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민(현우석)은 글로브의 <FACES PLACES>를 좋아한다. “Best of my life”을 되뇌는 노래 가사처럼, 그는 17살인 지금이 인생 최고의 날들로 기억되리라고 직감한다. 자신의 취향을 이해하고, 그 세계를 넓혀주는 전학생 경환(심현서)과 이어폰을 나눠 낄 때만큼은 전에 없던 평화를 누릴 수 있으니 말이다.
영화 <아이를 위한 아이> <힘을 낼 시간> 등을 지나오며 위태로운 소년의 초상을 여러 번 덧칠해온 배우 현우석은 그 순간을 숙면에 빗댔다. 변화를 두려워하는 인물도 이런 관계에서만큼은 편히 쉴 수 있기를 바란다면서. 차기작인 넷플릭스 시리즈 <기리고>에서도 교복을 입는다는 그는 현우석의 소년이 언제쯤 행복해질 수 있느냐는 물음에 엷은 미소로 말을 아꼈다.
- <아이를 위한 아이> <돌핀> <힘을 낼 시간>에서와 달리 <너와 나의 5분>에서 비로소 사사로운 학창 시절의 풍경
[인터뷰] 자극과 안정 사이의 순수, <너와 나의 5분> 배우 현우석
-
경환(심현서)은 글로브의 <DEPARTURES>를 좋아한다. “사진 속 두 사람”을 그리는 노래 가사처럼, 그는 전학 간 학교에서 어른이 되어도 바래지 않을 추억을 현상한다. 그 장면을 함께 채운 이는 우정 이상의 애착을 느끼게 하는 짝꿍 재민(현우석). 그래서 경환에게는 재민에게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가 쌓여간다.
거기에 먼저 귀 기울인 배우 심현서는 뮤지컬 <빌리 엘리어트>로 데뷔해 단편 <유월>(2018)로 영화 팬들에게 눈도장을 찍은 적이 있다. 자유로이 춤추던 어린이는 사랑에 아파할 줄 아는 소년으로 자라 첫 장편영화 주연이라는 기회를 잡았다. 그게 얼마나 어려운 건지 안다는 신예는 “성인이 되기 전에 이런 일을 경험할 줄 몰랐다”며 설렘을 감추지 않았다.
- 오랜 사랑을 받은 단편 <유월>의 주인공이 이렇게 자랐다니 반갑다. 작품이 얻은 호응을 기억하고 있나.
촬영할 당시에만 해도 내가 배우라는 의식이 별로 없었다. 영화
[인터뷰] 내 마음에 꽂아둔 책갈피들, <너와 나의 5분> 배우 심현서
-
<소년탐정 김전일> 대 <명탐정 코난>. <슬램덩크> 대 <드래곤볼>. <이누야샤> 대 <원피스>. 전자만 고르는 소년과 후자만 고르는 소년은 서로 맞는 게 하나도 없다며 투닥거리지만, 속으로는 알고 있다. 각 만화의 매력을 견주며 진심 어린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상대는 서로밖에 없음을. 한국영화아카데미 졸업 작품 <피터팬의 꿈>(2020)으로 주목받은 엄하늘 감독의 첫 장편 <너와 나의 5분>은 그런 간극을 파고든다. 평상시엔 흐릿하다가도 단숨에 선명해지는 고등학생들의 마음을 건져내기 위해서다. 밤이 깊을수록 별이 반짝이는 것처럼, 2001년 대구 수성구라는 배경도 아이들의 뒤를 받친다.
그 앞에 선 배우 심현서와 현우석은 촬영 전부터 사투리 수업을 들으며 가까워졌다고 한다. 그들이 연기한 경환과 재민 또한 일본 가요를 매개로 친구가 되었다. 익숙한 말씨에서 벗어나며 거리를 좁힌 두 사람은
[커버] 소년들의 시간, <너와 나의 5분> 배우 심현서, 현우석
-
<수학영재 형주>의 16살 주인공 형주(정다민)를 뽑는 오디션 공고를 봤을 때, 배우 정다민은 마음이 동했다. “형주와 나에게 수학과 스케이트보드라는 공통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프로필이 없어 셀피 사진 한장과 보드를 타는 영상을 보냈고, 대면 오디션에서는 <세일즈맨의 죽음>이라는 정석적인 연기로 합격했다. 극 중 형주는 밴드 보컬이던 죽은 엄마(신기환)에게서 신장질환 유전병을 물려받았다. 생존을 위해서는 신장 공여자 확보가 필수적이지만 아버지 민규(곽민규)가 친아버지가 아니라는 유전자 검사 결과를 받게 된다. 살기 위해, 또 알기 위해 형주는 유력한 친아버지 후보인 세 남자를 찾아 전국을 누빈다. 시나리오를 어떻게 읽어야 할지도 몰랐던 정다민이 현장을 실감한 건 뜻밖에도 뾰루지 때문이었다. “첫 촬영 날, 볼에 큰 뾰루지가 나서 진행할 수가 없었다. 이 많은 사람의 시간에 내가 영향을 준다는 것, 영화는 거대한 공동체 작업이라는 걸 그때 실감했다.” 죽은 엄마
[WHO ARE YOU] 서툴지만 용감하게, <수학영재 형주> 배우 정다민
-
-
- 가와무라 겐키 감독에게 <8번 출구>의 기획을 처음 들었을 때 어떤 생각이 들었는지.
