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고문의 메커니즘
<남영동1985>(이하 <남영동>)와 <변호인>은 모두 실제 인물과 사건을 바탕으로 해서 만들어진 영화다. 두 영화는 1980년대 전두환 정권 아래에서 발생했던 ‘공안 사건’과 그에 연루된 인물을 영화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남영동>에는 고 김근태씨가 피의자로 연루되었던 1985년의 ‘민추위 사건’이, <변
글: 변성찬 │
2014-01-21
-
[스페셜1]
국가 대신 국민을 위해
이 영화에 열광하는 관객에게 노무현은 <변호인> 시절의 노무현과 자살로 생을 마감한 노무현, 정의로운 탄생과 비장한 끝, 이렇게 두 이미지의 작용으로 완성되는 것 같다. 적어도 <변호인>을 보는 동안, 그들에게 노무현의 대통령 재임기간을 포함한 지난 30여년의 대한민국, 정치인 노무현의 행로, 그리고 우리의 때묻은 시간은 망각 속에
글: 남다은 │
2014-01-21
-
[스페셜1]
사람의 도리를 다하는 사람
<효자동 이발사>의 이발사 성한모(송강호)는 출산 직전의 아내를 손수레에 싣고 달리다 엉겁결에 시위대의 행렬에 섞인다. 이내 군인들의 총탄이 쏟아지고 부상자들이 속출하자 시위대 중 몇명이 내달리는 성한모를 붙들고 사정한다. “선생님, 여기도 좀 도와주십시오!” 그러자 성한모가 겸연쩍어하며 하는 말. “아… 이 (흰색) 가운을 보고 오해들을 하시
글: 정한석 │
2014-01-21
-
[스페셜1]
보편타당하게 소통한다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고 기대의 박수소리도 들렸다. 하지만 어느 쪽도 이 정도의 폭발적인 반응까진 예상치 못했을 것이다. 이변이 없는 한 2014년을 장식할 첫 1천만 영화는 <변호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개봉 19일 만인 1월7일에 벌써 800만 관객을 돌파한 <변호인>의 기세는 개봉 3주차에도 123만명을 기록하며 수그러들 조짐이
글: 송경원 │
2014-01-21
-
[스페셜1]
당신은 무엇을 보았습니까
<변호인>이 한국영화의 흥행기록을 새로 써내려가고 있다. 민감할 수 있는 소재였기에 이 같은 열풍은 더욱 놀랍다. 사람들은 왜 지금 ‘변호인’에 열광하는가. 실화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인 소재가 한국영화 속에서 힘을 발휘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변호인>의 흥행을 계기로 최근 한국영화가 사회적인 소재에 반응하는 방식에 대해 고민해보았다.
글: 씨네21 취재팀 │
2014-01-21
-
[스페셜1]
“노무현이 보석처럼 빛나는 시간을 고민했다”
드디어 감독이 입을 열었다. <변호인>의 1천만 관객 돌파가 확실시되는 시점이 되어서야 양우석감독이 인터뷰에 나선 것이다. 이에 대해 그는 홍보 마케팅의 차원을 넘어 “오해와 편견이 여러모로 예상된 작품이어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영화를 보고 이야기한 다음 나서는 게 맞을 것 같았다”고 말했다. 전 MBC 프로덕션 영화기획실 프로듀서, 올댓스토리
글: 주성철 │
2014-01-10
-
[스페셜1]
감독과 배우들의 불화가 심각했다고?
압델라티프 케시시 감독은 지난해 칸영화제에서 <가장 따뜻한 색, 블루>를 공개한 뒤 홍역을 치러야 했다. 영화에 쏟아진 찬사와는 별개로, 영화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영화에 참여한 스탭과 배우는 케시시 감독의 노동력 착취와 독단적 스타일을 공개적으로 비판했고, 원작자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레즈비언의 섹스 신’이 비현실적이라며
글: 이주현 │
2014-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