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도서] 일본 사전의 역사
일본의 고대부터 근대적 백과사전이 등장한 1900년대 초까지를 통사적으로 살펴보는 사전의 역사. 컴퓨터 데이터베이스가 등장하기 이전까지 지의 축적과 편집, 전승을 가장 체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최적화된 방법이었던 사전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특이한 뒷이야기가 있는 사전편찬사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풀어낸 책이다. 저물어가는 한 시대에 대한 안타까움
글: 씨네21 취재팀 │
2014-08-14
-
[도서]
[도서] 런던 여행을 계획 중인 사람에게
런던 내셔널 갤러리는 무료 입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줄을 길게 서 기다리지 않고도 많은 명화를 만날 수 있다. ‘손안의 미술관’ 세 번째 책인 <내셔널 갤러리에서 꼭 봐야 할 그림 100>은 휴대하기 편한 크기와 무게로 내셔널 갤러리의 주요 작품을 소개한다. 런던 여행을 계획 중인 사람에게 권할 만한 책.
글: 씨네21 취재팀 │
2014-08-14
-
[도서]
[도서] 작가는 죽었는가?
“오늘날 세계 영화에서 ‘작가주의’(auteurism)처럼 혼란스럽고 문제적인 용어도 없는 듯하다.” 전적으로 동의한다. <스페인 영화: 작가주의 전통과 국가 정체성의 재현>은 스페인 영화사에서 손꼽을 만한 12명의 작가를 선정, 작가주의 영화들이 스페인의 예술문화 전통과 만나는 지점을 고찰하는 책이다. ‘작가주의 전통과 국가 정체성의 재현’이
글: 송경원 │
2014-08-14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음악 안으로 들어가 쓰기
제프 다이어의 이름은 아는 사람 사이에서는 굉장히 유명하다(그야말로 슬프고도 기쁜 찬사 아닌가). 미국에서 문학을 공부하던(내 눈에는 반백수 생활을 하며 읽고 쓰고 클럽을 전전하던) 지인이 한국에 번역되지 않았으나 정말 괜찮은 책을 몇권 추천했을 때, 그 목록에서 유일하게 이름을 두번 올린 작가가 제프 다이어였다. 누군지도 모르는 작가의 책을 그래서 굳이
글: 이다혜 │
2014-07-24
-
[도서]
[다혜리의 요즘 뭐 읽어?] 우리, 괜찮은 거예요?
4162일 2872권. 인터넷 서점 알라딘에서 창립 15주년을 맞아 ‘알라딘과 함께한 기록’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용한 기간과 구입한 책의 권수를 저렇게 알려준다. 책을 많이 샀다고 그걸 다 읽었다고 주장할 생각은 없다. 읽으려고 마음만 먹다가 동네 폐지 수집하는 할머니의 유모차에 실어 보낸 책이 있는가 하면, 읽다가 잠들기를 반
글: 이다혜 │
2014-07-10
-
[도서]
[도서] 영화 속 음식 조리법
영화 속 음식을 만드는 법을 소개한다. 영화에 대한 감상평보다는 조리법 대목에 더 눈이 가는데, 가끔 억지스러울 때도 있지만 영화를 보며 출출함을 느껴본 적 있다면 여기저기서 흥미로운 레시피를 건질 수 있을 것이다. <설국열차>에서 나오는 양갱은 차마 그대로 재현하지 못하고 유자양갱을 만드는 법을, <만추>에서는 피시 앤드 칩스 만드
글: 씨네21 취재팀 │
2014-07-10
-
[도서]
[도서] 투명인간의 일대기
한강 다리 위에 선 투명인간 김만수. 그를 알아보는 또 다른 투명인간. <투명인간>은 김만수의 어린 시절부터 그의 일대기를 성석제 작가 특유의 말솜씨로 굽이굽이 풀어낸다. 그의 가족을 비롯해 친구, 동료 등 그를 둘러싼 수많은 인물들이 차례로 화자로 등장해 그에 관한 에피소드를 회상하며 진술하는 독특한 형식으로 진행된다. 그들이 각자의 처지에서
글: 씨네21 취재팀 │
2014-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