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수줍음이 사랑의 가장 큰 적이다”
클로드 를르슈 감독이 창조한 세계는 사랑이 충만하다. 올해 부산에 들고 온 신작 <(신)남과 여>도, 20주년 특별전 ‘내가 사랑한 프랑스영화’ 상영작인 <남과 여>(1966)도 남자와 여자의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신)남과 여>는 세계적인 영화음악 작곡가 앙투안 아벨라르(장 뒤자르댕)가 발리우드 영화음악 작업을 위해
글: 김성훈 │
사진: 손홍주 │
2015-10-20
-
[스페셜1]
소렌티노의 영화에 꼭 출연하고 싶었지
<택시 드라이버>에서 어린 창녀(조디 포스터)를 착취하는 악덕 포주를 다시 떠올리는 건 어렵지 않다. <비열한 거리>의 건달 찰리, <저수지의 개들>의 미스터 화이트, <펄프픽션>의 해결사 울프도 꽤 근사했다. 그래도 누군지 모르겠다면, <라스트 갓파더>에서 “영구”라고 외치던 영구 아버지 돈 카리니는
글: 김성훈 │
사진: 손홍주 │
2015-10-20
-
[스페셜1]
“국경 넘어 영화로 소통하기를 고민 중”
어쩌면 <바닷마을 다이어리>의 가장 흥미로운 점은, 실제로 남자 형제만 두고 있는 여배우들이 네 자매를 연기한다는 점일지도 모른다. “막내 역의 히로세 스즈를 제외하고 우리 모두 오빠나 남동생이 있는 집에서 자랐다. 막연하게 자매들끼리 살면 이런 일들이 있겠구나 생각만 했는데, 이번 영화에 출연하며 실제로 그걸 경험해봤다는 점이 재미있었다. 특
글: 장영엽 │
사진: 손홍주 │
2015-10-20
-
[스페셜1]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액션을 설계하고 싶지는 않았다”
기다림은 결코 헛되지 않았다. 허우샤오시엔 감독의 8년 만의 신작이자 첫 무협영화 <자객 섭은낭>은 21세기의 새로운 클래식으로 기억될 영화다. 당나라 시대, 누구보다 뛰어난 암살자이나 한때 사랑했던 남자를 죽여야 하는 딜레마에 처한 섭은낭의 모습을 완성해나가는 과정에서 무한한 상상의 자유를 느꼈다고 허우샤오시엔은 말한다. 더불어 이 대만 출신
글: 장영엽 │
사진: 이동훈 │
2015-10-20
-
[스페셜1]
랑데부 인 BIFF
베스트 오브 베스트. 올해 20주년을 맞은 부산국제영화제를 찾은 게스트의 명단을 보면 그런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아시안 시네마의 거장 허우샤오시엔부터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지아장커, 고레에다 히로카즈, 프랑스의 클로드 를르슈와 이탈리아의 루카 구아다니노까지, 아시아를 비롯해 21세기 시네마의 예술적 흐름을 주도하는 수많은 감독들이 부산을 찾았다.
글: 씨네21 취재팀 │
사진: 이동훈 │
2015-10-20
-
[스페셜1]
1인 미디어, 노하우를 알려주마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1인 미디어가 될 수 있는 시대다. 저널리즘의 이해가 부족해도 괜찮다. 유튜브, 아프리카TV 등 동영상 플랫폼에 영상을 업로드하는 데 대단한 지식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플랫폼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 ‘마뚜기 TV’, ‘마블 보는 메뚜기’를 운영하고 있는 최은태씨의 얘기를 참고 삼아, 나만의 채널을 갖고 싶은 이들에게 도움이 될 만
글: 이주현 │
2015-10-13
-
[스페셜1]
“1인 미디어 창작자 새싹들을 지원하고 키운다”
MCN 사업의 최전선에서 창작자들이 콘텐츠 생산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기업 ‘트레져 헌터’는 어떤 회사이며 어떤 이윤을 추구하는 곳일까. 박진우 사업본부장을 직접 만나 막연하게 1인 미디어 창작자들을 거느린 기획사라는 인식에서 출발한 질문을 던져봤다. 1인 미디어 창작자와 플랫폼, 사업자가 어떻게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업계가 지향하는 바는 무엇인지
글: 김현수 │
사진: 백종헌 │
2015-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