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영애씨, 당신이 진정한 개국공신이라오
tvN 드라마 역사에서 의미있는 발자국을 찍은 작품 10편과 또 한폭의 역사를 만들어 갈 2편(<응답하라 1994> <빠스껫 볼>)을 추렸다. 시청률과 파급효과가 정비례하는 것은 아니나 한눈에 계보를 파악하기엔 도움이 될 것 같다. tvN 7년 역사를 빛낸 <막돼먹은 영애씨> <노란복수초> <응답하라 1997
글: 윤혜지 │
2013-11-19
-
[스페셜1]
“이야기가 먼저고 장르는 다음이다”
-<응답하라 1997>(이하 <응칠>) 이후 딱 1년 만이다. 준비 기간이 넉넉지 않았을텐데.
=나는 회사원이다. 하라면 해야 한다. (웃음) 그렇다고 할 이야기도 없는데 억지로 시작한 건 아니다. 제작 시기 문제야 온전히 혼자 결정할 수 있는 게 아니었지만 ‘촌놈들의 서울 상경기’란 이야기 자체는 <응칠> 때부터 해보고
글: 송경원 │
사진: 오계옥 │
2013-11-19
-
[스페셜1]
살아남으려는 자가 만든 새로운 콘텐츠
쓰레기는 빙그레가 듣고 있던 이어폰 한쪽을 슬쩍 가져가 귀에 꽂고는 말한다. “야, 가지가지 한다. 김광석이네? 참 좋은 가수였는데.” 그때 갑자기 한쪽에서 들려오는 목소리. “야, 김광석 아직 안 죽었다~!” 스탭들은 촬영을 멈춘 채 일제히 키득거리고 쓰레기 역의 배우 정우는 머쓱한 미소를 짓는다. <응답하라 1994>(이하 <응사>
글: 송경원 │
2013-11-19
-
[스페셜1]
억수로 까리뽕삼하네
<응답하라 1994>는 이번에도 여지없이 우리를 설레게 하고 있다. 5%가 넘은 시청률만으로는 이 드라마의 파급력을 측정할 수 없다. 1화가 끝날 때마다 기사와 반응들이 쏟아져 나오고 1990년대를 아는 사람, 모르는 사람 할 것 없이 신촌하숙촌 청춘들이 펼치는 풋풋한 추억 속으로 젖어든다. 이 드라마는 분명 별종이다. 그저 잘 만든 인기 드라
글: 씨네21 취재팀 │
사진: 오계옥 │
2013-11-19
-
[스페셜1]
산만하다고? 그게 우리 전략이지
<어벤져스>에서 ‘인간 슈퍼히어로’들과 지구를 지켰던 토르가 그의 동생 로키의 손을 잡고 신들의 땅 아스가르드로 돌아간 것이 2012년 여름이었다. 그리고 현실 시간으로는 1년, 영화 속 시간으로는 2년이 지나 <토르: 다크 월드>로 다시 돌아왔다. 상투적인 홍보 문구 같지만 이번 2편은 스케일도 커졌고 인물들의 드라마 역시 더욱 강해
글: 김보연 │
2013-11-12
-
[스페셜1]
자본이 배려하지 않는 곳을 어루만지다
2012년 12월1일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이후 사회 여러 분야에서 협동조합은 물론 협동의 경제와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협동조합기본법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협동조합 설립과 운영이 가능해졌고, 영화 관련 협동조합도 하나둘 생겨나고 있다. 고양의 영화나눔협동조합, 서울의 청년공정영화협동조합 모두를 위한 극장에 이어 대전에서는 마을극장 봄 협
글: 원승환 │
2013-11-05
-
[스페셜1]
“정신만은 분명하다 십시일반, 대동단결”
낙숫물이 댓돌을 뚫을 수 있을까. 제협 소속 8개 제작사와 <씨네21>, 더컨텐츠콤 등 10개 회사가 시장이익의 공정한 분배를 위한 공공적 성격의 대안배급사 리틀빅픽쳐스(이하 리틀빅)를 설립했다. <씨네21>은 제협 회장단인 명필름 이은 대표, 영화사 청어람 최용배 대표, 리얼라이즈픽쳐스 원동연 대표, 삼거리픽쳐스 엄용훈 대표에게서
진행: 김성훈 │
정리: 윤혜지 │
사진: 최성열 │
2013-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