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하이브 마인드, 이메일에 갇힌 세상>, 이메일 지옥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2021년의 사무실에서 일은 끝없이 연결된다. 즉흥적이고, 비체계적인 메시지가 이메일과 각종 톡 프로그램을 통해 오가고, 정작 일을 해야 하는 시간을 잡아먹고 피로를 가중시킨다. <딥 워크> <디지털 미니멀리즘>을 쓴 칼 뉴포트는 <하이브 마인드, 이메일에 갇힌 세상>에서 이런 상황을 ‘하이브 마인드 활동과잉’이라고 표현한
글: 이다혜 │
2021-07-12
-
[도서]
<끝내주는 괴물들>, 이상한 문학 나라의 거주자들
책읽기를 좋아하는 사람 중에서 알베르토 망겔을 모르는 사람은 있어도 좋아하지 않는 이를 본 적이 없다. 작가, 번역가, 편집자, 비평가, 독서가. 그를 수식하는 수많은 말이 있지만, 그의 이력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바로 시력을 잃어가던 소설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의 부탁으로 16살 때부터 4년간 그에게 책을 읽어준 것이다. 한평생 책을 읽고, 쓰고,
글: 이다혜 │
2021-07-05
-
[도서]
<단어가 내려온다>, 너를 알아봤던 그 순간처럼
행성 이주자는 지구에서 보낸 이전의 삶을 어떻게 회고하고 기록할 것인가. 오정연의 첫 소설집 <단어가 내려온다>에 실린 이야기들에서는 행성간 이동이 중요하게 제시된다. 7편의 소설에는 이주, 적응, 가족의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존재(감)가 없는 아버지와 서로에 감정적으로 매여 있는 모녀가 이야기의 중심에 서는데, 가장 중요한 이슈는 ‘전망’
글: 이다혜 │
2021-06-28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침략자들>
“내 이름은 빌리 모턴.” <침략자들>의 첫 문장은 허먼 멜빌의 <모비딕>의 첫 문장을 연상시킨다. “내 이름을 이슈메일이라고 해두자.” 두 작품의 또 하나의 유사점은 빌리 모턴이 뱃사람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롱아일랜드 해협이나 몬토크 동쪽에서 어업을 하는 빌리 모턴은 고래가 아닌 수수께끼의 물고기를 만난다. 물고기가 선실 지붕으로
글: 이다혜 │
사진: 최성열 │
2021-06-22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매혹과 잔혹의 커피사>
커피를 매일 마시는 사람이라면 커피의 역사를 좀 알아볼까 하고 가벼운 마음으로 이 책을 집어들 수 있을 텐데, 막상 읽어가다 보면 알게 될 것이다. 커피의 역사라는 것은 19~20세기 세계사, 특히 자본주의의 역사와 떼어놓을 수 없다는 사실을. 국제적 커피 시장의 시작은 노예 혹은 노동자 착취를 통한 자원 생산이다.
커피 열매가 놀라운 맛을 낸다는 사
글: 진영인 │
사진: 최성열 │
2021-06-22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돼지를 키운 채식주의자>
채식주의자가 왜 돼지를 키운다는 것일까? 저자는 말한다. 공장제 축산 대신 ‘예의를 갖추어’ 동물을 키우는 일은 채식주의와 따로 떨어져 있지 않다고. 귀촌하여 유기농 요구르트 목장에서 일하는 저자는 주변 지인들과 함께 ‘대안축산연구회’를 결성했다. 이론만 따지고 있을 수 없어 실전에 돌입하기 위해 근처 농업학교에서 새끼 돼지 세 마리를 분양받기로 한다.
글: 진영인 │
사진: 최성열 │
2021-06-22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다만 잘 지는 법도 있다는 걸>
아나운서가 쓴 책은 많다. 그중 일부를 읽어본 소감을 한 문장으로 말하면 “아나운서는 셀럽이 아니고 직장인이다”라는 것이다. 여전히 그 직업을 선망하는 청년이 많을 것이기에, 아나운서들이 낸 책에는 ‘어떻게 하면 아나운서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송국 합격 필승 팁도 간략하게 들어 있다. 전종환 아나운서의 책에도 아나운서 시험 중 특히 면접 분야에서 유
글: 김송희 │
사진: 최성열 │
2021-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