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시가이드]
[2020 전국 영화영상학과 입시가이드] 연기학과, 연기의 기본기를 배우려면 어디로?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종류의 콘텐츠들이 생산되고 있는 지금, 일원화된 체계로 연기를 공부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에 가까울 것이다. 많은 연기학과가 이런 흐름에 맞춰 다양한 매체와 시대의 흐름에 맞는 연기자를 양성하기 위해 여러 시도를 하고 있다. 연기의 기초에 집중하는 학교가 있는가 하면, 연극과 영화, 뮤지컬 등의 세부 전공을 나눠 각 매체에 맞는 연기를
글: 김정현 │
2019-12-09
-
[입시가이드]
[2020 전국 영화영상학과 입시가이드] 영화영상학과, 다양한 커리큘럼이 방향성을 제시한다
기존의 학과 명칭을 바꾸는 학교가 늘고 있다. 영상영화학과, 미디어영상학과와 같은 새로운 이름들은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맞춰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는 영상 교육의 현재를 보여주는 증거다. 더 세분화되고 전문적인 방향으로 영상을 다루는 동시에, 영화에 국한되지 않고 더 넓은 미디어 영역까지 포괄적으로 다루기 위한 시도가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 1인 미디
글: 김정현 │
2019-12-09
-
[커버스타]
배우 전도연, CGV아트하우스 ‘한국영화인 헌정 프로젝트’ 여성 영화인으로는 첫 선정 -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왔다
“선생님은 어떤 배우를 계승한다고 생각하시나요?”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영화 <파비안느에 관한 진실> 속 노년의 배우 파비안느는 기자의 물음에 답한다. “전 언제나 저 자신이었어요.” 다음 질문. “그러면 거꾸로 선생님을 계승한다고 보시는 배우는 있나요?” 대답은 한결같다. “프랑스에는 전혀 없어요.” 이 대사를 듣다 불현듯 전도연이 떠올랐다.
글: 이화정 │
사진: 백종헌 │
2020-03-12
-
[정훈이 만화]
[정훈이 만화] <겨울왕국2> 아빠, 엘사 인형 사줘!
글·그림: 정훈이 │
2019-12-09
-
[입시가이드]
[2020 전국 영화영상학과 입시가이드] 영상 콘텐츠 제작 전반의 현장으로
영화를 전공한 이들에게 영화 현장으로 나가는 길만 있는 것은 아니다. 물론 감독이나 배우를 꿈꾸고 실제로 그 길을 가는 이들도 많겠지만, 영화와 문화콘텐츠 산업이 성장하고 있는 만큼 이를 둘러싼 영역에는 수많은 길이 존재한다. 이미 많은 학교가 편집이나 사운드, CG를 비롯한 후반작업이나 배급, 마케팅 같은 비즈니스 영역에 특화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노력
글: 김정현 │
2019-12-09
-
[입시가이드]
[2020 전국 영화영상학과 입시가이드] 영화영상 관련 학과 입시생들에게 소개하고 싶은 책
<영화예술>
데이비드 보드웰, 크리스틴 톰슨 지음 / 지필미디어 펴냄
널리 알려진 개론서 중 하나로 영화 제작 과정에서 시작해 영화 형식과 장르, 비평, 영화사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을 다루고 있다. 영화에 대해 이미 심도있는 지식을 갖추고 있는 독자가 아니라 이제 막 영화 감상에 발을 들이기 시작한 이들을 주요 독자로 상정하고 쓰인 이 책은
글: 김정현 │
2019-12-09
-
[입시가이드]
[정화예술대학교] 다채로운 산학연계로 현장 친화적인재 키운다
학과소개
정화예술대학교는 기존 방송영상·연기학부를 방송·영상학부, 공연예술학부, 실용음악학부로 세분화하고, 미디어콘텐츠디자인전공을 신설하는 등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방송·영상학부와 공연예술학부는 현장 친화적인 융합형 창의 예술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경험을 바탕으로 실용적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산학연계를 통한 실기위주의 학습을
글: 남선우 │
2019-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