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리포트]
[포커스] 영화상영관 품질 향상 방안을 고민하는 ‘영화산업 지속가능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세미나’ 개최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는 올해 3월 발표한 ‘한국영화 진흥 종합계획(2016~18)’을 통해 영화관 품질 인증제도 도입 계획을 밝혔다. 극장마다 스크린 밝기와 비율, 음향, 관람 시야, 상영관 조명, 안전성 등의 지표를 표준화함으로써 진보한 상영 환경을 구축하겠다는 입장이다. 9월 현재 영화상영관 관람 환경 표준화 지원사업 결과 보고를 마쳤고, 구체
글: 김수빈 │
2016-10-03
-
[기획리포트]
[포커스] 콘텐츠 보호해야 극장도 산다 - 신규 요금제 시행한 메가박스, 왜 한국영화 부율 조정은 하지 않는가
주말 요금은 올리고, 부율은 그대로? 멀티플렉스 메가박스(대표 김진선)가 지난 6월29일 신규 요금제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주말 일반 시간대(14~23시) 요금은 현행 1만원에서 최대 1만1천원으로, 심야(23시 이후) 요금은 현행 8천원에서 6천~9천원으로 다양하게 조정된다는 내용이다. 요금제 시간대도 기존의 4단계(조조, 주간, 일반, 심야)에서
글: 김성훈 │
2016-07-04
-
[기획리포트]
[포커스] “표현의 자유와 영화 선정의 자유 정관 개정 통해 규정하겠다” - 부산국제영화제 김동호 조직위원장, 강수연 집행위원장 기자회견
“영화제를 열지 않고 영화제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강수연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이 힘주어 말했다. 영화제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완전히 보장받지 못한 상태에서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를 준비한다는 것에 대한 세간의 우려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지난 6월23일 목요일 오전 11시,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가 주최한 기자회견이 대한상공회의
글: 장영엽 │
사진: 씨네21 사진팀 │
2016-06-27
-
[기획리포트]
[포커스] 실익과 명분 사이에 놓인 영화 관람료 인상
극장 관람료 ‘인상’인가, 혹은 합리적 소비 선택의 폭이 넓어진 ‘다양화’인가. 지난 3월3일부터 멀티플렉스 CGV에서 시행된 영화 가격 다양화 정책에 의해 CGV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관객은 상영시간과 극장 위치, 또는 좌석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가격을 지불하며 영화를 보게 됐다(전국 22개 위탁 운영 지점은 제외된다). 그런데 시행 전부터 CGV의 변
글: 김현수 │
2016-03-14
-
[기획리포트]
[포커스] 대한민국은 과거로 퇴행하는가
영화평론가 토니 레인즈는 1996년부터 해마다 빠짐없이 부산국제영화제를 방문하며 곁에서 지켜봐왔던 영화인이다. 현재 부산국제영화제 어드바이저로 활동하고 있기도 한 그가 현재 영화제를 둘러싼 위기를 진단하는 특별기고문을 보내왔다.
부산국제영화제 해외자문을 맡고 있는 나는, 부산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사건들을 멀리 런던에서 커져만 가는 불신과 걱정을 안
글: 토니 레인즈 │
2016-02-01
-
[기획리포트]
[포커스] 부산국제영화제를 지키기 위하여
연일 최저기온을 경신하던 지난 1월23일 저녁, 영화계의 ‘얼어붙은’ 상황에 맞서 영화인들이 자리를 함께했다. (사)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주최로 서울아트시네마에서 마련한 좌담 ‘영화제와 BIFF 사태를 말한다’는 2014년 9월 부산시의 <다이빙벨>(2014) 상영 철회 요청에도 불구하고 상영을 강행한 이후 부산시의 외압에 시달리고 있는 현 부산
글: 이화정 │
2016-02-01
-
[기획리포트]
[포커스] 영화의 틀을 깨기 위한 준비는 끝났다
고개를 두리번거리면서 시야각으로 쏟아지는 이미지를 마음껏 만끽할 수 있는 ‘스크린X’는 CJ CGV가 독자적으로 개발, 상용화한 특수상영 기술로, 관객이 영화를 일종의 체험처럼 몰입해서 볼 수 있게 도와준다. 간단히 말해 스크린 양옆에 위치한 극장 벽면을 또 다른 스크린으로 활용, 영화의 화면비를 의도적으로 넓히려는 시도다. 예를 들어 <검은 사제들
글: 김현수 │
2016-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