
2025-10-03
-
[스페셜2]
[인터뷰] 간절하게 절실하게 처절하게, <어쩔수가없다> 배우 이병헌
※영화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배우 이병헌은 <공동경비구역 JSA> <쓰리, 몬스터>에 속한 단편 <컷> 이후 20여년 만에 박찬욱 월드로 회귀했다. 그가 <어쩔수가없다>에서 받아든 배역 유만수는 어쩐지 “오늘만 대충 수습”하기로 했던 <올드보이>의 주인공을 연상시키는 이름을 가졌다. 각본도 그 말
글: 남선우 │
2025-10-03
-
[스페셜2]
[인터뷰] 헛수고하는 인간들을 위한 가을 소나타, <어쩔수가없다> 박찬욱 감독
*작품의 결말 내용까지 포함한 스포일러 인터뷰입니다.
띄어쓰기 없는 제목부터가 함정이다. 선택의 여지가 없다니! 25년 직장 생활 끝에 해고된 만수(이병헌)에게는 분명 다른 길들이 있었다. 집을 팔 수도, 아내의 경력을 되살리는 데 힘써볼 수도, 조금 비굴해지긴 해도 장인, 장모의 도움을 받아볼 수도 있었겠으나 남자는 모든 가능성을 외면한 채 오직 하
글: 김소미 │
사진: 백종헌 │
2025-10-03
-
[스페셜2]
[특집] 죽여주게 화목한 집! - 박찬욱 감독, 배우 이병헌·손예진이 말하는 <어쩔수가없다>
25년을 몸담은 직장에서 해고된 후 재취업을 이루기 위해 경쟁자들을 죽이는 남자를 ‘웃기게’ 그리는 일은 언뜻 가능해 보이기도 한다. 우린 그걸 블랙코미디라고 부른다. 문제는 그다음이다. <어쩔수가없다>는 어떻게 ‘슬퍼지고야 마는’ 것일까. 선택의 여지가 없다(No other choice)는 위선적 주문 앞에서 박찬욱 감독은 자본주의의 거짓
글: 씨네21 취재팀 │
2025-10-03
-
[스페셜2]
[특집] 액터스 하우스 지상중계 - 액터스 하우스에서 거장의 클래스로
2021년 신설되어 올해로 4년차를 맞은 액터스 하우스가 9월18일과 19일 네명의 배우에게 집 열쇠를 건넸다. 각자 한 시간 동안 집의 주인이 된 배우 김유정, 손예진, 니노미야 가즈나리, 이병헌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손님들을 맞이했다. 무대인사나 관객과의 대화 같은 행사와 달리 액터스 하우스는 오직 한명의 배우에게만 집중해 그의 삶과 필모그래피를 깊이
글: 남지우 │
사진: 최성열 │
사진: 백종헌 │
2025-10-03
-
[스페셜2]
[특집] 마스터 클래스 - 60년의 여정, 끊임없이 새로운, 마르코 벨로키오, 주먹의 영화
제30회 부산영화제는 장편 데뷔 60주년을 맞아 마르코 벨로키오의 회고전을 개최했다. ‘마르코 벨로키오: 주먹의 영화’라는 제목으로 구성된 특별기획 프로그램에는 장편 데뷔작 <호주머니 속의 손>(1965)부터 신작 <뽀르또 벨로>(2025)에 이르기까지 8편의 영화가 상영됐다. 9월21일에는 동서대학교 민석소극장에서 동명의 제목으로
글: 최현수 │
사진: 최성열 │
2025-10-03
-
[스페셜2]
[특집] 마스터 클래스 -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희망, 세르게이 로즈니차, 증언의 방식: 바라보고 기억하다
세르게이 로즈니차. 이 이름의 무게는 우리가 사는 현실의 풍경이 전쟁의 이미지로 휩싸이고 있는 지금, 더 묵직하다. 1964년 벨라루스에서 태어나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자란 그는 2000년 무렵부터 꾸준히 인류의 폭력을 다큐멘터리로 목도하고, 극영화로 전환해왔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레닌그라드 포위전에서 발생한 인간들의 고통과 시체 더미를 보여준 다큐멘
글: 이우빈 │
사진: 백종헌 │
2025-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