아주 묘했다. (웃음) 원작 게임을 잘 알고 있었고, 게임에 별다른 이야기랄 것이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초기 기획 땐 캐스팅된 배우가 나밖에 없었다. ‘이거 정말 괜찮을까…?’라는 마음이 들었다. (웃음) 하지만 감독님이 각본 집필 단계부터 함께해주셨고, 이 과정에서 감독님의 계획을 들으며 안심하게 됐다.
- 시나리오나 캐릭터 설정에 관해 많은 의견을 제안했다고 들었다. 예를 들어 ‘헤매는 남자’가 일상에서는 굉장히 지쳐 보이지만 막상 지하도에 갇히고 나서는 점점 얼굴에 생기가 돌게 된다는 역설적인 표현을 제시했다고.
보통의 영화제작 과정보다 아주 많은 의견을 주고받았다. 나뿐만 아니라 다른 배우들, 제작진도 참여했다. 촬영이 끝나고 나면 다음 촬영에 대한 피드백을 나누고 연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 의견을 당일 밤에 감독님이 정리하고, 아침에 촬영이 시작
[인터뷰] 0에서 1이 아닌 0으로 돌아가는, <8번 출구> 니노미야 가즈나리
-
청초하다. 니노미야 가즈나리 배우를 처음 만난 순간에 곧바로 뇌리를 스친 생각이다. 어쩌면 20년 전 TV에서 보던 모습 그대로일까. 1996년에 연예계 경력을 시작해 1998년에 매체 연기를 시작, 1999년엔 일본의 국민 보이밴드 ‘아라시’로 데뷔한 그는 일본의 대표적인 배우, 가수, 방송인으로 왕성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그의 활력은 눈앞에서도 한결같았다. 방금 막 부산에 도착한 여행객 같지 않았다. 당일 일본에서 건너와 늦은 저녁의 인터뷰 장소에 도착한 그는, 방금 아침을 맞이한 사람처럼 활기를 내뿜었다. 올해 데뷔한 신인 아이돌과 이야기하는 듯한 착각이 들 정도의 섬세한 고민과 당찬 포부는 그가 어떻게 30년 가까이 연예계에서 최정상의 궤적을 유지하고 있는지 단숨에 느끼게 했다.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2006)를 비롯해 <간츠><암살교실><암살교실: 졸업편>등의 만화 원작 실사영화와 <검찰측의 죄인&
[커버] 0으로 돌아가서, 다시 - <8번 출구> 배우 니노미야 가즈나리
-
사랑하는 만큼 미칠 수 있다. 이희주 작가의 세계에서는 아름다움에 대한 순정한 추구와 그로 인해 생긴 맹목, 닿을 듯 닿지 않는 애정의 대상이 만들어내는 특유의 서사와 풍경이 있다. 특히나 그 자신이 오랫동안 애정해온 k팝을 키워드로 하는 사건과 인물을 다룰 때 그 힘은 강렬해진다. 장편소설 <성소년>이 영국과 미국에 억대 계약금으로 출간 계약되었다는 소식이 들리고 나온 이희주의 첫 책은 단편집 <크리미(널) 러브>다.
- 데뷔한 지 10년 만의 첫 소설집이다.
대학 때 시를 쓰다가 처음 쓴 소설 <환상통>(2016)으로 데뷔한 이후 장편 작업만 했다. 단편을 쓰기 시작한 지는 얼마 안돼 실질적으론 근 3년간 발표한 작품을 묶은 거다.
- 소설집 제목을 편집자가 지었다고 들었다. 장단편을 불문하고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단어의 조합이다.
