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특집] 한류를 이어가기 위해 AI 인력을 키워야, 김홍천 KAFA 영화인교육팀장, 양정화 프로듀서
지금 전세계에서 분야를 막론하고 AI(Artificial Intelligence)만큼 자주 언급되면서도 정확히 알기 어려운 화제가 있을까. 자고 일어나면 저만큼 훌쩍 앞서가는 까닭에 AI의 얼굴을 똑바로 마주 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그것과 영화가 부딪치는 지점에 대해서는 찬찬히 살펴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9월20일 부산에서 열리
글: 홍수정 │
사진: 오계옥 │
2025-09-26
-
[스페셜2]
[인터뷰] 헤리티지AI 영화, 시공간을 뛰어넘는 이야기의 힘, 대상 <걸리버 율도국 이야기> 박진호 연출자
“또 묶여 있다니.” 여느 모험영화의 오프닝 시퀀스를 연상시키는 이 작품은 우연히 율도국에 떨어진 걸리버 이야기를 담는다. 그곳에서 걸리버는 모든 이를 평등하게 대하는 이상적인 지도자 홍길동을 만난다.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온 인물들의 운명적 만남이라는 신선한 소재는 어떻게 출발했을까. <걸리버 율도국 이야기>의 원작과 각본을 맡은 박진호 문
글: 이자연 │
사진: 최성열 │
2025-09-26
-
[스페셜2]
[인터뷰] 무조건적인 낙관이나 막연한 공포가 아닌, 2025 경상북도 국제 AI ·메타버스 영상제 양경미 집행위원장
AI·VFX·가상융합 기술의 발전을 도모하고 한국형 AI 콘텐츠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인 2025 경상북도 국제 AI·메타버스 영상제(이하 경북AI영상제)는 단계별로 양경미 집행위원장의 손길이 닿아 있다. 국제 콘퍼런스와 마스터 클래스에 AI가 직면해야 할 동시대성을 더하거나 경북 지역 색깔에 맞춰 행사 방향을 맞추는 등 세심한 기획을 토대
글: 이자연 │
2025-09-26
-
[스페셜2]
[특집] 창의적인 인공지능 르네상스를 꿈꾸며, 2025 경상북도 국제 AI·메타버스 영상제 현장 기록
구미, 포항, 경산, 청송 등 4개 시군이 함께하는 ‘2025 경상북도 국제 AI·메타버스 영상제’(이하 경북AI영상제)는 지난 9월12일부터 14일까지 따뜻한 관심 속에 사흘 동안 이어졌다. 이번 영상제는 AI가 영상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적극적으로 탐구하고 최첨단 기술에서 출발하는 영화제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무엇보다 예술과 인간, 기술과 인공
글: 이자연 │
사진: 최성열 │
2025-09-26
-
[스페셜2]
[특집] 영화적 상상과 AI의 아름다운 융화, 2025년 떠오르는 AI 영화제와 영상제
인공지능(AI)을 발판 삼은 영화산업은 어떤 미래를 마주하게 될까. 누군가는 위기를 말하고, 누군가는 무한한 가능성을 말하는 과도기 속에서 AI를 더한 새로운 시도는 현재진행형으로 움트고 있다. 많은 이들은 VFX 같은 시각효과에만 AI가 접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하지만 사실 영화가 제작되는 모든 단계에 AI가 편재해 있다. 실제로 (인간만이 할 수 있다
글: 이자연 │
사진: 최성열 │
2025-09-26
-
[2025 부산국제영화제]
BIFF #8호 [스페셜] 잊히지 않는 이미지, 까르뜨 블랑슈: <유레카 (리마스터링)> x 봉준호
스페셜 토크 프로그램 ‘까르뜨 블랑슈’의 마지막은 한국을 대표하는 거장 봉준호 감독이 책임졌다. 그가 고른 상영작은 2022년 타계한 일본의 거장, 아오야마 신지 감독의 <유레카>(2000)였다. 그간 봉준호 감독은 일본 감독 중에서 구로사와 기요시, 사카모토 준지, 하마구치 류스케 등을 꾸준히 언급했었으나 아오야마 신지와 그의 작품을 직접적
글: 이우빈 │
사진: 최성열 │
사진: 박종덕 │
2025-09-24
-
[2025 부산국제영화제]
BIFF #8호 [스페셜] 60년의 여정, 끊임없이 새로운 ② - '마르코 벨로키오: 주먹의 영화' 마스터 클래스
호주머니 속의 가족
거장에게 첫 장편은 어떤 의미인가. 올해로 60주년을 맞은 <호주머니 속의 주먹>은 금기를 위반하는 방식으로 부르주아 가족의 붕괴를 그려내고 있다. 마르코 벨로키오 감독은 이 작품 안에 사적인 경험과 이탈리아의 한 시대를 동시에 담았다고 밝혔다. “<호주머니 속의 주먹>에는 내 인생의 가장 큰 경험이 조금씩 집
글: 최현수 │
사진: 박종덕 │
2025-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