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ing Soon]
[Coming Soon] <그것만이 내 세상>, 잔뜩 힘을 뺀 이병헌의 엉뚱한 코믹 연기
<그것만이 내 세상>
제작 JK필름 / 감독 최성현 / 출연 이병헌, 윤여정, 박정민, 한지민 / 배급 CJ엔터테인먼트 / 개봉 2018년 1월 17일
더스틴 호프먼, 톰 크루즈. 이제는 전설이 된 <레인맨>(1988)의 형제애와 버금가는 가슴 뭉클한 한국영화와 만난다. <그것만이 내 세상>은 한물간 전직 복서 조하(
글: 이화정 │
2017-12-19
-
[입시가이드]
[영화과 진로 탐색] 영화과 졸업, 그 이후가 궁금하다면
영화를 전공한 모든 이들이 감독이나 배우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영화와 방송, 게임과 VR 등 영상 표현의 세계가 넓어질수록 ‘영화인’이라 부를 수 있는 직업의 수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의 교육 방침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전통에 기반해 감독과 배우 양성에 집중하는 학과도 있는 반면, 영화 투자 및 배급, 마케팅 등 비즈니스 감각을 기르는
글: 곽민해 │
2017-12-18
-
[합격 필승전략]
[영화영상학과 편입에 대한 궁금증] 결국은 정보력이 가장 중요
편입을 마음먹은 이들이라면 어떤 형태든 현재의 불만족과 미래의 불안함을 동시에 감당하느라 버거운 상태일 것이다. 입학에 비해 편입은 정보량이 부족한데 특히 영화영상학과를 비롯한 예술 계열은 마땅한 가이드도 없어 더욱 막막한 실정이다. 한동안 대학 구조조정이 빈번히 일어나면서 예체능 계열은 학과 내 결원이 발생하더라도 편입 모집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도
글: 김소미 │
2017-12-18
-
[합격 필승전략]
[면접·실기고사 유형 소개] 학과 특성을 알아야 합격률이 오른다
영화 및 영상 관련 학과의 면접 및 실기고사 유형은 갈수록 다양해지는 추세다. 외워서 하는 과제보다 즉흥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늘고 있고, 학생들이 평소에도 영화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있는지 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길 원한다. 정시모집을 기준으로 면접 및 실기고사 유형을 살폈다. 시험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이 지원할 학과가 어떤 교육 목표를 지닌 곳인지
글: 곽민해 │
2017-12-18
-
[학과별 가이드]
[기타학과] 최신 미디어 트렌드를 공부하고 싶다면
연말을 맞아 2017년 한국영화 시장 규모를 결산하는 기사가 쏟아진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올 한해 극장에 걸린 한국영화는 10월말 기준으로 396편 정도다. 지난해보다 약 54% 증가한 수치다. 관객수는 한계에 달해도 한국영화 개봉 편수는 이처럼 나날이 급증하는 이유는 VOD 시장의 활성화 등 여러 요인을 꼽을 수 있다. 드라마 역시 과거 공중파 중심
글: 김현수 │
2017-12-18
-
[학과별 가이드]
[연기학과] 나는 어떤 배우가 되고 싶은가
연극영화학과 내에서도 연기학을 다루는 학과의 기본 체계는 전통적으로 연극과 영화, 뮤지컬 등의 분야를 세분화해서 커리큘럼을 운용하고 학생들을 가르쳐왔다. 국내 최초로 연극전공을 둔 중앙대학교의 체계를 예로 들어보자. 중앙대학교에서는 공연영상창작학부 내에 문예창작, 연극, 영화, 사진, 무용, 공간연출을 두어 영화와 연극을 따로 구분함으로써 선택과 집중을 할
글: 김현수 │
2017-12-18
-
[학과별 가이드]
[영상학과] 학교 별 커리큘럼에 원하는 인재상이 보인다
입시철에는 수험생과 학부모, 학교 등 모두가 민감해지기 마련이지만 이럴 때일수록 진지하게 수험생 본인이 무엇을 하고 싶어 하는지 더욱 치열하게 질문해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나의 비전을 구체화해줄 적절한 학교와 학과를 찾는 일이 중요하다. 물론 어떤 학과를 선택할 것인지를 고민하기 이전에 각 학교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주는지 해당 자료와 선배들의 사례를
글: 김현수 │
2017-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