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21 리뷰]
"나를 낮추고", "하나가 돼라" <어머니>
2011년 9월3일, 노동자의 어머니 이소선 여사께서 그토록 그리던 아들 곁으로 가셨다. 고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로 투쟁의 장에 뛰어든 이후 노동운동계의 대모로 버텨온 40년 인고의 세월은 그녀를 한 사람의 어머니에서 모두의 어머니로 바꾸어놓았다. 이제 그녀는 떠났지만 부조리 앞에 망설임이 없었고 스스로 낮은 곳에 머물기를 자처했던 인간 이소선의 삶은 여
글: 송경원 │
2012-04-04
-
[씨네21 리뷰]
무대와 삶은 늘 계속 될 뿐 <온 투어>
‘연극이 끝나고 난 뒤’ 스포트라이트가 꺼진 무대 위에 내려앉는 쓸쓸함에 관한 이야기는 그리 드물지 않다. 빛이 강렬할수록 그림자는 짙어지게 마련이며 대개 환한 조명 아래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보다는 어둡고 음습한 곳에서 피어나는 이야기가 더 매력적인 법이다. 무대 위의 악마에게 매료되어 한번 무대 위 각광을 받아본 사람이라면 아무리 초라하게 내팽개쳐져도 쉬
글: 송경원 │
2012-04-04
-
[씨네21 리뷰]
감독만의 해석이 부족하다 <헝거 게임: 판엠의 불꽃>
미국판 <배틀 로얄>. 혹자들은 수잔 콜린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헝거게임: 판엠의 불꽃>을 이렇게 요약한다. 9년에 한번 소년소녀들을 죽음의 미로로 보내 괴물 미노타우로스와 싸우도록 했다는 고대 그리스 신화 ‘테세우스’를 원형으로 한 ‘헝거게임’은 가상의 독재국가 판엠이 체제 유지를 위해 기획한 서바이벌 게임이다. 12개 구
글: 이후경 │
2012-04-04
-
[씨네21 리뷰]
대만의 국민동생들이 연기하는 사춘기의 감성 <별이 빛나는 밤>
인생에서 중요하지 않은 나이란 없겠지만, 13살은 특별하다. <별이 빛나는 밤>의 주인공 샤오메이(서교)는 13살을 회고하면서 연약하지만 강한 시절이었고, 그때 그녀의 “여름은 이미 끝이 났다”고 말한다. 사람마다 여름이 끝나는 나이는 다르겠지만 13살은 그 시기를 상징하고 있다. 사춘기 소년, 소녀의 찬란하고 외로운 감성을 고이고이 수놓는 것
글: 이현경 │
2012-04-04
-
[씨네21 리뷰]
스토리의 허술함을 메우는 상상의 괴물들 <타이탄의 분노>
전편 <타이탄>과의 비교를 피할 수 없겠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확실한 볼거리가 있다. 급조된 3D 변환과 취약한 스토리라인이 문제가 되었던 전작에 비해 <타이탄의 분노>는 적어도 기술적인 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준다. 페르세우스(샘 워싱턴)가 크라켄을 물리친 <타이탄>의 결말로부터 약 10년 뒤, 그는 평범한 어부
글: 김효선 │
2012-04-04
-
[씨네21 리뷰]
처음 보든 다시 보든 충분히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이야기 <타이타닉 3D>
<아바타>로 3D영화의 파급력을 전세계에 알린 제임스 카메론 감독은 15년 전 이미 <타이타닉>(1997)이라는 초유의 블록버스터를 만들었다. 과거 대작들을 3D영화로 컨버팅하는 것이 유행인 최근 할리우드에서 그 대상으로 <타이타닉>을 선택한 것은 적절했다. 낭만적 사랑, 인간의 오만과 편견, 죽음과 맞서는 인간 군상 등
글: 이현경 │
2012-04-04
-
[씨네21 리뷰]
모범답안 같은 결론 <밀레니엄: 제3부 벌집을 발로 찬 소녀>
용 문신을 한 천재 해커, 작고 단단한 몸으로 사적 복수를 가하던 전사. 영화 <밀레니엄> 시리즈의 매력 중 하나는 여주인공 리스베트(노미 라파스)의 무정부주의적인 전투력일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밀레니엄: 제3부 벌집을 발로 찬 소녀>에서 리스베트는 이렇다 할 액션 신 없이, 시종일관 정적인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녀는 총알 제거
글: 김효선 │
2012-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