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셀린 시아마 감독 특별전 미리보기 ① ~ ③] - 우리가 사랑한 소녀들
셀린 시아마의 영화는 한국에 너무 늦게 도착했다. 관객수 13만명을 돌파하며 프랑스 예술영화 중 드물게 국내 흥행에 성공한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은 한국에서 개봉한 그의 첫 영화다. 셀린 시아마를 동시대 시네필들이 가장 주목하는 감독으로 부상하게 한 ‘성장기 3부작’, <워터 릴리스> <톰보이> <걸후드>를
글: 임수연 │
2020-03-12
-
[마감인간의 music]
[마감인간의 Music] 닉 우라타 <루비 스팍스> O.S.T, 산책의 벗
새해부터 제법 걸었다. 설 연휴를 끼고 런던으로 출장을 다녀왔고, 돌아와서는 도시 곳곳을 걷는 데 몰두하고 있다. 짧게는 30분부터 길게는 두어 시간 남짓 걸리는 산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오래 걸어도 발이 편한 운동화이지만, 그만큼 중요한 게 바로 음악이다. 밤과 낮, 아침을 오가며 매일 가던 거리와 오랜만에 마주한 골목을 다니며 들은 재생 목록에는 근
글: 홍석우 │
2020-02-27
-
[영화비평]
<1917>에서 숏의 지속을 목격한다는 것
<1917>에 관한 상찬은 대개 영화의 기술적 시도에 한정된다. <1917>은 촬영본을 이어붙여 관객이 단절을 인식하지 못하게 만드는 ‘원 컨티뉴어스 숏’ 기법을 통해 영화 전체가 하나의 숏처럼 보이도록 만들었다. 그런데 기술적 시도에 관한 언급이나 나열에 그칠 뿐, 그것이 왜 성과인지를 들여다보려는 시도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글: 김소희 │
2020-03-12
-
[people]
<기억의 전쟁> 이길보라 감독 - 전쟁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반짝이는 박수 소리>(2015)에서 청각장애를 가진 부모와 자신의 일상을 담아낸 이길보라 감독이 이번엔 베트남전쟁의 역사로 시선을 돌렸다. 고엽제 후유증으로 힘겨운 암투병을 하면서도 스스로를 ‘참전 용사’라 불렀던 할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출발점이었다. 유년기에 할아버지 방에 놓인 훈장을 보면서 자연스레 베트남전쟁을 자랑스러운 일로만 알았다는
글: 김소미 │
사진: 최성열 │
2020-02-27
-
[인터뷰]
오석근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새로운 창작 세대를 위한 정책을 고민한다"
오석근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 위원장은 임기 중 한국영화 100주년을 맞았고, <기생충>의 칸국제영화제와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최초 수상 및 석권이라는 쾌거도 맛보았다. “숟가락을 얹다, 그것의 전형적인 케이스라고 말하고 다닌다. (웃음) 그러면 사람들은 말한다. 많은 사람들이 숟가락을 가지고 다닌다. 그런데 얹지를 못한다. 그러니 그것도
글: 이주현 │
사진: 오계옥 │
2020-03-12
-
[후아유]
드라마 <스토브리그> 채종협 - 슈퍼 루키의 탄생
‘크보 실록’(다사다난한 한국야구위원회(KBO) 및 야구판과 드라마 내용이 너무 닮았다는 의미에서 시청자들이 만든 표현)이라 불리는 드라마 <스토브리그>에서 유일하게 비현실적인 요소가 있다면, 유민호 선수를 연기한 채종협의 해사한 얼굴이다. 격한 반응을 쏟아내던 시청자들도 유민호가 나타나면 “저렇게 생긴 야구선수는 없다”며 흐뭇한 미소를 짓곤
글: 임수연 │
사진: 백종헌 │
2020-02-27
-
[디스토피아로부터]
답 없는 생활
“강박이 좀 있으신 것 같군요. 정확히는 강박으로 인한 불안이에요.” 정신과의사는 내 불안의 원인이 강박이라고했다. 특히 의사소통에 있어서 완벽하게 전달하려는 강박이 있는 것 같다고 부연했다. 믿을 수 없었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나와 강박은 거리가 먼 것 같았다. 나는 미역국을 먹고도 시험을 볼 수 있고, 심지어 짝짝이 양말을 신고도 외출을 할 수 있는
글: 이동은 │
일러스트레이션: 박지연 │
2020-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