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도서] 사회파 추리소설의 모범
연쇄살인마가 있다. 전례없이 똑똑하고 글 잘 쓰는 이 살인마는 자신의 살인이 강자에게 대항하기 위해 약자가 저지르는 정당한 폭력이라고 우긴다. 모터사이클 선수, 퇴역군인, 가출소녀가 차례로 죽어가는 가운데 사회는 거세게 요동치고 대중은 살인마에게 압도당한다.
소설은 관련자들의 시선을 통해 살인범을 쫓는 과정을 다각적으로 보여준다. 우선 가출소녀의 죽음
글: 김은미 │
2010-12-16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토끼는 당당했다
책을 다 읽은 사람들이 “표지가 좀 그렇긴 하지만…”이라고 꼭 토를 단 뒤 “정말 재밌다”는 말로 마무리하는 <밀레니엄> 3부작을 일 때문에 다시 읽다가 이번에도 남자주인공 미카엘 블롬크비스트 때문에 웃고 말았다. 중년의 나이, 한번 이혼 경력 있음, 16살 난 딸 있음, 결혼 전부터 관계를 가져온 유부녀와 여전한 애인 관계, 직업은 탐사보도를
글: 이다혜 │
2010-12-09
-
[도서]
[도서] 이토록 어두운 로맨스
요쓰야 괴담은 일본에선 가장 유명한 괴담 중 하나란다. 데릴사위로 들어간 남자가 부인을 쫓아내 부인이 귀신 된다는 배신남 스토리. 하지만 교고쿠 나쓰히코의 손을 거친 <웃는 이에몬>에선 배신남도 귀신도 필요없다. 순백의 남녀와 암울한 시대만 있으면 된다.
낭인 이에몬은 무사랍시고 허영을 부리기 싫어 가난한 목수로 사는 고고한 남자다. 그런
글: 김은미 │
2010-12-09
-
[도서]
[도서] 고양이만큼 좋은 책
나의 첫 고양이는 2005년 동네 분식점에 버려진 아기고양이였다. ‘풍호’라 이름 붙인 고등어 무늬. 그 뒤 어쩌다 백수가 되어 본가로 들어가면서, 동네 친구 집에 맡기고 돌보던 사고뭉치. 2년 뒤 서울 근교에 있는 지인의 집으로 입양시키던 날, 차문을 열자마자 뛰쳐나가 뒷산으로 사라진 고양이. 쫓아갈 때마다 뒤돌아보던 모습이 생각나 집에 오는 동안 참
글: 차우진 │
2010-12-02
-
[도서]
[도서] 직관적인 그의 언어
장 뤽 고다르의 한권의 인터뷰가 열권의 평범한 영화서적보다 더 값지다고 생각한다. 그는 영화의 “기술은 도덕과 관계가 있다”라고 표현하지 않고 “트래킹 숏은 도덕의 문제다”라는 식으로 표현하는 화자다. 실은 뤽 물레의 “도덕은 트래킹 숏의 문제다”라는 말이 먼저 있었지만, 어쨌든 고다르의 것으로 굳어진 이 선언은 그의 어법을 말해준다. 확신에 가득 찬 단
글: 정한석 │
2010-12-02
-
[도서]
[도서] 아저씨는 떠나지 않았어요
일단, 사람이 문제다. “인간이란 천국에 들어서기엔 너무 민망하고 지옥에 떨어지기엔 너무 억울한 존재들”이다. 아내를 잃고 요양원에 들어온 노인은 치매 걸린 첫사랑을 차지하기 위해 동창과 한판 대결을 펼친다. 박인환 시를 누가 잘 기억하느냐가 관전 포인트. 또 혜성 충돌로 지구 멸망이 코앞에 다가왔건만 아파트에선 이웃끼리 층간 소음 때문에 티격태격한다.
글: 김은미 │
2010-11-25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어떤 미스터리를 원하십니까
“수수께끼는 모두 풀렸다!” <소년탐정 김전일>의 엔딩은 김전일의 자신만만한 선언으로 가속이 붙는다. 왜 어항이 깨졌는지, 왜 눈밭에는 발자국 하나 없는지, 왜 산장 관리인 할머니는 한밤중에 환기를 해달라는 전화를 받았는지. 김전일은 하나하나 트릭을 설명하며 범인을 구석으로 몰아넣는다. 범인도 알고 보면 사연있는 사람일 때가 많긴 하지만 그 사
글: 이다혜 │
2010-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