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알로하, 나의 엄마들>
1917년 일제강점기 경상도 어진말에 사는 18살 버들이에게 중매가 들어온다. 훈장이었던 아버지가 의병으로 죽은 후 끼니를 걱정하며 살던 버들 애기씨에게 들어온 선 자리는 무려 태평양 건너 포와(지금의 하와이)의 낯선 사내다. “거 포와를 낙원이라 안 캅니꺼. 거 가기만 하면 팔자 피는 기라. 애기씨 거 가면 공부도 할 수 있습니더.” 재외동포와 사진만
글: 김송희 │
사진: 오계옥 │
2020-04-21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자본'에 대한 노트>, <아카이브 취향>, <정크스페이스 |미래 도시>
문학과지성사의 새로운 인문 시리즈인 ‘채석장’ 시리즈의 첫권은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과 알렉산더 클루게의 글을 묶은 <'자본'에 대한 노트>다. 에이젠슈테인은 <율리시스>가 블룸씨의 하루를 다루듯, 영화 <자본>에서 한 사람의 하루를 세밀하게 묘사하면서 그 과정에서 연상되는 사물들과 역사적 사건들을 이어 붙여 세계 전체를 그
글: 진영인 │
사진: 오계옥 │
2020-04-21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인생의 특별한 관문>
<인생의 특별한 관문>은 명문대 졸업생일수록 소득이 수직 상승한다고 딱 잘라 말한다. 그리고 하나 더, 명문대일수록 빈곤층 학생이 들어가기 어렵다고 한다. 이 책은 교육 수요자 말고 공급자, 즉 대학의 입장을 해부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성이 있다. 대학은 다양한 계층의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는 공정한 이미지를 갖고 싶어 한다. 하지만 소수집단 우
글: 진영인 │
사진: 오계옥 │
2020-04-21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세상의 모든 시간>
뮌헨예술원 명예교수이자 큐레이터, 작가인 토마스 기르스트가 쓴 <세상의 모든 시간>은 ‘느리게 사는 일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초연결, 실시간 피드백의 시대에 누구나 ‘지금 당장’, ‘잠깐만’이라는 말로 시간을 쉼 없이 분절해 받아들이는 이들을 위한 쉼표가 되는 책이다. 이 책의 서문에서 기르스트는 작가 비르지니 데팡트의 말을 인용한다. 우리
글: 이다혜 │
사진: 오계옥 │
2020-04-21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 <씨네21>이 추천하는 4월의 책
예년에 비해 현저히 적은 인파 사이에서 봄꽃이 한창 피고 졌다. 봄인데 하늘이 매일 맑다. 선거운동은 조용하게 마무리되었다.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투표에 참여했다. 연휴가 다가오지만 여행을 꿈꾸기 어렵다. 코로나19 시대의 달라진 풍경 속에 시간이 흐른다. 시간을 붙잡아두려는 애달픈 마음으로 책을 쌓아두고 읽는다. 당신의 마음을 울린 책은 무엇인가.
글: 씨네21 취재팀 │
사진: 오계옥 │
2020-04-21
-
[해외통신원]
[베를린] '캥거루 연대기' 코로나19 속 흥행 선전
지난 3월 5일 개봉한 <캥거루 연대기>는 나흘 만에 관객 37만5천명을 불러모았고 개봉주 독일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하며 흥행대성공을 예감했다. 하지만 그다음주 코로나19 여파로 관객수가 줄면서 9만명을 기록했고, 곧 코로나19 확산 방지 조처로 모든 영화관이 문을 닫았다. 그런데도 이 작품은 2주의 상영기간 동안 총 54만 관객을 동원하는
글: 한주연 │
2020-04-21
-
[TView]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아빠가 애 보는 거 처음 보나?
아기(Baby), 동물(Beast), 미녀(Beauty)가 등장하면 실패하지 않는다는 광고계의 ‘3B 법칙’처럼 한국 예능계에는 ‘남자, 아기, 백인’을 등장시키면 망하지 않는다는 믿음이 있는 듯하다. 마침 MBC every1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이하 <어서와~>) 벨기에 편에 등장한 세 살짜리 아기 ‘우리스’는 이 세 가
글: 최지은 │
2020-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