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도서] 존재론적 문학실험
출판사 설명 하나만 정정하자. “아이작 아시모프, 아서 C. 클라크와 더불어 세계 3대 SF작가로 손꼽히는 필립 K. 딕.” 이게 무슨 달나라 토끼가 반중력 우주선에서 초공간 점프하는 소리? 세계 3대 SF작가, 그러니까 SF 문학계의 빅 스리(Big 3)는 아시모프, 클라크, 그리고 로버트 하인라인이다. 여하튼 필립 K. 딕의 팬들이라면 온갖 영화평론가
글: 김도훈 │
2010-02-04
-
[도서]
[도서] 그의 죽음과 함께 전설이…
로베르토 볼라뇨라는 이름이 낯익다면, 당신은 (지금까지는) 한국에 출간된 그의 단 한권의 책 <아메리카의 나치 문학>(을유문화사 펴냄)을 발견한 눈썰미의 소유자일 것이다. “그의 죽음과 함께 전설이 시작되었다”, “세상을 불태워버리고 싶은 욕망을 절대 단념하지 않았던 얻어터지고 성난 낭만적인 악동”, “우디 앨런과 로트레아몽, 타란티노와 보르헤
글: 김용언 │
2010-01-28
-
[도서]
[도서] 천천히 읽어주세요
고전문학전집 붐이다. 출판사마다 다양한 기획의 문학전집을 선보이는 덕에 번역, 해설, 표지 등 원하는 대로 책을 읽을 기회가 많아졌다. 그중 전 9권의 창비세계문학 전집 세트는 단편소설만을 나라별로 묶어 펴냈다. 묵직한 느낌의 하드커버 책이 주는 인상은 어렸을 적 처음 어른들의 소설에 접근하는 문을 열어젖히던 순간의 향수를 느끼게 한다. 영국, 미국, 독
글: 이다혜 │
2010-01-28
-
[도서]
[도서] 하늘과 바람과 별과 SF
<아바타>를 본 지인이 그랬다. 내가 왜 이 지구에 있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얼른 판도라로 가야 할 것만 같다고. 새해가 오든 말든 변함없이 ‘천민자본주의’가 판치는 도시에 있으니 기기묘묘한 물빛 행성 판도라가 그립다. 2009년 세계 천문의 해를 맞이하여 7명의 작가가 소백산 천문대에서 2박3일간 워크숍을 가진 뒤 써낸 단편집 모음 <
글: 김은미 │
2010-01-28
-
[도서]
[한국 소설 품는 밤] 안된다니까 더 읽고 싶다
정조는 서학(西學)을 막기 위해 <한서> <논어> 등 중국 고전의 건조한 문체를 문장의 기본으로 삼는다. 일상을 다룬 감각적인 소설 문체는 무조건 안된단다. <한서>와 정조 사이에는 대략 1600년이라는 간극이 존재한다. 이미 북촌마님들이 연애소설에 목을 매고 행인들이 영웅소설을 들으려 거리를 메우는 시대라 타임머신 타지
글: 김은미 │
2010-01-22
-
[도서]
[도서] 세 남녀의 사랑 이야기
내용과 상관없이 밖에서 읽으려면 얼굴이 화끈거리는 책들이 있다. 표지의 광고 카피가 촌스럽다거나, 책 제목이 손발을 오그라들게 한다거나, 그림이 도발적인 작품들. 바스티앙 비베스의 만화 <그녀(들)> 역시 표지 때문에 밖에서 읽는 것이 약간은 망설여지는 책이다. 가슴이 너무 커서 허리까지 내려온 아름다운 언니들이 엉덩이를 격렬하게 흔들고, 오타
글: 장영엽 │
2010-01-22
-
[도서]
[도서] 침이 고인다
침이 흘러요. 코끝에 맺히는 빵냄새 때문에 입안 가득 침이 고여요. 몇대째 비법을 전수받은 셰프가 있는 먼 이국의 이야기도 아니고 상상만으로 모든 걸 가능케 할 수 있는 만화책도 아니에요. 한국에 진짜 있는 빵집들 중 좋은 집을 골라 소개한대요. 저도 빵 좀 먹을 줄 아는 여자예요. 목차를 열어 내가 생각하기에 꼭 들어가야 하는 집들 이름을 찾아봤어요.
글: 이다혜 │
2010-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