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충무로 멜로 장르에 대한 예의
이러다 충무로에 로맨틱코미디가 멸종 장르가 되는 게 아닐까 의심이 드는 참이었다. 때마침 <시라노; 연애조작단>이 오랜만에 로맨틱코미디를 표방하고 나섰다. ‘당신의 연애를 코치해드립니다’라는 다소 낯간지러운 문구가 거슬리지만, 감독의 이름을 확인한다면 재고할 여지는 충분하다. 김현석 감독은 <해가 서쪽에서 뜬다면>을 시작으로 <
글: 이화정 │
2010-09-21
-
[스페셜1]
[송해성] 이건 정말 멜로, 남자들의 멜로영화다
-아무래도 원작과의 승부라는 점에서 부담이 클 것 같다.
=<무적자>가 100억원대의 액션 블록버스터처럼 비쳐지는 게 가장 부담스럽다. 사실상 그 정도 규모가 투여된 작품도 아니고 액션적인 부분보다 드라마를 강조하고 싶은데, 아무래도 배우의 무게감이 있다보니 그렇게 받아들여지는 것 같다. <영웅본색>도 지금에 와서 보자면 사실
글: 주성철 │
사진: 최성열 │
2010-09-21
-
[스페셜1]
형제의 침묵 뜨거운 갈등
<무적자>가 추석에 개봉하는 한국영화 중 가장 인지도가 높은 건 분명한 사실. 과거 홍콩영화의 전성기를 추억하는 성인 관객에게 ‘<영웅본색>의 리메이크’라는 수사는 어쩔 수 없이 강한 흡입력을 뿜어낸다. 물론 그것이 우려와 불안을 동시에 자아내게도 하지만 어쨌건 ‘내 눈으로 확인하고 싶다!’는 욕구를 견뎌내기란 어려운 일이다. 그 관
글: 주성철 │
2010-09-21
-
[스페셜1]
[양동근] 내가 누구? 랩하는 군필 목장집 아들!
불온한 고백 하나. <그랑프리>의 양동근을 만나러 간다니 누군가가 “마음 단단히 먹으라”고 일렀다. 간결한 대답, 무뚝뚝한 표정, 예상지 못한 반응으로 기자들을 굴복시키는 배우라 했다. 그 말을 듣고 예전 인터뷰 자료를 찾아보니 과연 그랬다. 양동근은 “네”, “아니오”, “생각 안 나는데”, “시나리오대로 했어요”로 이어지는, 기자들에겐 악몽
글: 장영엽 │
사진: 최성열 │
2010-09-21
-
[스페셜1]
[양윤호] 사탕키스 뛰어넘는 서커스키스를…
-<바람의 파이터>나 <홀리데이>같이 선이 굵은 액션영화를 주로 연출했다. 멜로감성의 영화 연출은 다소 의외다.
=행복한 가족영화를 한번 해보고 싶던 차였다. 최근 한국영화가 센 영화 위주인 점도 있고, 개인적으로 영화뿐만 아니라 드라마 <아이리스>까지 하고 보니 좀 행복한 기운이 필요하다 싶더라. 때마침 이정학 PD
글: 이화정 │
사진: 최성열 │
2010-09-21
-
[스페셜1]
사랑했으므로 행복하였네라
흥행에 무리수인 동물영화에 대한 염려는 틀리지 않았다. 국내 최초를 표방했던 경주영화 <각설탕>(2006)은 제법 야심찬 기획 의도에도 불구하고 관객 150만 동원이라는 저조한 실적에 그쳐야 했다. <괴물>과 맞붙은 대진운을 탓하기에 앞서 제작진은 동물영화가 빠질 수 있는 함정에 주목했다. <그랑프리>는 <각설탕>
글: 이화정 │
2010-09-21
-
[스페셜1]
추석 흥행 그랑프리를 잡을 무적자가 누군지 아는 퀴즈왕 또는 해결사는 누구시라노?
누구는 혈투라 말했고, 누구는 풍성하다고 치하했다. 황금연휴를 맞아 추석 극장가를 점령한 한국영화를 두고 하는 말이다. 김태희와 양동근이 펼치는 로맨틱 멜로 <그랑프리>를 비롯해 <영웅본색>의 리메이크 버전을 표방한 송해성 감독의 <무적자>, 멜로 인증 감독 김현석 감독의 집결판 <시라노; 연애조작단>, 설경구,
2010-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