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아이들은 사랑하고 있었다, 오바타 유키의 <우리들이 있었다>
청소년기는 모든 게 설익은 상태다. 몸은 급한 속도로 성장하고, 정신은 그 속도를 따라잡지 못해 허둥댄다. 누군가를 향한 연정을 쉽게 발전시키지만, 또한 금세 싫증을 내기도 한다. 그 대상이 막연하지 않은 욕망과 사랑에 시달리는 경우도 흔하다. ‘사랑하는 것을 사랑하는’ 줄도 모르고 밤잠 설치는 일이 흔한 것도, 이 시기다. 그래서 많은 순정만화들은 이
글: 이다혜 │
2005-06-10
-
[도서]
어느 천진난만한 부계사회의 로망, <아버지와 아들>
‘아버지와 아들’은 언제부터 그 모양이었을까? 아들은 아버지를 흉내내며 어른 행세를 하고 아버지는 아들을 야단치며 엉덩이를 때리지만, 어느 순간 둘이 어울려 깔깔대며 장난을 치고 있다. 얼음 구덩이에 빠지고, 표범에게 쫓기고, 대머리가 되고, 집을 불태워버리고…. 온갖 사고들이 이어지지만 그 하나하나가 즐거울 뿐이다. 어머니와 딸은 이해할 수 없는 세계
글: 이명석 │
2005-06-03
-
[도서]
<시경>에서 듣는 내 마음의 소리, <아주 오래된 시와 사랑 이야기>
시인 고형렬이 저자로 되어 있어 사랑을 노래한 시들을 모아놓고 감상을 적은 그렇고 그런 시 선집인 줄 알았다. 그런데 펼쳐보니 중국 고전 <시경>(詩經)에 관한 책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시경> 해설집, 일종의 고전 해설서로 짐작했더니 그것도 아니다. 더구나 초등학교 고학년에게도 적합한 책으로 분류돼 있다. 읽어보니 <시경&g
글: 표정훈 │
2005-06-03
-
[도서]
505호는 506호를 모른다, 강풀의 <아파트>
나는 아파트라는 공간에서 두려움을 느낄 때가 많다. 아무도 없는 층에 엘리베이터가 서면 귀신의 장난이라고 믿어버리는 이 나약한 성격도 문제지만, 사실 아파트 단지에서 내 뒤를 따라오는 사람이나 엘리베이터를 같이 타는 사람의 정체를 전혀 모른다는 데서 근본적인 두려움은 발생한다. 아파트는 도시 문화가 낳은 익명의 공간이다. ‘미스터리 심리썰렁물’이라는 부
글: 이다혜 │
2005-05-27
-
[도서]
음식으로 읽는 인류의 오만과 편견, <악마의 정원에서…>
장기간 단식 경험이 있는 모 전직 대통령이 먹는 일의 결정적 중요성을 강조한 명언 아닌 명언을 한 적이 있다. ‘굶으면 죽는다’그토록 중요한 일이기 때문인지 음식을 둘러싼 금기도 참 많다. 음식 전문 저널리스트가 쓴 이 책에 나오는 금기들 가운데 몇 가지를 살펴보면 이렇다. 먼저, 17세기 중반 파리에 등장하여 인기를 모으기 시작한 ‘몰레’라는 빵은,
글: 표정훈 │
2005-05-27
-
[도서]
눈의 계곡에서 온 왕녀, 다카하시 신의 <너의 파편>
문명의 기억조차 전설이 되어버린 폐허의 세계, 외롭게 고립되어 궁핍에 시달리는 마을, 어설픈 감정은 가슴속에 숨긴 채 주어진 의무의 길을 따라야 하는 왕녀…. 다카하시 신이 <최종병기 그녀>에 이어 국내 팬들에게 선보이는 만화 <너의 파편>은 누가 보더라도 미야자키 하야오를 떠올리게 한다. 단순히 장르 안의 재해석이 아니라 설정에서부
글: 이명석 │
2005-05-20
-
[도서]
마술적 리얼리즘 어우러진 고딕풍 연애담, <바람의 그림자>
“여기서는 사랑 때문에 미쳐서 죽는 사람이 계속 있으니 자네는 며칠 내로 그런 기회를 갖게 될 걸세.” 가르시아 마르케스가 쓴 <콜레라 시대의 사랑>에 나오는 이 문장은 <바람의 그림자>에도 절묘하게 적용된다. 운명적 사랑으로부터 죽는 날까지 도망갈 수 없는 사람들이 역사의 비극과 사회의 통념 안에서 겪는 일. “이 작품을 제대로
글: 이다혜 │
200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