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헐크>와 리안,그리고 미국 [1]
누가 리안과 <헐크>를 모함했나
“리안은 틀림없이 그 만화를 읽지 않았거나 읽었어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니 우리가 힘을 모아서 그 영화를 만들지 못하게 해야 한다.”
이건 한 미국인이 영화정보 사이트 ‘에인트 잇 쿨뉴스’(Ain’t it Cool News)에 올린 글이며, 그 만화와 영화의 제목은 <헐크>다. 이 미국인은
글: 박은영 │
2003-07-04
-
[스페셜1]
<헐크>와 리안,그리고 미국 [2]
더구나 오우삼은 로마에 가선 로마의 법에 따르라는 가르침에 지극히 충실했다. 그는 할리우드가 해외 출신 감독이나 배우에게 요구해온 할리우드 입성 시험을 묵묵히 받아들였다. 94년 할리우드 데뷔작으로 그에게 주어진 저예산 액션물인 <하드 타겟>을 받아들였고, 주연은 장 클로드 반담으로 만족해야 했다. 우리의 영웅 주윤발도 영화적 사부의 길을 따
글: 박은영 │
2003-07-04
-
[스페셜1]
인터넷 소설은 어떻게 한국영화를 사로잡았나 [1]
영화사 옥탑방에는 동갑내기 백조와 백수가 산다인터넷 소설은 어떻게 한국영화를 사로잡았나충무로는 변화할 것인가? 조폭들은 이제 사라지는가? 최근 대한민국 대중문화의 중심에 들어선 인터넷 소설. 그리고 그 소재를 찾아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는 충무로. 현재 충무로에는 인터넷 소설을 영화화하려는 움직임이 신생, 유력 영화사를 막론하고 막강하다. 인터넷 소설 영화화
글: 이영진 │
2003-06-26
-
[스페셜1]
인터넷 소설은 어떻게 한국영화를 사로잡았나 [2]
이모티콘으로 지은 에피소드의 城, 가볍고 유쾌한 그들의 사정인터넷 소설을 가로지르는 네가지 명제인터넷 소설은 작품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진지하게 생각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미리 추정되었다. 사이버 안에 지어진 그곳은 할일없이 킬킬대거나, 철없이 빈둥거리는 백조, 백수들이 들락거리는 곳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무시를 무색하게 할 만큼 수많은 ‘정상인’들이 그
글: 정한석 │
2003-06-26
-
[스페셜1]
인터넷 소설은 어떻게 한국영화를 사로잡았나 [3]
명제3 |세상은 에피소드로 이루어져 있다-서사의 중압을 탈피하라과거사와 인간의 내면이 더이상 흥미롭지 않다면, 의미있는 건 지금 이곳의 사건일 뿐이다. 복잡다단한 인물들의 관계는 최소로 줄어들고, 남녀는 서로간의 옥신각신, 또는 티격태격 공방전으로 거의 모든 내용을 채울 수밖에 없다. 이것이 <엽기적인 그녀>가 나와 그녀 사이의 숨바꼭질일 수밖에
글: 정한석 │
2003-06-26
-
[스페셜1]
할리우드로 가는 아시아 공포영화들 [1]
할리우드 호러, 동양의 원혼에 탐닉하다<검은 물 밑에서> <주온> 리메이크하는 할리우드, 왜 아시아 공포영화에 열올리나지금 할리우드에는 낯선 유령들이 떠돌고 있다. 우물에 버려져 혼자 죽어간 소녀와 영혼을 보는 능력을 감당하지 못해 목을 맨 처녀, 분노를 품고 죽어 저주를 내리는 원혼이 바다를 건너온 것이다. 할리우드에서 본 적이 없던
글: 이다혜 │
2003-06-26
-
[스페셜1]
할리우드로 가는 아시아 공포영화들 [2]
톰 크루즈가 판권을 사들여 화제를 모은 <디 아이> 역시 그동안 서구사회가 인정하지 않았지만 공감할 수밖에 없는 원혼을 다루고 있다. 옥사이드 팡과 함께 <디 아이>를 공동연출한 대니 팡은 “우리는 누구나 가지고 있을 기억을 발견했다. 어떤 문화권에 속한 사람이든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거나 밤에 혼자 엘리베이터 안에 있을 때 공
글: 이다혜 │
2003-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