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시가이드]
[국민대학교] 현장 경험을 쌓을 기회를 최우선으로 한다
학과소개
국민대학교가 가장 강조하는 부분 중 하나는 현장과의 연결이다. 2014년 연극영화학과에서 분리된 영화전공과 연극전공은 모두 이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먼저 영화전공의 경우, 포스트프로덕션 과정에 초점을 맞춰 커리큘럼이 구성되어 있으며 편집, 사운드, CG, DI 분야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과목을 통해 후반작업에 특화된 전문적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글: 김정현 │
사진: 씨네21 사진팀 │
2018-12-13
-
[입시가이드]
[대진대학교] 변화하는 현장에 발맞춰 교육환경의 최적화
학과소개
대진대학교 연극영화학부는 1998년에 신설되어 연극전공과 영화전공으로 운영되고 있다. 연극전공의 경우 창의적 연기 역량(연기자), 창의적 연출 및 무대예술 전문 관리 역량(무대예술 전문인), 문화예술교육역량(문화예술교육사), 영화전공의 경우 영화제작 역량(감독), 영화 현장 전문 관리 역량(영화 현장 전문인), 문화예술교육 역량(문화예술교육사)
글: 이나경 │
사진: 씨네21 사진팀 │
2018-12-12
-
[입시가이드]
[경희대학교] 내적으로 탄탄한 인문 예술인을 양성한다
학과소개
경희대학교 연극영화학과는 ‘세계무대로 나아가는 창조적 연극영화인 양성’을 목표로 1999년 신설되었다. 예술의 본래 모습인 장인정신을 바탕으로 한 진정한 의미에서의 창조적 연극영화인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이를 위해 이론과 실기, 정신과 물질, 철학과 기예가 하나되는 교육을 추구한다. 경희대학교는 후마니타스칼리지를 통해 ‘인간의 삶을 지탱해주고
글: 이나경 │
사진: 씨네21 사진팀 │
2018-12-12
-
[입시가이드]
[건국대학교] 시대가 요구하는 융합형 인재를 길러낸다
학과소개
최근 학과의 정체성을 명확히 정립하고자 영상영화학과로 명칭을 바꾼 건국대학교는 넓은 시야를 갖춘 능동적 인재를 길러내겠다는 목표를 향해 전진 중이다. 연기, 영상, 연출·제작 분야의 세부전공으로 구성된 영상영화학과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 분야에 해당하는 교과목 외에도 다양한 영역의 수업을 자유롭게 수강하도록 장려한다. 학생들이 입학 시 택
글: 전효진 │
사진: 씨네21 사진팀 │
2018-12-12
-
[입시가이드]
[추계예술대학교] 실무형 인재를 기르는 집중 교육
학과소개
추계예술대학교는 영상산업을 이끌어갈 현장 중심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 전략을 구사한다. 영상 분야의 작가 및 제작자 양성에 초점을 맞춰 학과를 영상시나리오과와 영상비즈니스과로 나누고, 맞춤형 교육을 제공한다. 영상시나리오과에서는 영화 시나리오를 비롯해 다양한 장르의 영상 콘텐츠 창작을 위한 글쓰기를 집중적으로 교육한다. 학생들은 시나
글: 전효진 │
2018-12-11
-
[입시가이드]
[정화예술대학교]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교육
학과소개
정화예술대학교는 2019학년도에 큰 변화를 맞이한다. 방송영상·연기학부로 통합되어 있던 방송·영상학부, 공연예술학부, 실용음악학부를 분리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여기에서 멈추지 않고 방송·영상학부에는 미디어콘텐츠디자인전공, 공연예술학부에는 뮤지컬전공과 공연기획제작전공을 세부전공으로 신설한다. 학부와 전공을 이전보다 세분화함으로써 교육의 질과
글: 김정현 │
사진: 씨네21 사진팀 │
2018-12-11
-
[입시가이드]
[성균관대학교] 인문학과 디지털 영상 테크놀로지의 조화를 추구한다
학과소개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는 국내 영화산업의 발전과 역사를 함께했다. 1990년대 초 국내 영화계에 대기업의 자본이 유입되면서 영화산업의 규모가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이는 한국 블록버스터의 출현으로 이어지며, 지금과 같은 한국영화 전성시대를 이루는 계기가 됐다.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는 당시 국내 영화산업의 성장에 핵심 역할을 한 삼성영상사업단의 권유로
글: 전효진 │
사진: 씨네21 사진팀 │
2018-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