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人]
문성경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 관객에게 경험이 되는 영화제를 고민한다
“15년 만에 돌아오니 전주 거리가 많이 변했다. 그런데 전주국제영화제가 가진 가치, 새롭고 좋은 영화를 발굴하고 소개한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은 것 같다.” 올해 전주국제영화제에 합류한 문성경 프로그래머는 2004년 프로그램팀 스탭으로 영화제와 처음 인연을 맺었다. 이후 인천다큐멘터리포트 프로젝트팀장, 영화진흥위원회 중남미 주재원 등을 거친 뒤 영화계 경
글: 임수연 │
사진: 백종헌 │
2019-05-06
-
[편집장이독자에게]
[주성철 편집장] 스크린 독과점에 대하여
<어벤져스: 엔드게임>(이하 <엔드게임>)이 한국 개봉 8일 만에 800만 관객을 돌파했다. 예매창이 열림과 동시에 사전 예매량이 무려 100만장을 돌파했고, 멀티플렉스 체인 CGV 공식 홈페이지 서버는 일시적으로 다운되기도 했다. 심지어 CGV 홈페이지에는 기존 홈페이지 화면이 아닌 “하… 그렇게 준비했건만, 이렇게 많이 오실 줄은
글: 주성철 │
2019-05-03
-
[국내뉴스]
제20회 전주국제영화제 5월 2일 개막
올해는 전주에서 열리는 ‘영화, 표현의 해방구’가 더 크고 강력해졌다. 지난 5월 2일 오후 7시 전주 돔에서 열린 개막식을 시작으로 제20회 전주국제영화제(JeonJu IFF)가 열흘간의 일정을 시작했다. 맑고 완연한 봄날씨가 이어진 개막 당일에는 황금연휴를 맞아 예년보다 많은 관광객이 전주 영화의 거리를 찾았다. 개막식 한 시간 전부터 진행된 레드카펫
글: 김소미 │
사진: 백종헌 │
2019-05-03
-
[해외뉴스]
지난해 영화계를 뜨겁게 달군 감독들의 차기작 소식
2018년 한 해, 뜨거운 주목을 받았던 감독들은 벌써 부지런히 신작 준비에 한창이다. 각종 시상식의 수상 행렬에 다음 작품을 기대하게끔 만들던 감독들. <그린 북>의 피터 패럴리, <보헤미안 랩소디>의 덱스터 플레처 등 여섯 감독의 차기작 소식을 모아봤다.
<그린 북>의 피터 패럴리,
또 하나의 버디무비 탄생 예고
글: 심미성 │
2019-05-04
-
[국내뉴스]
33년씩이나? 유명 영화들이 지각 개봉한 사연
다르덴 형제의 1999년 작품 <로제타>가 5월 관객들을 만난다. 당연히 재개봉일 것 같았지만 엄연히 극장 개봉은 처음이다. 흔히 영화계에 조롱거리로 등장하는 '창고 영화'와는 아예 의미가 다르다. 창고 영화란 한참 전에 만들어졌지만 만듦새가 만족스럽지 않다거나, 시기적으로 흥행을 장담하기 어려운 경우 개봉을 미룬 영화들에게 붙여진 다소 불명예스
글: 심미성 │
2019-05-01
-
[해외뉴스]
‘영화X게임’ 새로운 스토리를 볼 수 있었던 영화 기반 게임들
오랜 역사와 함께 두터운 팬덤을 자랑하는 <스타워즈> 시리즈. 지난 4월15일에는 시퀄 삼부작을 마무리하는 에피소드 9의 제목이 <스타워즈: 더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로 정해지고 티저 예고편까지 공개됐다. 또한 디즈니의 스트리밍 서비스 ‘디즈니 플러스’에서는 <스타워즈> 스핀오프 드라마 <만달로리안>도 준비 중
글: 김진우 │
2019-05-02
-
[마감인간의 music]
[마감인간의 music] 에조 《Mind Web Wanderer》, 여름처럼
에조의 첫 정규 앨범 제목은 《Mind Web Wanderer》(2019)다. 장르를 분류하는 음원 사이트에서 그의 음악은 ‘힙합/랩’ 범주에 들어간다. 하지만 직접 음악을 들으면 전자기타와 드럼부터 비트를 찍어낸 전자음의 나열에 이르기까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요즘 힙합과는 거리가 있다. 한국과 미국, 인도에서 삶을 보낸 이 방랑자 같은 음악가에게 ‘원더
글: 홍석우 │
2019-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