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기획] 완성이 아닌 미완의 영속을 택하기, <외계+인> 2부작이 남긴 것, 어떤 비장함에 대하여
시퀄도 프리퀄도 아니다. 2022년 7월에 개봉했던 <외계+인> 1부의 다음 행보는 1월10일 개봉할 <외계+인> 2부다. 387일이란 한국영화 사상 최장 프로덕션을 거쳤다거나 내로라하는 배우들이 집합했다는 표면적 사실을 제외하고도 <외계+인> 시리즈의 몸집은 2부가 필요했을 만큼 거대하다. <타짜> <도둑
글: 김소희 │
2024-01-11
-
[스페셜2]
[인터뷰] 에세이 <잘돼가? 무엇이든> 개정증보판, <필수는 곤란해> 펴낸 이경미 감독 × 피어스 콘란 평론가 대담
- 두분 다 집에서 작업을 하신다고 들었어요. 이 공간에서 정말 많은 일이 이루어지겠네요.
이경미 맞아요. 그만큼 일과 생활이 분리가 안돼서 저희 둘 다 그게 문제라고 느끼고 있어요. 밥 먹으면서도 자연스럽게 프로젝트나 아이디어 이야기를 하게 되니까요. 피어스가 도움을 많이 줘서 저는 좋은데 피어스는 계속 일하는 느낌이 들어서 힘들 거예요.
피어
글: 조현나 │
사진: 백종헌 │
2024-01-11
-
[스페셜2]
[기획] 영화감독과 영화평론가가 쓴 에세이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 있는가, ‘영화의 세계, 부부의 세계’
‘잘돼가? 무엇이든’이라는 질문에 답하고, 반대로 ‘필수는 곤란해’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물어보며 대화를 이어나가고 싶은 제목들이다. 이경미 감독이 연출한 동명의 단편에서 따온 <잘돼가? 무엇이든>은 첫 쇄를 찍은 2018년 이후 5년 만에 개정증보판을 펴내며 새 옷을 입었다. <필수는 곤란해>는 한국어로 펴낸 피어스 콘란 평론가의 첫
글: 조현나 │
2024-01-11
-
[씨네21 리뷰]
[리뷰] ‘립세의 사계’, 이야기가 주는 고통을 넘어서지 못하는 보이는 것의 아름다움
1800년대 말, 폴란드 립세 마을에 사는 야그나(카밀라 우젱도프스카)는 수려하나 부족한 여자로 알려져 있다. 남편이 없기 때문이다. 제 손으로 어여쁜 것들을 만들며 어머니와 영원히 함께 살길 바라지만 집에서는 그의 결혼을 밀어붙인다. 결국 부유한 농민이자 사별한 중년 보리나(미로슬로우 바커)의 아내가 된다. 이제 동네에선 그를 다 가진 여자라고 부르지만
글: 이유채 │
2024-01-10
-
[씨네21 리뷰]
[리뷰] ‘외계+인 2부’, 방대한 세계관의 결자해지
이안(김태리)은 2022년에 인간의 신체를 뺏은 외계인 죄수들에게 쫓기던 중, 외계인 죄수를 관리하던 가드(김우빈), 썬더(김우빈)와 고려 시대로 도망쳐 성장한 인물이다. 이안이 외계인들의 지구 침공을 막기 위해 미래로 복귀하려면 ‘신검’을 되찾아야 하지만, 이안과 함께 고려 시대로 넘어온 외계인 자장(김의성)이 신검을 뺏으려 한다. 이안과 연을 맺은 도
글: 이우빈 │
2024-01-10
-
[씨네21 리뷰]
[리뷰] ‘노 베어스’, 비극을 피사체로 삼는 카메라의 숙명적 딜레마
출국 금지 상태의 영화감독 자파르 파나히는 이란의 작은 국경 마을에 자리 잡은 뒤 튀르키예에서의 다큐멘터리 촬영을 원격으로 지휘한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유럽으로의 망명을 꿈꾸며 위장 여권을 구하는 남녀. 한편 그의 카메라에 사랑의 도피를 계획하는 연인이 포착된다. 국경과 관습의 울타리에서 탈출하려는 두쌍을 바라보는 파나히는 점차 이들의 여정과 관계를 맺
글: 박수용 │
2024-01-10
-
[씨네21 리뷰]
[리뷰] ‘이어지는 땅’, 풍경과 얼굴로 메우기엔 너무나 큰 우연들의 간극
런던에서 유학 중인 호림(정회린)은 어느 날 두 가지 우연을 마주한다. 우연히 낯선 여자의 영상이 담긴 캠코더를 습득하고, 산책 나선 공원에서 전 애인 동환(감동환)을 만난다. 호림은 휴대전화를 분실했다는 핑계로 동환의 전화를 빌린다. 그사이 동환의 현재 애인 경서(김서경)도 공원에 도착하고, 영상 속 여자였던 이원(공민정)까지 넷은 저녁 식사를 하게 된
글: 최현수 │
202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