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도서] 축구선수 어릴 적에는
틱톡틱톡. 지난여름 베를린의 어느 동네를 걷던 중 어디선가 공 소리가 들려왔다. 축구 게임이라도 벌어졌나 싶어 가봤더니 ‘닭장’(사방이 철창으로 둘러싸인 동네 풋살 경기장. 유럽에서 흔히 볼 수 있다)에는 꼬마 둘뿐이었다. 둘은 1:1 대결이나 공을 주고받는 패스 게임을 하고 있지 않았다. 나란히 선 채 벽을 상대로 공을 차고 있었다. 한참을 지켜봤는데 그
글: 김성훈 │
2012-10-11
-
[도서]
[도서] 하드보일드 소설 독법
김봉석의 <하드보일드는 나의 힘>이 출간되었다. 프롤로그를 통해 하드보일드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맥락에서 힘을 발휘했는지를 짚은 뒤 한국에 출간된 많은 하드보일드 소설에 대한 리뷰를 실었다.
<하드보일드는 나의 힘>은 총 5개 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 ‘개 같은 세상, 그래도 외면할 수 없다’에서는 요시다 슈이치의 &
글: 이다혜 │
2012-09-20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다시, 박완서를 읽을 시간이다
어떤 책을 ‘소장용’이라고 부르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내용이 좋아서, 혹은 필요해서 두고두고 봐야 할 경우가 그 첫째, 물건으로서의 아름다움이 빼어나 애착을 갖게 된 경우가 두 번째, 작가에 대한 애정이 특별한 경우 등. 가장 좋은 경우는 그 모두가 이유일 때다. 국립예술자료원이 기획하고 수류산방이 펴낸 예술사구술총서(시리즈 1권은 한반도 르네상스
글: 이다혜 │
2012-09-13
-
[도서]
[도서] 진은영의 전진
라스 폰 트리에가 듣는다면 조금 서운해하겠지만 내게 있어 가장 위대한 ‘멜랑콜리아’는 진은영의 시였다. “그는 정말로 낙관주의자다/ 내가 바다로 갔다고 믿는다.”(진은영, <멜랑콜리아>의 일부)라는 마지막 구절을 읽고서 몇번이나 그 구절을 소리내어 읽었던 경험이 아직도 생각난다. 다시 떠올려도 그건 가장 보편적인 서정이 슬픔과 우울에 대한 감정과
글: 남민영 │
2012-09-13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새로운 생활철학이 필요해
불경기에는 새로운 생활철학이 필요하다. 낭비를 줄이자는 차원의 얘기가 아니다. 큰 일부터 사소한 일까지 예산을 줄여서 전보다 훨씬 못한 것에 만족할 수밖에 없는 구매활동이 자신이 처한 어려움에 대한 한탄과 비관, 스트레스로 이어지지 않게 하려면 가장 기본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마음부터 다시 정돈해야 하기 때문이다. 1970년대 말부터 일본에서 살았다는 도미
글: 이다혜 │
2012-09-06
-
[도서]
[도서] 풍자에서 감동으로
<사막에서 연어낚시>는 정치풍자소설이고, 직장인을 위한 멜로드라마다. 후자에 대해 잠깐 설명하면, 직장인을 위한 멜로드라마는 그가 사랑하는 사람이 아니라 그가 사랑할 수 없지만 관계를 끊을 수 없는 대상인 직장 상사와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감정의 소용돌이 속에서 발생한다. 상사 뒤에는 시스템이 버티고 있고, 아무리 논리적인 설득으로도 ‘보스’의 비
글: 이다혜 │
2012-09-06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지식인들 그리고 기업가들
<중국인의 초상>은 크게 1부와 2부로 나뉘어 있다. 1부에는 ‘지식인들’이라는 제목이 붙었고, 2부는 ‘기업가들’이라는 명제로 묶여 있다. 모든 이야기는 사실상 톈안먼 사태에서 시작하며, 그 이후 중국의 정신적 변화상이 1부, 물질적 변화상이 2부가 되는 셈이다. 각 부는 3장으로 이루어졌는데, 하나의 장은 한 사람의 이야기다. 베이징에서 나고
글: 이다혜 │
2012-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