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특집] ‘12·12 군사 반란은 쉽게 재현되지 않았다’, <서울의 봄> 제작기 ①
일촉즉발의 밤, 그 어둠의 공기를 담아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12일로 돌아가 그날의 분위기를 재현하고자 하는 영화다. 그렇기에 <헌트> 같은 장르영화가 되어서도 <아수라>처럼 김성수 감독의 개성이 녹아들어서도 안됐다. 이모개 촬영감독은 “김성수 감독에게 <서울의 봄>은 이미지가 중요하지 않은 영화”였
글: 임수연 │
글: 이유채 │
2023-12-08
-
[스페셜2]
[특집] 영화적 상상력은 역사를 어디까지 편집할 수 있는가, 패자의 관점에서 역사의 악센트 옮기기
1979년 12월12일은 그 역사적 중요성에 비해 영화적으로 그리 매력적인 소재가 아니다. 승자와 패자가 명확할뿐더러 전두환 패거리가 승리하는 과정 역시 아주 일방적이었기 때문이다. <서울의 봄>은 ‘어떻게 반란군이 승리했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진압군은 패배했는가’라는 것으로 질문의 방향을 전환한다. 일반적인 역사 서술이라면 두 질문이 동일
글: 안시환 │
2023-12-08
-
[스페셜2]
[특집] 오지 않은 봄은 어떻게 상상되는가, 김성수 감독이 남성들의 세계를 구축하는 법
황정민이 묘사하는 전두광이 인상적이기는 했지만 나는 정우성의 이태신이 훨씬 더 흥미로웠다. 이태신이 <서울의 봄>의 핵심을 관통하는 인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라면 그가 꼼꼼한 사실 고증으로 화제를 낳고 있는 이 영화가 그려내는 역사적 사실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순수한 허구라는 점도 특별했다. 살뜰한 자막 설명과 유사 작
글: 장병원 │
2023-12-08
-
[스페셜2]
[특집] '서울의 봄' 작전 계획 완전 분석
11월22일에 개봉한 <서울의 봄>의 기세가 심상치 않다. 누적 관객수 271만1447명(11월30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을 기록하며 개봉 이후 줄곧 박스오피스 정상을 지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SNS상에서 영화를 보는 동안 분노로 높아진 심박수를 인증하는 챌린지까지 유행하면서 극장가에 봄을 불러오고 있다. 호평에 힘입어 벌
글: 씨네21 취재팀 │
2023-12-08
-
[스페셜2]
[인터뷰] “신인 작가들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는 것이 이 사업의 목적이다”, 이선유 경기콘텐츠진흥원 영상산업팀 매니저
이선유 경콘진 영상산업팀 매니저는 동료가 인정하는 ‘경기 시나리오 기획개발지원 사업’ 전문가다. 2018년부터 지금까지 업무를 맡아 왔고, 지자체 최초로 세계관 IP를 육성하는 변화를 꾀하며 한국영화의 대표적인 스토리발굴 지원사업이자 일단 열리면 수백편의 작품이 접수되는 인기 공모전으로 자리 잡기까지 그의 공이 컸다. 이선유 매니저를 만나 경기 지원 사업의
글: 이유채 │
2023-12-07
-
[스페셜2]
[인터뷰] 착한 사람이 착함을 잃지 않는 이야기를 꿈꾼다, 시나리오 부문 대상 <맛나식당> 박용주 작가
명함 경품 추첨에서 이름이 불리지 않아 빈손으로 돌아갈 거라고 생각했다던 박용주 작가. 그러나 그의 손엔 시나리오 부문 대상이라는 가장 큰 선물이 안겼다. 박용주 작가는 대학에서 영화를 전공한 뒤 영화감독이 되기 위해 글을 쓰기 시작했다. 독립 장편을 찍은 건 10년 전, 상업영화 입봉이 늦어지면서 영화, 드라마 가리지 않고 이야기를 쓰게 된 순간부터다.
글: 이유채 │
2023-12-07
-
[스페셜2]
[인터뷰] ‘다시, 신인의 마음으로’, 세계관 부문 대상 <영혼 보는 의사, 화부> 임찬익 작가
세계관 부문 대상에 임찬익 작가의 이름이 불렸을 때, 객석에서 “청룡영화상 감독상보다 더 기쁘다!”라는 축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장편 연출 데뷔작 <체포왕>으로 제48회 백상예술대상 신인감독상을 받았으며 올해 극영화 <다우렌의 결혼>을 만든 것에서 확인할 수 있듯, 그의 직업은 엄연히 영화감독이다. 그런 그에게 <영혼 보는
글: 이유채 │
202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