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장이독자에게]
[에디토리얼] 부산영화제에 임하는 나의 자세
구스 반 산트, 아키 카우리스마키, 라스 폰 트리에, 난니 모레티, 다르덴 형제, 알렉산더 소쿠로프, 고레에다 히로카즈, 소노 시온, 가와세 나오미, 미이케 다카시, 진가신, 두기봉, 이와이 순지, 하라다 마사토…. 거장 혹은 명장이라 불러 마땅할 감독들의 이름들을 죽 늘어놓으니 한숨이 절로 난다. 이들의 영화를 곧 열릴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볼 수 있다는
글: 문석 │
2011-09-26
-
[편집장이독자에게]
[에디토리얼] 진실의 힘
시사회 자리에서 <도가니>를 보다가 뛰쳐나갈 뻔했다. 의사표현을 제대로 못하는 장애를 가졌고 살갑게 돌봐주는 이가 없는 아이들을 상대로 끔찍한 짓거리를 벌이는 어른들의 모습을 똑바로 쳐다보기란 괴로운 일이었다. 그 괴로움은 이내 분노로 바뀌었다. 이 짐승만도 못한 인간들을 어떻게 없앨 것인가- <쏘우> 방식, 아우슈비츠 스타일, &l
글: 문석 │
2011-09-19
-
[편집장이독자에게]
[에디토리얼] 풍성한 한가위 되소서
추석 합본호를 만들기에는 더운 날씨다. 올 추석이 비교적 빠른 까닭인 듯한데 30도가 넘는 와중에 합본호를 만드니 뭔가 어색하게 느껴진다. 예전에 추석 합본호를 만들 때면 긴팔 옷을 입고 있었던 것 같은데 말이다. 아무튼 주간지를 만드는 이들에게 합본호는 축복이요 선물이다. 풍성한 지면에 맛깔나는 이야기를 담아 독자 여러분께 드릴 수 있으니 이 어찌 축복
글: 문석 │
2011-09-05
-
[편집장이독자에게]
[에디토리얼] <북촌방향> 그리고 <아리랑>
홍상수 감독의 <북촌방향>은 근래에 본 어떤 영화보다 난해했다. 그의 영화는 언제나 완벽한 독해가 불가능에 가깝고 심연을 파고들수록 복잡하게 다가오지만 이번 영화만큼 머릿속이 복잡해진 적은 없었다. 그건 이 영화의 독특한 시간 개념에서 오는 듯하다. 유준상이 맡은 주인공 성준은 비슷한 상황을 거듭 겪게 되는데 그것이 연속되는 시간의 축에서 벌어
글: 문석 │
2011-08-29
-
[편집장이독자에게]
[에디토리얼] 3D 또는 영화의 종언
영화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해왔다. 영화 자체가 광학과 기계, 전기 기술의 발전에서 기인했으니 필연적이기도 하다. 영화라는 예술을 근본적으로 흔들어놓은 두 가지 기술을 꼽으라면 그건 사운드와 컬러의 도입이다. 1920년대 중반 스튜디오들이 유성영화 시스템을 개발한 건 극장주들을 위해서였다. 당시 극장들은 영화 상영시 음악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를 두고 있었는
글: 문석 │
2011-08-22
-
[편집장이독자에게]
[에디토리얼] 잡지가 삶이 되는 순간
만약 ‘내 인생의 잡지’를 선정하는 일이 있다면 주저없이 <월간팝송>을 꼽겠다. 그런 잡지가 있었던가, 갸우뚱할 분도 있겠지만 <월간팝송>, 줄임말로 ‘월팝’은 1980년대 초반 독보적인 대중문화 잡지였다. 인터넷도 없었고 신문에는 험악한 이야기뿐이었으며 TV는 흑백 화면처럼 칙칙한 시대였던지라 <월간팝송>이 전하는 영미권
글: 문석 │
2011-08-15
-
[편집장이독자에게]
[에디토리얼] 망가보다 작가
도쿄에 처음 갔을 때 놀란 일 중 하나는 지하철 승객 중 상당수가 책을 들여다보고 있다는 점이었다. 더 놀랐던 건 그중 많은 부분이 만화였다는 사실. 고등학생 또래부터 초로의 신사까지, 만화 단행본이나 만화 잡지를 뚫어져라 읽는 모습을 보며 ‘이것이 일본 문화구나’란 생각을 했더랬다. 일본 문화에 정통한 김봉석 선배의 “일본의 대중문화에서 중심은 만화”라
글: 문석 │
2011-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