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도서] 그곳에 가고 싶다
여행의 새로운 트렌드는 이렇다. 언젠가부터 다녀온 사람 찾기가 드물지 않은 카우치 서핑은 타인의 살림집에서 말 그대로 카우치(소파) 신세를 지거나 방 한칸을 얻어 쓰는 여행 방식이다. 인도부터 유럽, 미국까지 카우치 서퍼들의 집으로 찾아가 며칠씩 지내고, 마찬가지로 내 집을 해외의 여행객들에게 오픈할 수도 있는 방식이라서 배낭여행족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글: 이다혜 │
2013-02-21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구라의 능력자 발견
이름은 남루한, 직업은 (야설)작가. 통장잔고는 3320원에 월세는 5개월치가 밀려 있다. 전직 (에로)영화 감독으로 지금은 인터넷 (성인)사이트 운영자인 그의 지인의 해설에 따르면 루한씨가 야설작가가 된 것은 이름에서부터 운명지어진 것으로, “네가 남씨이기 때문에, 네 이름은 ‘남자의 크고 넓은 봉우리’를 뜻하는 거야. 너야말로, 이 시대의 짓밟히고 억눌
글: 이다혜 │
2013-02-07
-
[도서]
[도서] 어쩌면 그의 마지막 책
책의 제목을 보면 당연히 그 안의 내용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게 마련이다. 소설가 고종석의 새 장편소설 <해피 패밀리>는 제목의 ‘해피’라는 단어 때문에 오히려 ‘언해피’한 가족의 이야기가 먼저 그려지는 책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예상이 맞았다. <해피 패밀리>는 핏줄로 이어져 있기에 어떤 타인보다 가까울 수밖에 없으나 그러기에 더
글: 남민영 │
2013-02-07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목수로 살고 있습니다
친구 남편들의 취미생활 중에 꽤 눈에 띄는 것이 바로 목공이다. 목공을 배우는 데는 몇 가지 이점이 있는데, 일단 집에서 탈출을 할 수 있으며 목공을 배운다는 이유는 탈출의 이유로 꽤 근사하다. 간단한 가구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를 위한 작은 의자나 테이블, 책장, 안락의자(별로 안락해 보이지 않는 경우가 태반이더라만), 심지어 스피커를 조립해서
글: 이다혜 │
2013-01-31
-
[도서]
[도서] 약을 아십니까
피곤은 간 때문일까? 생긴 것이 약 같고, 효능도 약과 똑같다고 광고하는 그것들을 믿어도 좋은가? 1일 3회 식후 30분을 못 지키면 약을 먹으면 안되나?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회원들이 쓴 <식후 30분에 읽으세요>는 약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해준다. 늙어도 살쪄도 작아도 피곤해도 약을 권하는 사회에서 똑똑하게 살아남는 법. 더불어 도덕과
글: 이다혜 │
2013-01-31
-
[도서]
[도서] 우주적 정신승리
불행한 천재 예술가들의 삶을 다룬 콜린 윌슨의 비평서 <아웃사이더>를 읽어본 사람이라면 주목. <정신기생체>는, <아웃사이더>의 주제를 연장하되 거기에 SF라는 형식을 입히고 H. P. 러브크래프트풍 양념을 살짝 얹은(러브크래프트가 이 소설의 탄생에 어떻게 기여했는지에 관한 재미있는 스토리가 서문에 나와 있다) 작품이기 때문
글: 윤이형 │
2013-01-24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섹스를 말할 때 우리가 이야기하지 않는 것
“누구나 성생활을 하지만, 우리는 거의 예외없이 자신이 어떤 식으로든 ‘섹스’에 대해 이상한 구석이 있다고 생각한다.” 알랭 드 보통이 쓴 <인생학교 - 섹스>의 첫 문장이다. 왼쪽 페이지에 소개된 책과 키워드가 ‘섹스’로 일치하고 번역자도 같지만 두 책의 공통점은 그게 다다. 보통은 특유의 다소 학구적인 태도로, 우리 모두 섹스에 관해서라면 약
글: 이다혜 │
2013-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