편집자님이 “<크리미(널) 러브> 어떠세요?”라고 말했을 때 ‘이거 말고 다른 거는 없겠는데’
[trans x cross] 쓰는 순간엔 매번 몸부림치고 있다, <크리미(널) 러브> 소설가 이희주
-
강렬한 긴장감과 속도감으로 몰아치는 액션 및 스릴러 단편영화들이 격돌하는 섹션이다. 추격, 범죄, 복수, 생존 등 장르적 동력을 기반으로 하드보일드 액션부터 정밀하게 설계된 심리 스릴러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의 영화들을 아우른다. 단편영화라는 형식 안에서 장르의 에너지와 감각을 극한까지 밀어붙이며 장르적 쾌감, 이야기의 밀도, 그 안에서 선명하게 드러난 감정선 등 액션과 스릴러가 어떻게 새롭게 재해석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Q1. 영화를 연출하기로 결심한 계기는 무엇입니까.
Q2. 좋아하는 영화 혹은 만들고자 하는 영화는 어떤 결입니까.
<건투> Toe to Toe
신유석 SHIN Yu Seok | 2025 | Fiction | Color | 22min(E) | 12
10/17(금) 14:30 CGV용산아이파크몰 6관 GV
10/19(일) 11:30 CGV용산아이파크몰 5관
소년 정수는 복싱 체육관에서 줄넘기, 샌드백, 미트 치기와 스파링을 반복하며 훈련을
[커버]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제21회 미쟝센단편영화제
-
초자연적 현상과 환상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현실과 비현실을 넘나드는 공포, 판타지 단편영화들을 소개하는 섹션이다. 전통적인 괴담의 정서부터 현대적 해석이 더해진 심리 공포, 미스터리, 다크 판타지 등 다양한 장르적 결을 가진 작품들이 펼쳐진다. 단순한 공포를 넘어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감각, 설명되지 않는 불안, 말로 다할 수 없는 정서와 마주하게 된다. 때로는 시각적 상상력과 스타일로, 때로는 서늘한 분위기와 서사적 장치로 우리 내면의 그림자를 건드리며 관객을 낯선 감정의 영역으로 이끈다.
Q1. 영화를 연출하기로 결심한 계기는 무엇입니까.
Q2. 좋아하는 영화 혹은 만들고자 하는 영화는 어떤 결입니까.
<체화> Chaehwa
홍승기 HONG Seung Gi | 2024 | Fiction | Color | 21min | 12
10/18(토) 11:00 CGV용산아이파크몰 6관
10/19(일) 18:00 CGV용산아이파크몰 5관 GV
수수께끼의 전학생
[커버] 기담 – 제21회 미쟝센단편영화제
-
유머를 통해 인간과 사회를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는 섹션이다. 단순한 웃음을 넘어 블랙코미디, 사회풍자, 슬랩스틱 등 다양한 감정의 결을 아우르며 그 속에서 삶의 복잡함과 아이러니를 재치 있게 비틀고 조명한다. 유쾌함과 통찰, 가벼움과 진지함 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사는 세계를 조금 다르게 바라보게 만드는 ‘웃음의 힘’을 전한다.
Q1. 영화를 연출하기로 결심한 계기는 무엇입니까.
Q2. 좋아하는 영화 혹은 만들고자 하는 영화는 어떤 결입니까.
<나쁜 피> Bad Blood
김형태 KIM Hyeong Tae | 2025 | Fiction | Color | 19min Korean Premiere | 12
10/17(금) 12:30 CGV용산아이파크몰 5관
10/19(일) 15:30 CGV용산아이파크몰 7관 GV
악마인 아버지의 피를 물려받아 헤비메탈 밴드에서 기타를 치는 고등학생 리엘(17, 여자). 그녀의 밴드는 학교 축제 무대에
[커버] 품행제로 – 제21회 미쟝센단편영화제
-
사랑과 이별을 비롯해 인간관계 속에서 마주하는 감정의 균열과 진동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단순한 로맨스나 멜로드라마의 경계를 넘어 사랑을 둘러싼 욕망과 불안, 질투와 열망, 상처와 회복 등 다양한 감정선을 각기 다른 시선으로 탐색한 작품을 모색한다. 단편영화만의 작고 날카로운 시선을 통해 우리 안의 복잡한 감정들을 비춰보고 깊이 있게 들여다보는 창이 되고자 한다.
Q1. 영화를 연출하기로 결심한 계기는 무엇입니까.
