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비평]
<아이, 토냐> 속 ‘토냐 하딩’은 누구의 얼굴인가?
1994년, 미국을 뒤흔들어놓는 사건이 터진다. 한 괴한이 피겨스케이팅 올림픽 기대주 낸시 케리건의 무릎을 후려친 것이다. 라이벌이었던 토냐 하딩과 그의 파트너 제프 길롤리가 범인으로 지목된다. 토냐는 자신은 전혀 몰랐으며, 제프와 그의 친구 션이 꾸민 일이라고 주장했다. 결국 제프와 션은 징역형을 살고 토냐는 벌금형과 더불어 미국빙상연맹에서 영구제명당한
글: 손희정 │
2018-04-05
-
[마감인간의 music]
[마감인간의 music] 페기 구<It Makes You Forget(Itgehane)>, 기억해야 할 이름
‘보일러 룸’이란 인터넷 방송이 있다. 2010년 런던에서 시작된 디제잉 방송으로, 유튜브 열풍을 타고 이젠 디제이 컬처를 넘어 언더그라운드 음악의 신뢰받는 트렌드세터로 성장했다. 신인들은 여기서 음악을 튼 걸 자랑으로 여기고, 잘만 하면 커리어 전환점도 만들어진다.
이곳에서 지난 3월 16일 한국인 디제이 페기 구의 인터뷰를 방송했다. 지난해부터 무
글: 이대화 │
2018-04-05
-
[해외통신원]
[WHAT'S UP] <엉클 드류>, 펩시의 바이럴 영상이 영화화된 희귀한 사례
<엉클 드류> UNCLE DREW
감독 찰스 스톤 3세 / 출연 카이리 어빙, 닉 크롤, 릴렐 호워리, 샤킬 오닐
펩시의 바이럴 영상이 영화화된 희귀한 사례로, 전세계 농구 팬들을 기쁘게 할 영화다. NBA의 대스타 카이리 어빙이 노인으로 분장해 길거리 젊은이들을 제압하는 현란한 슛과 드리볼을 선보인다. 영화는 미국 할렘가를 배경으로 엉클
글: 씨네21 취재팀 │
2018-04-05
-
[디스토피아로부터]
나만의 작은 숲에서
임순례 감독의 <리틀 포레스트>는 도망치듯 도시를 떠난 20대 청년의 귀촌 생활 사계절을 그린다. 주인공 혜원은 서울에서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남은 도시락으로 끼니를 때우는 임용고시생으로, 시험에 낙방하자 홀로 합격한 남자친구를 뒤로하고 고향집에 내려온다. 그곳에서 그녀는 오로지 맛있는 밥을 지어먹고, 집을 잘 돌보고, 이웃과 도움을 주고
글: 윤가은 │
일러스트레이션: 정원교 │
2018-04-05
-
[people]
<덕구> 방수인 감독 - 따스한 시선이 묻어나는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
“영상은 마음의 눈이다! 사물을 따뜻한 눈으로 보는 명감독이 되도록!” <덕구>가 크랭크업하던 날, 방수인 감독은 시나리오 첫장에 배우 이순재에게 ‘후배감독을 향한 한마디’를 부탁했다. 그리고 이순재 배우는 위와 같이 썼다. <덕구>는 살날이 많지 않은 할아버지(이순재)와 손자 덕구(정지훈)의 관계를 중심으로 가족의 사랑을 이야기하는
글: 이주현 │
사진: 백종헌 │
2018-04-05
-
[스페셜1]
[VR영화③] 세계 최초 4DX VR 영화 <기억을 만나다> 현장은 어떻게 달랐나
“모든 순간순간이 새로운 영상 문법으로 이루어져 있었다.”(구범석 감독) 세계 최초 4DX VR 영화 <기억을 만나다>는 참여한 모든 이들에게 아주 도전적인 작품이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지원사업 ‘2017 VR 콘텐츠 프런티어 프로젝트’의 선정작으로서, 세계 최초로 4DX와 VR, 영화 세 분야를 접목한 선례가 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VR 콘
글: 임수연 │
2018-04-05
-
[스페셜1]
[VR영화②] 상호작용성, 게임과 영화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사례
전세계 영화계가 조만간 새로운 문제에 직면해야 할 것 같다. 어떤 문제냐 하면, 영화가 과연 VR영상 콘텐츠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손꼽히는 상호작용성을 어떻게 인지할 것이냐의 문제다. 다시 말해 영화와 게임의 경계가 더욱 모호해지는 사례가 늘어날 것이다. 극장에 조작 가능한 컨트롤러를 손에 쥐고 들어가는 관객의 풍경을 상상해보자. 이는 영화를 보는 것
글: 김현수 │
2018-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