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영화 블랙박스]
[한국영화 블랙박스] 안녕, 필름시대
정말이지 눈 깜짝할 새에, 거대한 공룡이 사라지듯 필름이 멸종됐다. 코닥이 망했고, 값비싼 필름 카메라들은 순식간에 골동품이 되었다. 극장 영사기가 디지털로 바뀌기 시작할 때만 해도 촬영만큼은 필름으로 하는 게 더 화질이 좋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그 차이를 대폭 좁힌 혁신적인 ‘RED’카메라가 나오면서 촬영 또한 디지털로 바뀌었고, 게임은 순식간에 끝이 났
글: 정윤철 │
2013-08-26
-
[한국영화 블랙박스]
[한국영화 블랙박스] 내가 영화 좀 봐서 아는데
우리나라 지자체 중 극장이 없는 곳이 109곳이나 된다. 극장에 한번 가려면 근처 다른 도시까지 가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곳들이다. 전북 장수군에서는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2010년에 작은 영화관(한누리시네마)을 하나 열었다. 인구 2만명의 장수군에서 2012년에만 관객 3만2천명이 극장을 찾았다. 고작 2개관 90석(1관 36석, 2관 54석
글: 류형진 │
2013-08-19
-
[한국영화 블랙박스]
[한국영화 블랙박스] 걸리는 데 의의가 있다고?
독립영화당이 8월2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독립/예술영화가 개봉 상영되는 상설 스크린의 수는 전국적으로 60개다. 8월5일 현재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가입 스크린 수가 2429개이니, 전체의 2.4% 정도 된다. 이 60개의 스크린은 한국 독립영화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 한국 독립영화 외에 수입 예술영화와 메이저가 제작/배급하는 저예산영화도 상영한다
글: 원승환 │
2013-08-12
-
[한국영화 블랙박스]
[한국영화 블랙박스] 한방에 해결하자고?
스크린 독과점에 대한 논란의 목소리가 높다. 한편에선 법으로 강력하게 규제해야 한다고 한다. 또 다른 한편에선 시장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한다. 언론사들이 기삿거리로 써먹기 좋은 논쟁거리가 만들어졌다. 그래서인지 알려지는 논란은 ‘법적 규제 vs 시장 자율’의 명쾌한 구도다.
한 영화가 혼자서 너무 많이 해먹는다, 스크린 독과점이다, 해도 너무한다, 법
글: 최현용 │
2013-08-05
-
[한국영화 블랙박스]
[한국영화 블랙박스] 슈퍼갑질 대체 언제까지?
적절한 심의를 통해 영화 관객의 연령층을 제한하는 것은 분명 필요한 일이지만, 대한민국 헌법 22조에 보장된 ‘학문 예술의 자유’ 또한 그 무엇보다 중요함을 잊어선 안된다. 하나 현재의 영상물등급위원회(이하 영등위)는 불행히도 무원칙한 등급심의를 일삼으며 끊임없이 헌법에 도전하고 있다. 단순히 사내 불륜을 다뤘다는 이유로 <연애의 온도>에 청소년
글: 정윤철 │
2013-07-29
-
[한국영화 블랙박스]
[한국영화 블랙박스] 이제는 관객까지 챙겨야 할 때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의 ‘독립영화 배급지원센터’에 대한 기본 구상이 나오면서, 투자 및 제작 지원-배급 지원-상영 지원의 파이프라인이 대략 정리되어가고 있다. 세부 사업들을 어떻게 짜나갈 것인가와 그 규모나 범위 등에 대해서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일련의 프로세스를 갖추어간다는 점에서 내년부터는 변화된 모습을 기대할 수 있겠다. 그럼에도 걱
글: 류형진 │
2013-07-22
-
[한국영화 블랙박스]
[한국영화 블랙박스] 영비법 29조 3항의 모순
헌법 제21조 제2항은 언론/출판에 대한 허가나 검열을 금지한다. 검열이란 ‘명칭이나 형식과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행정권이 주체가 되어 사상이나 의견 등이 발표되기 이전에 예방적 조치로서 그 내용을 심사, 선별하여 발표를 사전에 억제하는, 즉 허가받지 아니한 것의 발표를 금지하는 제도’다. ‘사전검열은 법률로서도 불가능한 것으로서 절대적으로 금지’된다. 헌법
글: 원승환 │
사진: 최성열 │
2013-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