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인디포럼(indie forum) 2003 [1]
골때리는 영화들아, 반갑다5월 31일부터 개막하는 인디포럼 2003, 추천작 25편독립영화의 새로운 흐름을 조망하는 인디포럼 2003이 5월31일부터 6월8일까지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열린다. 올해 인디포럼이 내건 슬로건은 ‘산점(散點)-미학선언1. 의미의 비종속성’이다. ‘초점’의 상대어인 ‘산점’이라는 개념은 회화에서 쓰였던 것으로, ‘사물의 다양한 측면을
글: 문석 │
2003-05-30
-
[스페셜1]
인디포럼(indie forum) 2003 [2]
장르, 네 멋대로 놀아라|다채로운 장르 유희 6편독립영화가 장르영화의 반대편에 있다고? 하지만 영화의 역사에서 주류의 자리를 차지해온 장르영화를 제쳐놓고 영화를 상상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물론 인디포럼 2003의 영화들이 장르를 고민하는 방식은 남다르다. 전형적인 장르의 틀을 가져오지만, 이내 이를 제멋대로 해체하고 재조립해 기묘한 세계를 창조해낸 것.
글: 문석 │
2003-05-30
-
[스페셜1]
인디포럼(indie forum) 2003 [3]
‘선전’에서 ‘소통’으로, 코드를 변경하라|유연해진 매체, 다큐멘터리 5편다큐멘터리는 그동안 ‘강박증’을 앓아왔다. 9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극영화와 짐을 나눠가졌지만, 그 이후에는 ‘역사와 사회’라는 장벽을 혼자 짊어져야 했기 때문에 더욱 그랬을지 모른다. 그런 의미에서 올해 인디포럼에서 상영되는 다큐멘터리 13편은 일종의 전회(轉回)처럼 보인다. 소
글: 문석 │
2003-05-30
-
[스페셜1]
2003 칸 리포트,두 보고서 [1]
우정과 반미 사이, 미국은 광분, 프랑스는 으쓱칸을 뜨겁게 달군 사건과 사람들, 칸의 명불허전 4장면+α칸=글 박은영·사진 정진환·취재지원 성지혜밤마다 레드 카펫 세리머니가 펼쳐지는 뤼미에르 극장 앞에는 이른 저녁부터 스타들을 보기 위해 몰려든 인파로 북적댄다. 귀족처럼 차려입은 선남선녀들이 반짝거리는 초대장을 들고 극장 속으로 사라질 무렵, 크로와제
2003-05-30
-
[스페셜1]
2003 칸 리포트,두 보고서 [2]
“영화적 실험보다 기자회견이 더 두려워”칸 최고의 화제작 <도그빌> 감독 라스 폰 트리에 독점 인터뷰칸영화제 기간 중에 입장 경쟁이 가장 치열했던 시사회와 기자회견을 꼽으라면, 단연 <도그빌>을 들 수 있다. 이날 기자들은 참 많이 뛰었다. 아침 8시30분이라는 이른 시각에 열리는 기자시사에 늦지 않기 위해, 2시간58분의 러닝타임을
글: 이다혜 │
2003-05-30
-
[스페셜1]
2003 칸 리포트,두 보고서 [3]
3부작의 다른 작품들은 어떤 스타일로 연출할 계획인가. 3편의 영화 스타일이 모두 다 똑같다. 말하자면 내 방식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려는 거다. (웃음) 이 작품도 초기엔 평범한 로케이션을 염두에 두고 스크립트를 썼다. 사생활이라곤 불가능한 작은 마을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루기엔 어딘가 미흡하게 느껴졌고, 그때 ‘지도’처럼 평면적이고 투시적인 세트가 떠
글: 이다혜 │
2003-05-30
-
[스페셜1]
2003 칸 리포트,두 보고서 [4]
칸을 습격한 꼬리 아홉달린 영화들에 관한 보고정성일, 칸으로부터의 편지2 - <도그빌> <오후5시> 등 칸 화제작 오디세이칸 = 정성일/ 영화평론가…(그리고 이야기는 계속된다) 칸에서 보내는 두 번째 이야기의 시작은 전 지구적인 화제이다. 어쩌면 서울에서 당신은 이미 <매트릭스2 리로디드>를 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칸영화제
글: 이다혜 │
2003-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