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아유]
<철벽선생> 하마베 미나미 - 그녀의 도전
고백도 하기 전에 차이기 일쑤지만 연애에 목숨 건 <철벽선생>의 왈가닥 여고생 사마룬과 실사판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에서 세상과의 이별 과정을 차곡차곡 감내하던 사쿠라를 한 배우가 연기했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 아니나 다를까, <철벽선생>의 캐스팅 제의가 왔을 때 “왜 나에게 이런 역할을?”이라며 당황했지만 “도전해보자
글: 김현수 │
2019-03-21
-
[스페셜2]
한국영화 화제작 감독 인터뷰②_ <돈> 박누리 감독
<돈>은 증권회사에 입사한 평범한 청년이 ‘당신도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위험하지만 달콤한 제안을 받아들이면서 변해가는 이야기다. 큰돈을 벌 수 있을 거라는 부푼 꿈을 안고 여의도에 입성한 신입 주식브로커 조일현(류준열)을 중심으로, 일현을 부자로 만들어주는 작전 설계자 번호표(유지태), 번호표를 오랫동안 쫓아온 금융감독원의 한지철(조우진)이
글: 이주현 │
사진: 최성열 │
2019-03-21
-
[스페셜2]
한국영화 화제작 감독 인터뷰①_ <우상> 이수진 감독
데뷔작 <한공주>(2013)에 쏟아진 호평 이후 이수진 감독은, 지난 5년간 차기작이 가장 기대되는 감독으로 손꼽혀왔다. 전작의 영향으로 그의 다음 영화는, 또 한번 우리 사회를 향한 통렬한 비판이 되리라 미루어 짐작했다. <우상>은 그런 지점에서 이수진 감독이 꺼내든 또 한번의 날카로운 ‘칼’이다. 교통사고, 시체유기라는 범죄 스릴
글: 이화정 │
사진: 최성열 │
2019-03-21
-
[스페셜2]
하룬 파로키, <세계의 이미지와 전쟁의 각인>에 대해
‘홀로코스트’와 ‘아름다움’을 결합할 수 있을까? 부당하기 짝이 없는 질문 같지만 바보처럼 답변의 과정을 일일이 캐묻기로 하자. 두 단어를 함께 거론하는 것은 (불)가능한가? 그것이 가능하다면 그 정당성은 어떻게 입증될 것이며, 불가능하다면 그 금기는 무엇을 근거로 주장할 수 있을까? 후자의 견해를 따른다면 우리는 상식적이고 단호한 결론에 도달한다. 아
글: 김병규 │
2019-03-21
-
[스페셜2]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라스트 미션>과 그의 연출, 연기세계에 대하여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37번째 장편영화이자 본인이 직접 배우와 감독을 맡은 23번째 영화 <라스트 미션>이 개봉(3월 14일)했다. 마치 이스트우드의 마지막 작품이 될 것 같은 제목이지만 막상 영화를 보고 나면 생각이 바뀔 것이다. 2008년 <그랜 토리노>가 시대를 마감하는 고별사처럼 보인 것에 반해 멕시코 카르텔의 마약 운반책이 된
글: 송경원 │
2019-03-21
-
[디스토피아로부터]
나를 죽여줘
초등학교 5학년 어느 날. 담임 선생님의 결근으로 그날 체육 시간에는 우리 반과 옆 반의 피구 시합이 벌어졌다. 운동장에 주전자 물을 부어 그은 선 안으로 아이들이 비좁게 섰다. 피구는 공에 맞으면 ‘죽는’ 경기다. 공을 잡아야 살아남을 수 있다. 밀집도가 높은 초반엔 공에 맞은 아이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간다. 대부분 나처럼 공을 두려워해 섣불리 잡지 못하
글: 이동은 │
일러스트레이션: 정원교 │
2019-03-20
-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캡틴
*<캡틴 마블>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머리칼이 불꽃 모양으로 일렁이고 눈은 한쌍의 화이트 홀처럼 빛나고 팔다리는 열기를 뿜어낸다. 영화를 보기 전까지 그저 슈퍼 파워의 진부한 만화적 묘사로 보였던, 각성한 캡틴 마블(브리 라슨)의 이미지는 놀라운 해방감을 자아낸다. 이 이미지는 “만약 내가 자유로워진다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는 여성 일반
글: 김혜리 │
2019-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