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제58회 칸영화제 중간 결산 [5] - 한국영화
한국영화 사상 최다 진출…
김기덕의 <활>부터 장률의 <망종>까지 현지 반응
올해 58회 칸영화제에는 장편 6작품, 단편 1작품 등 총 7작품의 한국영화가 진출했다. 한국영화 사상 초유의 일이다. 홍상수 감독의 <극장전>이 경쟁부문, 김기덕 감독의 <활>이 주목할 만한 시선, 김지운 감독의 <달콤한
사진: 손홍주 │
글: 정한석 │
2005-05-25
-
[스페셜1]
제58회 칸영화제 중간 결산 [4] - 4인의 신성
4인의 신성 발견 - <상그레> <천국에서의 전쟁>
<불타버린 극장의 예술가들> <그림 그리기 또는 사랑 나누기>
작은 변명을 먼저 덧붙이면, 여기서 ‘신성의 발견’이란 이름으로 간추린 네명의 감독 중 아마트 에스칼란테를 제외한 세 사람은 순수하게 신성도, 순수하게 발견도 아니다. 캄보디아 출신의 리티 판은
글: 박혜명 │
2005-05-25
-
[스페셜1]
제58회 칸영화제 중간 결산 [3] - 거장들의 신작 ②
라스 폰 트리에의 미국 연작 두번째 <만달레이>
다르덴 형제가 언제 끝날지 모르는 구제 연작을 만들어가고 있는 것이라면, 라스 폰 트리에는 말 그대로 미국 삼부작 중 두 번째 연작을 완성해서 이번 칸에 왔다. 이미 그 첫 번째 작품 <도그빌>로 미학적 급진성을 인정받았고, 황금종려상도 탄 뒤이기 때문에 그의 두 번째 작품 <
글: 정한석 │
2005-05-25
-
[스페셜1]
제58회 칸영화제 중간 결산 [2] - 거장들의 신작 ①
구스 반 산트부터 짐 자무쉬까지 - 거장들의 복귀작들
<라스트 데이즈> <히든> <아이> <만달레이> <어떤 폭력의 역사> <망가진 꽃들>
우선 이름값에 걸맞지 않게 답보상태를 보인 감독은 <진실이 있는 곳>의 아톰 에고이얀이다. 그는 자신의 캐나다-아르메니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글: 정한석 │
2005-05-25
-
[스페셜1]
제58회 칸영화제 중간 결산 [1]
짐 자무시·미카엘 하네케·구스 반 산트 등 칸 출신 거장들의 신작 호평
발가벗고 열광할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극장 안의 어둠을 칸 비치의 햇빛과 맞바꾸는 것이 올해 칸에서는 아깝지 않다. 기대를 품고 만난 거장들의 현재가 여전히 놀라움을 안겨준다는 것은 가슴 벅찬 경험이다. 지난 5월15일 일요일 <스타워즈 에피소드3: 시스의 복수>가
글: 박혜명 │
2005-05-25
-
[스페셜1]
제10회 <씨네21> 영화평론상 [5] - 감독론
지배할 것인가 지배당할 것인가
감독론 요지 - 노예에서 주인이 되는 법을 알려주는 감독들 혹은 영화들
‘노예에서 주인이 되는 법을 알려주는 감독들 혹은 영화들’이라는 제목의 이 글은 루이스 브뉘엘의 영화에서 제시되는 환상과 로베르 브레송, 잉마르 베리만의 작품에 나타나는 실존적 공허함에 대한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주체성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고자 하
사진: 이혜정 │
글: 김현정 │
글: 안시환 │
2005-05-24
-
[스페셜1]
제10회 <씨네21> 영화평론상 [4] - 안시환 작품비평
무표정에 담긴 모든 감정의 가능성
<아들> 안시환 작품비평 전문
다르덴 형제(Jean-Pierre Dardenne, Luc Dardenne)의 <아들>(Le Fils)은 상투적 도식이 찢겨진 ‘간격’(interval) 속에 현실을 돌출시키고 이를 통해 영화적 사유가 가능한지를 묻는 작품이다. 다르덴 형제는 이미 <로제타>
글: 안시환 │
2005-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