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찰리와 초콜릿 공장> 프로덕션디자인 노트 [1]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 까지는 아니지만, 지금으로부터 41년 전인 1964년, 작가 로알드 달은 <찰리와 초콜릿 공장>이라는 동화를 내놓았습니다. 주식은 양배추 수프, 일년에 한번 초콜릿 맛을 볼까말까 할 정도로 가난한 소년 찰리가 이웃한 초콜릿 공장에 초대되는 행운을 얻어, 기이한 천재이자 은둔자인 공장장 윌리 웡카의 안내로 ‘초콜릿 천
글: 박은영 │
2005-09-19
-
[스페셜1]
대만뉴웨이브영화제 마스터클래스 [4] - 차이밍량 ②
실패를 받아들이는 것도 생활이다
김소영 차이밍량은 자기만의 전통을 만드는 감독이다. 자기 영화를 가지고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방식에 대해서도 역시 자기만의 고민과 방식을 보여준 강의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방금 상영된 <구멍>의 창작 배경을 듣고 싶다.
차이밍량 지금까지 어느 제작자, 투자자도 내 제작에 간섭한 적이 없다. 그런
정리: 이종도 │
사진: 서지형 │
2005-09-13
-
[스페셜1]
대만뉴웨이브영화제 마스터클래스 [3] - 차이밍량 ①
대중의 의식 향상이 보편적 문화 향상을 만든다
내가 한국에 오기 전 대만에 대스타 배용준이 왔다. 한류가 정말 온 아시아를 정복하고 있는 것 같다. 대만 영상산업 종사자들에겐 한류가 스트레스고 압박감이다. 20여년 전만 해도 대만영화는 활발한 시기였으나 그뒤로 하강기에 접어들었고, 여기에 설상가상으로 한류까지 겹쳤다. 적어도 여러분은 공항에 가서 배용
정리: 이종도 │
사진: 서지형 │
2005-09-13
-
[스페셜1]
대만뉴웨이브영화제 마스터클래스 [2] - 허우샤오시엔 ②
감독을 꿈꾸는 자들이여, 행동하라
정성일 평론가라기보단 팬클럽으로 나왔다. 질문이 팬클럽스럽다 하더라도(웃음) 이해해달라. 촌스럽게 시작하겠다. 서울 방문은 공식적으로 처음인데. 인천공항에 도착해, 서울 풍경을 보면서 받은 느낌이 궁금하다.
허우샤오시엔 아주 긴 다리들(웃음)…. 되게 많던데. 세상에 이런 물질적 세계가 끝없이 팽창된다면 그건 좋은
정리: 이종도 │
사진: 서지형 │
2005-09-13
-
[스페셜1]
대만뉴웨이브영화제 마스터클래스 [1] - 허우샤오시엔 ①
8월27일 토요일 오후 3시, 세명의 거장의 작품을 초청한 대만뉴웨이브영화제를 위해, 같은 비행기를 타고 허우샤오시엔 감독과 차이밍량 감독이 서울아트시네마에 도착했다(에드워드 양 감독은 내한하지 않았다). 두 감독을 한자리에 모셔 사진을 촬영하고 싶은 욕심이 앞섰다. 조선호텔에 여장을 풀고 두 감독은 바로 필름포럼으로 나왔다. 허우샤오시엔 감독은 감기로
정리: 이종도 │
사진: 서지형 │
2005-09-13
-
[스페셜1]
<거칠마루>의 파이터들 [3] - 6인의 무술인 ②
“여자 앞에선 숙맥이에요. 영화가 도움이 되었으면”
마시마로 역의 김진명
아마 영화 속 고수들 가운데 가장 귀여운 캐릭터는 마시마로일 것이다. 태식과 산길에서 강도 높고 박진감 있는 싸움장면을 보여주지만, 후반부에 깜찍하게 보여주는 재롱이 잊혀지지 않는 배우다. 촬영 뒤 2년 반이 지난 그의 몸은 무척 날렵하다. 공익 근무요원으로 들어가기 전 훈련
글: 이영진 │
글: 문석 │
글: 이종도 │
사진: 서지형 │
2005-09-13
-
[스페셜1]
<거칠마루>의 파이터들 [2] - 6인의 무술인 ①
“이소룡에 대한 오마주였는데 몰랐나요?”
태식 역의 장태식
스스로를 이소룡 2세대라 부르는 장태식은 이 작품의 출발점이자 동기라고 할 수 있다. 작품의 씨앗이 된 게 바로 그가 주인공을 맡았던 <무림일기>(KBS2 인간극장)였고, 영화 속 화자인 김c가 들려주는 ‘고수를 찾아가는 이야기’의 경험담도 태식의 것이니 말이다. 그의 인생은 이소
글: 박혜명 │
글: 이종도 │
사진: 서지형 │
2005-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