Q2. 좋아하는 영화 혹은 만들고자 하는 영화는 어떤 결입니까.
<서울 사랑 정도> Capital Love
이종우, 신정우, 박지훈 LEE Jong Woo, SHIN Jeong Woo, PARK Ji Hoon | 2025 Fiction | Color+B&W | 22min(E) | 12
10/17(금) 14:30 CGV용산아이파크몰 5관 GV
10/19(일) 18:00 CGV용산아이파크몰 6관
수도 서울을 기념하려 남산 아래 타임캡슐이 매설되던
[커버] 질투는 나의 힘 – 제21회 미쟝센단편영화제
-
지금 이 시대의 삶과 현실을 감각적으로 포착한 단편영화들을 조명하는 섹션이다. 젠더, 노동, 환경, 주거, 복지, 차별과 혐오, 연결과 단절 등 현재를 관통하는 사회적 이슈들을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보며 동시대의 질문을 영화적 언어로 풀어낸다. 단편영화만의 자유로운 실험성과 표현을 통해 지금, 여기의 삶을 다층적으로 성찰하며 우리 사회를 새롭게 바라보게 하는 영화를 소개한다.
Q. 1. 영화를 연출하기로 결심한 계기는 무엇입니까.
Q. 2. 좋아하는 영화 혹은 만들고자 하는 영화는 어떤 결입니까.
<살처분> Forced Silence
서예인 SEO Ye In | 2025 | Fiction | Color | 23min | 15
10/17(금) 14:50 CGV용산아이파크몰 7관10/18(토)
11:00 CGV용산아이파크몰 5관 GV
엄마에게서 어떻게든 독립하고자 돈이 필요한 주희는 서울에 혼자 살며 여러 일들을 전전한다. 그러던 어느 날 큰 일당을 받고 가게
[커버] 고양이를 부탁해 – 제21회 미쟝센단편영화제
-
제21회 미쟝센단편영화제(이하 미쟝센영화제)가 열린다는 소식에 미쟝센 사무국 앞으로 총 1891편의 단편영화가 도착했다. 영화제 역사상 최다 출품이다. 숙고에 숙고를 거듭하는 심사 끝에 오직 65편만 상영작으로 선정되었다. 그렇게 완성한 상영작 목록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으니 그 세계를 형상화한 감독들이 궁금하기만 하다. 그래서 그들에게 물었다. ‘당신의 영화는 어떤 영화인가요?’ ‘어떤 영화를 만들고 싶고, 어떤 영화를 좋아하시나요?’ 60여명의 감독들은 저마다 다양한 답을 들려주었다. 자신만의 확고한 지향점을 스스럼없이 밝히면서. 오랜 시간 가다듬어온 영화 취향을 나직하게 고백하면서. 그러므로 이어질 65편의 상영작 시놉시스와 감독 인터뷰를 귀하게 바라봐주셨으면 한다. 미래의 엄태화, 장재현, 윤가은, 이상근, 이옥섭, 조성희, 한준희 감독이 될 그 누군가의 출발 지점이 바로 여기에 있다.
*이어지는 글에서 제21회 미쟝센단편영화제 섹션별 상영작 시놉시스와 감독 인터뷰가 계속됩
[커버] 단편영화를 좋아하세요? - WHAT’S NEXT?
-
40여년간 이어져온 <트론>시리즈의 세계관 내 사건, 사고를 시간순으로 정리했다. 월트디즈니 스튜디오는 장편영화 <트론><트론: 새로운 시작>외에 페이크 다큐멘터리 형식의 단편영화와 비디오게임, 애니메이션 등을 제작하면서 세계관 설정을 이어왔다. <트론: 아레스>역시 같은 세계관 내의 인물과 사건이 이어진다. <트론: 아레스>를 만나기 전 <트론>시리즈에서 벌어진 사건과 <트론> 세계관에서만 통하는 용어를 예·복습해보자.
<트론> 시리즈 연표
1979년
엔컴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케빈 플린, 비디오게임 <스페이스 파라노이드>개발하다.
엔컴의 프로그래머 에드 딜린저가 케빈 플린의 게임 기술을 자신의 발명품이라고 속여 출시한 뒤, 부사장으로 승진하다.
1982년(<트론>)
에드의 지시를 받던 흉포한 프로그램 마스터 컨트롤에 의해 케빈이 사이버공간 그리드에 갇히다.
[커버] <트론> 세계관 총정리 – 시리즈 연표부터 용어 해설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