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독립영화도 공급자 위주의 지원정책에서 벗어나 관객 개발 부분에 눈돌릴 필요가 있다.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의 ‘독립영화 배급지원센터’에 대한 기본 구상이 나오면서, 투자 및 제작 지원-배급 지원-상영 지원의 파이프라인이 대략 정리되어가고 있다. 세부 사업들을 어떻게 짜나갈 것인가와 그 규모나 범위 등에 대해서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일련의 프로세스를 갖추어간다는 점에서 내년부터는 변화된 모습을 기대할 수 있겠다. 그럼에도 걱정스러운 부분은 그 파이프라인의 마지막 부분인 관객에 대해서는 별다른 정책 대안이 없다는 점이다. 배급과 홍보 마케팅 부분에서 관객 중심의 전략을 추진하겠다는 정도의 포괄적인 제안은 제시되었으나, 구체화된 대안이 없으니 여전히 “만들어놓고 틀면 뭐하나, 보는 사람이 없는데”라는 공급자 위주의 재원 조달 정책이 갖는 한계는 남게 된다.
사실 그동안 관객 개발이라는 부분은 영화 정책 분야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못했던 부분이다. 관객 개발을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지, 어떤 정책 수단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지도 못하고, 조사된 바도 없다. 결국 일정 수준의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한데, 정부나 영진위도 그런 일을 해본 경험이 전무하므로 맨땅에 헤딩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지원금만 있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이 부분에서 업계에서 활동하고 있는 마케팅업체와 대기업들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사실상 이들만이 유일하게 영화와 관련된 관객조사와 마케팅 트렌드 연구를 지속해오며 관객 개발 활동을 해온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예전에 할리우드 직배사들은 매년 공동으로 한국시장의 마케팅 트렌드 및 관객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공유했었다. 그런 정보들은 개별 기업 입장에서 매우 중요한 자산가치이기에 공개나 공유가 어렵다는 것은 이해하지만, 만일 그 대상이 독립영화 또는 다양성영화라는 특정한 영역에 대한 것이라면 각 기업의 영업 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공익적인 차원의 기여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예를 들어 CGV 무비꼴라쥬가 다양성영화 관객 성향이나 특정한 프로그램 기획이나 프로모션 효과를 분석한 자료를 매달 발표해주는 것만으로도 여타 소규모 영화사나 전용관들은 상당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독립영화 배급지원센터에서 여기에 추가로 해외나 타 예술 분야의 관객 개발 사례나 정책들을 꾸준히 발굴해 소개한다면 기본 데이터는 충분히 확보될 듯하다. 배급지원센터가 각 영상위원회나 미디어센터, 문화센터 등을 허브로 하여 각 지역 영화단체나 동아리 등과 네트워킹할 수 있다면, 맨 끝단까지 챙기는 지원 체계를 만들 수도 있지 않을까. 꿈같은 얘기지만 배급지원센터의 활동에 기대를 걸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