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뉴스]
윤여정, 한국 배우 최초로 아카데미 후보에 올라
<미나리>의 배우 윤여정이 한국 배우로는 최초로 아카데미 시상식 후보에 올랐다.
정이삭 감독이 한국 이민 1세대 가족으로서 겪은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만든 영화 <미나리>는 미국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AMPAS)가 주관하는 93회 아카데미 시상식에 작품상(크리스티나 오), 감독상(정이삭), 각본상(정이삭), 남우주연상(스티븐 연),
글: 김현수 │
2021-03-16
-
[강화길의 영화-다른 이야기]
[강화길의 영화-다른 이야기] 그녀의 노래
<오즈의 마법사>는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영화 중 하나다. 하지만 지금까지 나는 이 영화를 보지 않았는데, 그건 바로 ‘도로시’를 연기한 배우 ‘주디 갈런드’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 때문이었다. 이야기를 처음 들었을 때, 나는 어떻게 그런 일이 있을 수 있나 싶어 충격을 받았다. 사실 지금도 잘 믿기지 않는다. 정말로 그런 일이 있었을까? 어떻
글: 강화길 │
2021-03-29
-
[윤덕원의 노래가 끝났지만]
[윤덕원의 노래가 끝났지만] 노래에 물을 주듯
‘아무래도 그 노래는 너무 많이 했는데, 이번엔 뺄까?’ 공연을 앞두고 셋리스트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으레 이런 대화들이 오간다. 많은 공연을 치르면서 같은 곡을 수도 없이 연주하게 되면 왠지 너무 식상하게 느껴질 때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공연 때마다 매번 새로운 곡을 발표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그렇게 되려면 공연 횟수가 아주 적거나 아주 많은
글: 윤덕원 │
2021-03-25
-
[프런트 라인]
'미나리'의 세 가지 결정적 순간
<미나리>는 매우 좋은 영화지만 할 말이 많은 영화는 아니다, 라고 생각했다. 영화는 맑고 투명하며 정직해 보였고, 영화의 국적부터 의미까지 이미 많은 이야기들이 쏟아져나온 탓도 있다. 하지만 막상 걸음을 떼고 보니, 내가 가진 언어의 역량으로 포획하기 힘든 장면들이 너무 많다. <스파이의 아내>를 비롯해 최근 부쩍 그런 영화들이 극장
글: 송경원 │
2021-03-23
-
[영화비평]
'프라미싱 영 우먼'이 강간복수극 장르의 규칙 안에서 택한 길
강간복수극이라는 장르에 대해서는 제니퍼 켄트의 <나이팅게일>에 관한 글에서 한번 이야기했으니 이를 반복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는 두 가지만 추가하기로 하자. 하나, 일단 장르가 형성되면 작품이 이 틀에서 벗어나기가 극도로 힘들다는 것. 둘, 관객은 이 소재를 다룬 모든 영화를 장르의 틀 안에 넣어보게 된다는 것.
에메랄드 페넬의 <프라
글: 듀나 │
2021-03-23
-
[people]
제12회 젊은작가상 대상 수상한 '그녀는 조명등 아래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전하영 작가 - 영화를 연출하듯 소설을 쓴다
2021년 제12회 젊은작가상 대상 수상작으로 전하영 작가의 <그녀는 조명등 아래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이하 <조명등>)가 선정되었다. 필립 가렐의 영화로부터 제목을 따온 이 소설에는 영화를 전공한 남자와 그에게 교양 강의를 들은 여자들의 한 때가 웅덩이처럼 고여 있다. 남자는 예술을 말하며 시선을 끌고, 우울을 흘리며 관심을 얻는
글: 남선우 │
사진: 오계옥 │
2021-03-18
-
[people]
'정말 먼 곳' 박근영 감독 - 잠시, 영화의 안식처에 머물다
시적 영화를 염원하는 작가들의 이름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박근영 감독은 지금 한국 독립영화 신에서 그런 드문 움직임을 조용히 이어나가고 있는 감독이다. 데뷔작 <한강에게>(2018)에서 어느 시인의 일상을 빌려 동시대와 호흡하는 죄의식을 풀어낸 그는, 이번 신작 <정말 먼 곳>에서 안식처를 찾는 동성 연인의 발자취를 따라 풍경과 정
글: 김소미 │
사진: 백종헌 │
2021-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