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자연의 해상도를 높이면]
[이자연의 해상도를 높이면] 아무도 읽지 않은 편지 <연의 편지> <셰계의 주인>
편지의 운명은 발신자가 정할까, 수신자가 정할까. 편지란 태생적으로 일단 쓰여져야 존재 목적이 생겨난다는 점에서 발신인의 의지가 중요하지만, 편지의 대상에게 최종적으로 도달해야만 과업을 완수하기에 수신자로의 당도가 필수적이다. 폐문부재 앞에서 편지가 무력해지는 것도 아무리 그것의 목적성이 뚜렷할지라도 원래 전달되었어야 하는 수신인을 만나지 못했기 때문이
글: 이자연 │
2025-11-13
-
[스페셜2]
[특집] ‘표현의 자유’를 둘러싼 다툼과 경쟁이 향할 곳, 마가(MAGA)가 구가하는 표현의 자유에 대하여
영화를 비롯한 모든 표현예술은 자유로움을 기초로 한다. 그렇다면 현대 미국은 자유로운 국가일까?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탁월한 영화의 생산지이자 여러 표현예술을 주도하는 인물과 사조가 자리하고 있는 곳이니 대충 그렇다고 말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뜯어보아도 트럼프와 마가 세력이 융성하고 있는 지금의 미국을 두고, 감히 자유의 기지라고 할 수는 없
글: 정준희 │
2025-11-07
-
[스페셜2]
[특집] 보편적인 선이 비정치적일 수 있는가, 제임스 건의 <슈퍼맨>이 품은 근본적 문제
할리우드 대형 스튜디오가 지금의 A24처럼 자기만의 고유한 특색을 갖고 있는 것처럼 보이던 때가 있었다. MGM은 뮤지컬을, 유니버설은 호러를 잘 만들었다는 식이다. 클래식 할리우드 시절 워너브러더스를 특징지었던 것은 사회비판적인 사실주의 영화들이었다. 이 하나만으로 워너브러더스에서 나온 모든 영화들을 정의할 수는 없지만(불멸의 <루니 툰>애니메
글: 듀나 │
2025-11-07
-
[스페셜2]
[특집] 타자화의 핏빛 공포, <컴패니언><씨너스: 죄인들><웨폰>⋯ 2025년 워너브러더스의 호러 필모그래피를 다시 읽다
진짜 무서운 이야기는 극장 밖에서 들려온다. 그러나 스크린만큼 흉흉한 소문을 먹음직스럽게 차려놓는 장소도 드물다. 정치적 이슈는 그만큼 호러의 신선한 재료가 될 자질을 가졌다. 현실에서 공포를 조장해 세력을 모으려는 수사가 남발될 때, 영화는 그 전략을 차용해 관객을 끌어들인다. 어쩌면 정치인과 영화인은 모두 얼마나 미더운 거짓말을 꾸며낼 수 있을지 궁
글: 남선우 │
2025-11-07
-
[스페셜2]
[특집] 누가 워너브러더스를 먹여살리나
<마인크래프트 무비>부터 <컨저링: 마지막 의식>까지. 워너브러더스는 올해 ‘7편 연속 북미 오프닝 4천만달러 흥행’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또 2025년 9월 이미 전세계 박스오피스에서 40억달러 이상의 수익을 창출했다. 하나의 스튜디오가 이만큼의 기록을 창출한 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이다. 게다가 영화의 면면이 워너브러더스의
글: 정재현 │
2025-11-07
-
[스페셜2]
[특집] 마가에 반응하는 워너 영화, 성적은?
2025년 미국 내 최고 흥행작 15위 중 7편이 워너 영화로 채워졌다. 이중 <씨너스: 죄인들>이 일으킨 이변, 예상보다 더 강세를 보인 <웨폰>에 주목해볼 만하다.
<마인크래프트 무비>의 압도적 흥행. 자국보다 해외 흥행이 더 강세였던 <F1 더 무비>가 올해 워너브러더스의 황금 거위로 자리매김해
글: 씨네21 취재팀 │
2025-11-07
-
[스페셜2]
[특집] 마가 시대, 워너브러더스 영화는 지금
2025년, 워너브러더스는 할리우드에서 가장 대담한 스튜디오가 되었다. 창립 100주년을 넘긴 이 거대 스튜디오는 트럼프 재집권이라는 격동의 시대에 놀라운 선택을 했다. 다른 스튜디오들이 DEI(다양성·평등·포용성) 정책을 후퇴시키고 ‘모든 관객에게 어필할 수 있는’ 안전한 콘텐츠에 집중하는 동안, 워너브러더스는 정치적 메시지가 직간접적으로 빛나는 영화
글: 김소미 │
2025-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