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하트스톤> 구두문두르 아르나르 구드문드손 감독, “그 시절엔 모든 것이 가능했다”
-한국 관객 대부분에게 아직은 미지의 감독일 당신을 소개하게 돼 기쁘다. 처음에는 배우로 아이슬란드영화계에 뛰어든 것으로 알고 있는데, 데뷔작의 메가폰을 잡기까지 어떤 궤적을 거쳐왔는지 소개해주기 바란다.
=짧은 시간 아마추어 배우로 생활한 뒤에 느낀 것이 나는 다른 사람의 연기를 디렉팅하는 일이 더 적성에 맞는다는 사실이었다. 이후 개념미술과 시나리
글: 김소미 │
2019-05-02
-
[스페셜2]
성장, 퀴어, 노르딕 시네마가 만난 <하트스톤> 자세히 들여다보기
10대에만 가능한 열렬함이 있다. 이 시기에 통과의례처럼 닥쳐오는 자아에 대한 괴로움, (짝)사랑, 처음 느끼는 성적 긴장감 같은 것을 어떤 이들은 평생 잊지 못하기도 한다. 생애 딱 한번뿐이면서, 순식간에 지나가는 그 시기를 곱씹는 기쁨으로 지금껏 수많은 성장 서사들이 쉼 없이 쏟아져 나온 것도 같다. 제73회 베니스국제영화제 퀴어사자상을 수상한 <
글: 김소미 │
2019-05-02
-
[디스토피아로부터]
예술성이란 무엇인가?
지인의 이사를 도와주던 날이었다. 그날의 이사는 평소와 좀 달랐다. 지인의 집에는 예술 작품이 많아서 용달 기사님들은 서로 “작품 조심해요!”라고 경고하며 짐을 옮기고 있었다. 나는 골판지를 겹겹이 붙여 만든 작은 가구 하나를 보고 지인에게 “이거 아이디어 좋네. 직접 만들었어요?”라고 물었다. 지인은 미소를 띠면서도 자못 진지하게 “건축가 프랭크 게리가
글: 심보선 │
일러스트레이션: 박지연 │
2019-05-01
-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신과 함께
*<퍼스트 리폼드>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폴 슈레이더의 옛 동료 마틴 스코시즈의 <사일런스>(2016)는 <퍼스트 리폼드>와 훌륭한 동시상영의 짝을 이룰 법하다. 1640년 예수회 신부 세바스티안 로드리게즈(앤드루 가필드)는 박해가 극심한 일본에 도착한다. 숨어 살며 동굴에서 말씀을 전파하지만, 고문으로 느리게 죽어가는
글: 김혜리 │
2019-05-01
-
[영화비평]
<미성년>에서 김윤석 감독이 인물의 내면을 보여주는 방식에 대하여
김윤석 배우의 감독 데뷔작 <미성년>을 보았다. 처음 이 영화를 볼 때, 나의 시선을 사로잡았던 장면은 영주(염정아)의 맨발이었다. 그녀가 처음 등장했을 때, 그녀가 맨발일 거란 생각을 하지 못했다. 감독은 그녀의 맨발을 딸 주리(김혜준)에게 도시락을 건네고 돌아가는 뒷모습에서 보여주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영화의 배경이 된 계절은 겨울이었다.
글: 홍은애 │
2019-05-01
-
[씨네21 리뷰]
<어글리 돌> 최고의 애착 인형으로 거듭나기 위한 훈련
미국의 데이비드 호바스와 한국의 김선민 작가 커플이 만든 인형/피겨 브랜드 ‘어글리 돌’이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졌다. ‘어글리 빌’에 사는 모씨는 마을 밖의 ‘빅 월드’를 궁금해한다. 모씨는 언제나 빅 월드에 대한 상상을 멈추지 않지만 갈 수 있는 방법을 몰라 친구들과 모험을 떠나기로 한다. 모씨 일행은 ‘퍼펙션 스쿨’의 루와 맨디를 만나면서 최고의 애착
글: 이다혜 │
2019-05-01
-
[씨네21 리뷰]
<굿바이 마이 러브NK: 붉은 청춘> 한국전쟁 중 모스크바로 유학 간 8명의 북한 젊은이
“사람이 태어난 곳은 고향이라는데, 사람이 묻히는 땅은 뭐라고 하느냐?” 한국전쟁 중 모스크바로 유학 간 8명의 북한 젊은이가 있었다. 한국전쟁에 인민군으로 참전해 공을 세우고 ‘알짜 빨갱이’이라는 신뢰를 얻었기에 가능한 유학이었지만, 실상은 그렇게 믿음이 투철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모스크바 국립영화대학에서 공부하던 이들은 북한에서 종파 사건이 일어난
글: 임수연 │
2019-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