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21 리뷰]
'리메인' 남은 것이 얼마 되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영화
10년차 부부인 수연(이지연)과 세혁(김영재). 둘 사이엔 많은 감정이 남아 있지 않다. 오랫동안 2세를 가지는 데 성공하지 못한 둘에겐, 이제 관계의 변화를 가져다줄 선택지마저도 고갈된 상태다. 부상으로 무용수의 꿈을 접게 된 수연은 세혁의 직장 때문에 따라 내려온 부산에도 크게 정을 붙이지 못한다. 그러다 지인의 추천으로 장애인 교육센터에서 무용 치료
글: 김철홍 │
2020-08-25
-
[씨네21 리뷰]
'후쿠오카' 재중동포 출신 장률 감독의 열두 번째 작품
손님들의 발길이 뜸한 중고서점을 운영하고 있는 제문(윤제문)은 엉뚱한 손님 소담(박소담)의 제안을 받고 소담과 함께 즉흥적으로 일본 후쿠오카로 여행을 떠난다. 후쿠오카는 제문과 친한 대학 동아리 선배였으나 삼각관계에 놓여 연락을 끊고 지낸 해효(권해효)가 작은술집을 운영하며 살고 있는 도시다. 제문과 소담, 여행자 두 사람은 해효의 술집을 찾아가 술잔을
글: 배동미 │
2020-08-25
-
[영화비평]
'강철비2: 정상회담'은 어떻게 타자를 소비하는가
<강철비> 1, 2편의 여러 공통점 중 눈에 띄는 하나는 남측 주인공 부인의 첫 등장 장면이다. 말할 것 없이 인물의 첫 등장은 캐릭터 소개 기능을 갖는데, 보조 인물의 그것은 주인공의 캐릭터 구축을 다지는 역할도 맡는다. 1편에서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곽철우(곽도원)가 자녀들과 패스트푸드를 사먹다 대선 결과 관련 통화로 자리를 비운 사이 이혼한
글: 송형국 │
2020-08-26
-
[프런트 라인]
'주온: 저주의 집'이 그려낸 미래 없는 지옥도에 대하여
<주온: 저주의 집>은 여러 의미로 보기 힘든 작품이었다. 그 징그러운 인상에 대해 숙고해보았다.
죽어도 죽지 않는 것들
왜 다시 저주받은 집이 돌아와야 하는가. 미야케 쇼가 연출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작품 <주온: 저주의 집>(이하 <저주의 집>)은 역한 공기로 가득하다. 3시간 남짓 되는 시간으로 완결된 이 시리즈가
글: 김병규 │
2020-08-26
-
[강화길의 영화-다른 이야기]
[강화길의 영화-다른 이야기] 소녀는 매번 하늘로 날아오르지
며칠 전 <마녀 배달부 키키>를 다시 봤다. 앉은자리에서 끝까지, 한번도 쉬지 않고 보았다. 다른 생각도 별로 하지 않았다. 이 영화를 처음 본 날로부터 수십년이 흘렀고, 그사이에 몇번이나 반복해서 봤지만, 그래서 다음에 어떤 장면이 나올지 거의 외우다시피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똑같이 설레고 조마조마했다.
어린 시절, 나는 나이를
글: 강화길 │
일러스트레이션: EEWHA │
2020-08-24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아주 작은 인간들이 말할 때>, 삶을 구제하는 대단함
시인 이근화의 산문집 <아주 작은 인간들이 말할 때>는 읽기와 삶에 대한 그의 생각을 들여다볼 수 있는 창이다. 그의 시 <창백한 푸른 점>의 “날 좀 사랑해줄래/ 드문드문 어두운 것도 같지만/ 크게 웃었다가 긴 침묵에 쌓이는 사람들과 함께/ 내가 먼저 아침을 맞이할게/ 널 위해 긴 문장을 썼다가 지웠지만/ 지구의 아들딸들을 위해/
글: 이다혜 │
2020-08-24
-
[정훈이 만화]
[정훈이 만화]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 네 아빠 행방불명이다. 삼일째...
글·그림: 정훈이 │
2020-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