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감독과 배우들의 불화가 심각했다고?
압델라티프 케시시 감독은 지난해 칸영화제에서 <가장 따뜻한 색, 블루>를 공개한 뒤 홍역을 치러야 했다. 영화에 쏟아진 찬사와는 별개로, 영화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영화에 참여한 스탭과 배우는 케시시 감독의 노동력 착취와 독단적 스타일을 공개적으로 비판했고, 원작자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레즈비언의 섹스 신’이 비현실적이라며
글: 이주현 │
2014-01-14
-
[스페셜1]
계급을 넘어 사랑하는 일 우리에게 얼마나 어려운가
압델라티프 케시시는 프랑스의 이민자 출신 감독을 대표하며,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시네아스트 중 한명이다. 지난해 9월 <가장 따뜻한 색, 블루>의 정킷자리에서 그를 직접 만났다. 영화에 대한 각종 논란이 프랑스 여론을 뜨겁게 달군 그때, 케시시는 이러한 논란에 대해 유감스럽게 여기며 방어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지만, 영화에 대해서만큼은
글: 서도은 │
2014-01-14
-
[스페셜1]
디아스포라의 영혼이 현실을 응시할 때
압델라티프 케시시는 디아스포라의 개념이 다시 유행하는 ‘9.11’ 이후에 주목을 받은 감독이다. 말하자면 ‘테러사건’ 이후 아랍권에 대한 비상한 관심이 제기됐고, 특히 유럽이나 북미 등에서 조국을 떠나 사는 이슬람 출신 이주민들에 대한 관심이 증폭할 때 등장했다. 프랑스에서 활동하던 튀니지 출신 케시시는 독일의 터키 출신 파티 아킨과 더불어 유럽 내 디아
글: 한창호 │
2014-01-14
-
[스페셜1]
“감정을 드러내는 신에서 더 벌거벗었다고 느꼈다”
젊고 무명이었던 아델 엑사르코풀로스는 본명을 제목으로 내건 작품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함에 따라 기대치 않았던 화려한 데뷔를 했다. 그녀는 성정체성에 확신이 없던 어린 날에 동성과 첫사랑에 빠지고 그 뒤로 격렬한 성장통을 겪는 인물 아델을 사실적으로 연기해 극찬을 받았다. 감독이 레몬 타르트를 먹는 그녀의 입을 보고서, 먹는 장면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이
글: 서도은 │
2014-01-14
-
[스페셜1]
“아무도 압델라티프처럼 영화를 찍지 않는다”
엠마는 빛나는 파란 머리를 하고 한순간에 아델의 마음을 훔친다. 그리고 영화 내내, 가장 따뜻한 색깔인 블루는 ‘아델의 삶’을 지배한다. 레아 세이두는 이 매력적인 레즈비언 예술가 엠마 역을 맡아 만남에서 헤어짐에 이르는 어느 사랑의 궤적을 열정적으로 표현했다. 현재 프랑스 영화계에서 가장 바쁜 배우 중 하나인 그녀는 그러나 지난해 칸영화제 수상 직후 “
글: 서도은 │
2014-01-14
-
[스페셜1]
이것은 바로 당신의 이야기입니다
한 무리의 학생들이 18세기 장편소설 <마리안의 일생>을 읽는다. 프랑스 극작가 피에르 드 마리보가 쓴 사랑 이야기다. 소설의 여주인공은 지금 막 운명적인 첫사랑과 조우한 참이다. 그녀의 혼란스러움과 열띤 감정이 교차하는 문장들을, 어떤 학생은 키득거리며 읽고 또 어떤 학생은 무심하게 읽는다. 사랑을 경험해보지 못한 이들에게 마리보의 소설 <
글: 장영엽 │
2014-01-14
-
[스페셜1]
사랑으로 물들다
지난해 칸영화제를 핑크빛으로 물들였던 화제의 영화, <가장 따뜻한 색, 블루>가 1월16일 개봉을 앞두고 있다. 179분에 달하는 긴 상영시간과 파격의 레즈비언 정사 신을 장전하고 있는 이 영화는, 우려와 달리 무삭제 버전으로 전국의 예술영화 상영관에서 국내 관객과 만날 예정이다. 튀니지 출신의 프랑스 감독 압델라티프 케시시와 배우 레아 세이두
글: 씨네21 취재팀 │
2014-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