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타]
'블루 아워' 심은경 - 즐거움이라는 가치
심은경에게 <신문기자> 이전에 <블루 아워>가 있었다. 홀로 일본에 도착한 지 약 1년의 시간이 흐른 2018년 여름, 배우 심은경은 일본인 감독과 일본인 배우, 일본인 스탭들과 호흡하면서 일본에서의 첫 작품 <블루 아워>를 촬영했다. 그가 연기한 기요우라는 바쁜 도시의 삶에 지친 CF감독 스나다(가호)와 여러모로 대비되는
글: 배동미 │
사진: 최성열 │
2020-07-23
-
[커버스타]
'블루 아워' 심은경·가호 - 함께라면 떠날 수 있어
파란색 차의 조수석에 느슨히 앉아 있는 스나다(가호)와 힘껏 소리지르며 액셀을 밟는 기요우라(심은경). 두 사람을 한 프레임에 담아낸 영화 포스터만 봐도 청량한 에너지가 톡톡 튀어오른다. 하코타 유코 감독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영화 <블루 아워>는 지칠 대로 지친 스나다가 “떠나자!”는 기요우라의 말에 주저 없이 고향으로 향하는 여정
글: 씨네21 취재팀 │
2020-07-23
-
[커버스타]
'야구소녀' 이주영 - 정점을 향해
이주영이란 이름을 처음 기억하게 된 건 인스타그램에서 ‘쇼트커트가 잘 어울리는 여자’ 라는 설명과 함께 이미지가 널리 공유됐던 때였다. 사진으로 먼저 만난 그가 트위터에서 맥 딜리버리 아르바이트를 하다 여성이기에 겪은 무례한 일을 공유하고 “여배우는 여성 혐오적 표현”이라고 발언할 땐, 단단하고 소신 있는 신인배우의 탄생이 무척 반가웠다. 이후 이주영의
글: 임수연 │
사진: 백종헌 │
2020-08-25
-
[커버스타]
'반도' 구교환·김민재 배우 - 카메라 돌 때는 블록버스터, 돌지 않을 때는 시트콤
폐허가 된 한반도에서 살아남아 야만성을 드러낸 군대 631부대는 <반도>의 실질적인 악역이다. 무릇 악역이 입체적으로 살아야 영화도 사는 법. 그런 측면에서 서 대위와 황 중사, 구교환과 김민재 배우는 <반도>의 성패를 쥔 키맨이다. 살갑게 농담을 치면서도 서로를 챙기는 두 사람은 친형제 이상의 친밀감을 자랑했다. 그야말로 알콩달콩,
글: 송경원 │
2020-07-09
-
[커버스타]
'반도' 이정현·권해효·이레 배우 - 시원하게 강인하게 책임감 있게
여성, 아이, 노인. 약자로 분류되는 이들이 좀비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선택한 방법은 연대다. 첫째 딸 준이(이레)가 빠르게 차를 운전하면, 둘째 딸 유진(이예원)은 RC카를 조종해 좀비들을 유인한다. 엄마 민정(이정현)은 한국으로 돌아온 정석(강동원)이 어려움에 처하자 도움의 손길을 내민다. 사리분별하기 어려운 위기 상황에서 당장 눈앞의 실속을 챙기기
글: 배동미 │
2020-07-09
-
[커버스타]
'반도' 연상호 감독·강동원 배우 - '연니버스'와 강동원이 만나면
기사에 음성지원 기능을 탑재하고 싶다. 좀비부터 카 체이싱 장면에 필요한 리액션 연기까지, 소리를 내며 열심히 촬영 현장을 묘사해준 강동원과 연상호 감독은 인터뷰 내내 호흡이 척척 맞았다. <부산행> 이후 4년, 폐허가 된 한국으로 돌아가 어떤 임무를 수행하게 된 전직 군인 정석(강동원)은 러닝타임 내내 고난도의 액션을 수행해야 하는 캐릭터다.
글: 임수연 │
사진: 백종헌 │
2020-07-09
-
[커버스타]
'반도'의 연상호 감독, 배우 강동원· 이정현·권해효·김민재·구교환·이레 - 배우들의 유토피아
또각또각. 구두굽 소리가 울리면 사람들의 시선이 한곳으로 모인다. 2층에서 찬찬히 내려오고 있던 강동원 배우가 눈에 들어오자 “아!” 하고 반사적으로 나오는 감탄사. 그럼 그렇지. 누가 의도적으로 연출한 것도 아니건만 구두굽 소리는 특수효과음처럼 스튜디오를 울리고, 평범한 형광등 불빛마저 핀포인트 조명처럼 느껴지는 비현실적인 순간. 현실을 비현실로 만드는
글: 씨네21 취재팀 │
사진: 백종헌 │
2020-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