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디스토피아로부터
나만의 작은 숲에서
윤가은(영화감독) 일러스트레이션 정원교 2018-04-05

임순례 감독의 <리틀 포레스트>는 도망치듯 도시를 떠난 20대 청년의 귀촌 생활 사계절을 그린다. 주인공 혜원은 서울에서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남은 도시락으로 끼니를 때우는 임용고시생으로, 시험에 낙방하자 홀로 합격한 남자친구를 뒤로하고 고향집에 내려온다. 그곳에서 그녀는 오로지 맛있는 밥을 지어먹고, 집을 잘 돌보고, 이웃과 도움을 주고받으며 무탈하게 지내는 일에 전념한다. 그렇게 소박하고 정직한 하루하루가 모여 한해가 되었을 때, 혜원은 마침내 자신만의 작은 숲을 찾아갈 진짜 힘과 용기를 얻게 된다.

혜원의 사계를 따라가는 내내, 본가에서 막 독립했던 첫해가 떠올랐다. 가끔 먹고 죽지 않을 만큼 자면서 일하고 또 일하던 지옥의 레이스에서 잠시 내려왔던 해였다. 비록 매달 새어나가는 생활비에 놀라 더더욱 허리띠를 졸라매는 월세난민 신세였지만, 오직 내 힘으로 내 삶을 온전히 책임지고 있다는 사실에 큰 자부심을 느꼈다. 특히 나는 밥을 짓고, 집 안을 정돈하고, 살림을 계획하는 등 가장 일상적인 일에서 가장 큰 재미를 발견했다. 심장이 터질 것처럼 달리면 간신히 손끝에 닿았다 사라지는 성취의 희열과는 차원이 다른 깊고 다양하고 지속적인 만족감이었다. 볕 좋은 아침엔 빨래가 잘 마를 생각에 설렜고, 눈 오는 밤엔 계단에 쌓인 눈을 치우느라 흘린 땀에 뿌듯했다. 잘 씻어놓은 야채에서 물기가 빠지고 있을 때, 정성껏 심은 꽃씨가 새순을 보일 때, 새로 만들어 단 커튼이 바람에 일렁일 때, 오늘 하루도 잘 살아냈구나 감사했다. 거의 명상에 가까웠다. 물론 일도 빡빡하지 않았고 살림도 쪼들리지 않을 때라 가능한 일이었겠지만, 실로 오랜만에 도처에서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발견했다.

혼자 이런저런 감상에 빠져들며 다시 빡빡해진 현실을 개탄하는 와중에, 문득 친한 선배 작가로부터 안부 문자를 받았다. 지난해 서울 생활을 접고 칠곡 고향집에 내려간 선배였는데, 과연 아무런 자극 없는 적적한 시골에서 창작이 가능할까 나 혼자 걱정을 했더랬다. 도시 사람의 오만한 착각이었다. 그는 서울에서 벗어나니 삶의 속도가 많이 달라졌다며, 쓸데없는 긴장과 불안이 사라지고 더 자유로워졌다고 기뻐했다. 실제 어느 때보다 즐겁고 왕성하게 작품 활동을 하는 그는 무료해지면 배구경기나 수영대회를 찾아가 열광하고, 지칠 땐 잠시 차를 달려 밤바다를 보고 온다고 했다. 그는 지나가던 앞집 아저씨가 “요즘 놉니까?” 물어 “글 쓰는 일 합니다” 했더니 막 웃었다며 킥킥거리더니, 곧 저녁마다 집을 나가는 흰둥이를 찾으러 간다며 사라졌다. 뜨끔했다. 매일 도처에서 행복을 찾았던 나는 지금 어디에 있는 걸까. 왜 다시 되는대로 끼니를 때우며 낮인지 밤인지 모르고 손이 차가워지도록 노트북 앞에만 앉아 보이지 않는 파랑새를 찾아 헤맨 걸까. 그길로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집 안 구석구석을 청소하고, 빨래를 개고, 꽃에 물을 준 뒤, 맛있는 밥상을 차렸다. 오랜만에 다시 찾은 나만의 작은 숲에서 다시 일어설 힘과 용기를 얻으며 나만을 위한 저녁을 천천히 꼭꼭 씹어먹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