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남영동 대공분실 안에 관객과 함께 갇히자고 생각했다
정지영 감독은 2년 연속 부산국제영화제 화제의 인물로 떠올랐다. <부러진 화살> 이후 채 1년도 안 돼 완성한 <남영동 1985>는 고 김근태 전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이 1985년 9월, 남영동 치안본부대공분실에 끌려가 20여일간 당한 고문의 참상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정지영 감독은 두시간 동안 관객을 고문실에 가둬둔다. 고문의 고통을
글: 이주현 │
사진: 이동훈 │
2012-10-23
-
[스페셜1]
24시간 무비 피플
‘센텀 시대 개막!’ 영화의 전당을 정면에서 바라보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문구다. 17회를 맞이한 부산국제영화제가 열흘간의 축제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자, 가장 궁금했던 비프힐은 어땠냐고? 올해는 비가 새지 않았다(아니 비가 오지 않았다). 새집 증후군으로 몸살을 앓았던 지난해와 달리, 1년여 동안 사람의 온기로 채워진 영화의 전당은 온전히 영화를 위
글: 씨네21 취재팀 │
사진: 씨네21 BIFF 데일리 사진팀 │
2012-10-23
-
[스페셜1]
감독 수난시대의 도래
지금으로부터 지난 5개월은 한국 영화감독에게 수난의 시대였다. 이명세 감독과 박신우 감독은 촬영 초반 제작사, 투자사와 갈등을 빚어 각각 <미스터 K>와 <동창생>에서 하차했고, 임순례 감독 역시 제작자, 주연배우와 연출권 간섭 문제로 갈등을 빚으면서 연출을 잠깐 중단했다가 다시 현장에 복귀했다. 한국영화감독조합(이하 감독조합)은 지난
글: 김성훈 │
사진: 오계옥 │
2012-10-16
-
[스페셜1]
시상식에 안 가요 밴드 연주가 있어서
“내가 다 지어낸 이야기라고 지난 몇 십년간 반복해 말해왔지만, 사람들은 언제나 내 영화에서 (나에 대한) 단서를 찾아내려 하죠.” 우디 앨런 감독의 뾰로통한 표정이 아른거린다. 실로 영화를 보며 감독 개인에 대한 사사로운 증거를 수집하는 건 몹쓸 일이다. 그러지 않아도 이미 영화는 작가의 삶이 작용한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실제 삶과 예술 사이를 분리하는
글: 이후경 │
2012-10-09
-
[스페셜1]
이 감독의 신작이 궁금했다
영화로 경계 넘기
언제나 다음 작품을 궁금하게 만드는 이름들이 있다. 영화제는 그들의 신작을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는 축제다. 레오스 카락스, 에드윈, 차이밍량, 양영희, 민병훈, 장위엔 등 자신의 스타일을 확립하는 한편,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하지 않는 감독들을 만나본다.
가족의 나라 Our Homeland
감독 양영희 / 제작국가 일본 / 상영시간
글: 이주현 │
글: 이화정 │
글: 강병진 │
글: 남민영 │
2012-10-02
-
[스페셜1]
이 영화를 낳은 땅을 보라
우리의 일상은 어디서부터 흔들리는가
변방의 영화가 아니라 지역의 영화들을 모았다. 그 지역의 사람, 정치, 삶을 보여줄 수 있는 영화들이다. 메콩강변의 호텔을 떠도는 유령에 관한 전설부터 아르헨티나의 서부극 주인공과 3•11 대지진 이후를 살아가는 사람들까지 다양한 땅의 다양한 이야기가 여기 있다.
사랑의 대역 All Apologies
감독 에밀리 탕
글: 강병진 │
글: 정한석 │
글: 이주현 │
글: 남민영 │
2012-10-02
-
[스페셜1]
새로운 재능의 발견
뜨거운 만남
십대의 왕따문제부터 레즈비언 커플, 만년 조연배우의 삶까지 신진 감독들의 촉수는 다양하게 뻗어 있다. 대신 이들은 모두 영화만이 선사할 수 있는 마법 같은 순간을 창조하는 데 주력한다. 자기만의 영화적 화법을 확립해가고 있는 신진 감독들의 영화 6편을 소개한다.
애프터 루시아 After Lucia
감독 미셸 프랑코 / 제작국가 멕시코 /
글: 이화정 │
글: 강병진 │
글: 정한석 │
글: 이주현 │
글: 남민영 │
2012-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