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부산국제영화제]
BIFF #1호 [씨네초이스] 어쩔수가없다 No Other Choice
박찬욱/한국/2025년/139분/개막작
9.17 영화의전당 야외극장 18:00 / 9.19 CGV센텀시티 IMAX관 09:00 / 9.19 영화의전당 중극장 11:30
실직의 괴로움과 재취업의 고통은 사람을 어디까지 몰아붙일 수 있을까? 두 자식과 아내가 있는 가장 유만수(이병헌)는 어느 날 평생을 바친 직장에서 잘린다. 그는 3개월 내 재취업을 다
글: 이병현 │
2025-09-17
-
[2025 부산국제영화제]
BIFF #1호 [인터뷰] 모두를 위한 실용주의, 정한석 집행위원장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의 확연한 변화는 정한석 신임 집행위원장의 집요한 행정 아래 굴러간다. 한국영화 담당 프로그래머로 6년간 뚝심 있는 선정을 이어온 그는 올해 한국영화 프로그래밍 실무까지 겸업하며 사실상 최장수 한국영화 프로그래머에서 집행위원장으로 거듭났다. 30년 조직의 관성을 깨고 새로운 동력을 만들어내려는 의지가 영화제 전반에 스민 가운데, 정 집
글: 김소미 │
사진: 백종헌 │
2025-09-17
-
[2025 부산국제영화제]
BIFF #1호 [인터뷰] 외연을 확장하며 내실을 다진다, 박광수 부산국제영화제 이사장
30주년을 맞이한 부산국제영화제(이하 부산영화제)는 거대한 변화를 맞이했다. 상영작·상 영관을 확대하고 경쟁부문을 신설했을 뿐 아니라 달라진 개·폐막식 진행 등 기존의 방식을 두루 바꿨다. 이러한 변화는 박광수 부산영화제 이사장이 지난해 새로 부임한 뒤, 제29회 부산영화제를 치르고 내부 조직의 운영을 살피며 변화의 필요성을 체감한 것이 발판이 됐다
글: 조현나 │
사진: 박종덕 │
2025-09-17
-
[2025 부산국제영화제]
BIFF #1호 [News] 부산국제영화제 30주년의 의미, 내년에도 올해가 마지막인 것처럼
부산국제영화제가 개최 30주년을 맞이했다. 30주년에 어울리는 화려한 상영작·게스트 라인업이 발표되자 SNS 등에선 ‘올해 부산국제영화제가 마지막인 것 아니냐?’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왔을 정도다. 그러나 정한석 신임 집행위원장은 “올해가 30회라서 반짝한 것이 아니라, 지금과 같은 수준을 내년, 내후년에도 유지하는 것이 목표”라는 말을 남겼다. 앞으로도
글: 이우빈 │
2025-09-17
-
[프런트 라인]
[비평] 침략과 산책, 김소희 평론가의 <엠파이어>
브뤼노 뒤몽의 영화는 대부분 한 마을에서 일어난 폐쇄적인 사건을 배경으로 삼는다. 분쟁 지역을 발로 누비는 뉴스 진행자를 주인공으로 삼은 근작 <프랑스>(2021) 정도가 한정된 장소를 벗어난 점에서 두드러지는 예외에 속한다. 뒤몽의 영화는 자연의 풍광과 함께 그 일부인 인간의 모습을 인상적으로 묘사해왔다. 한적한 어촌을 배경으로 삼은 <
글: 김소희 │
2025-09-24
-
[영화비평]
[비평] 기록되지 않는 것을 기록하기, 문주화 평론가의 <3학년 2학기>
이란희 감독의 첫 번째 장편 <휴가>에서 재복(이봉하)은 끝이 보이지 않는 농성을 잠시 멈추고 스스로에게 휴가를 내어준다. 그의 휴가는 밀린 집안일, 딸들의 대학 등록 예치금과 패딩 점퍼를 마련하기 위한 노동으로 부지런히 채워진다. <3학년 2학기>는 중소기업 실습생으로 이른 취직을 하면서, 학생으로서의 마지막 학기를 누리지 못하는 창
글: 문주화 │
2025-09-24
-
[김사월의 외로워 말아요 눈물을 닦아요]
[김사월의 외로워 말아요 눈물을 닦아요] 평범한 것들을 품에 안고
일본의 정리 전문가 곤도 마리에가 한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설레지 않으면 버려라.” 넷플릭스 프로그램에서 그녀는 물건을 가슴팍에 기대듯 안아보며 자신의 기분을 감지하곤 합니다. 아직도 두근거리듯이 좋아하는 마음이 들면 물건을 계속 간직하고, 좋아했지만 미련 때문에 가지고 있는 거라면 과감히 버리며 빈 공간을 만들자는 겁니다. 제가 아직도 두근거리는
글: 김사월 │
2025-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