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RVIEW]
'스파이의 아내' 구로사와 기요시 감독 - 삶은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긴장을 견디는 것
너는 누구인가. 아니, 네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서스펜스를 표방하곤 있지만 <스파이의 아내>는 질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종류의 영화는 아니다. 여기 사건의 실체를 파헤치고 비밀을 추적해가는 미스터리는 없다. 이것은 역사에 대한 기억이고,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해선 이미 결정이 된 바이기 때문이다. 대신 <
글: 송경원 │
사진: 손홍주 │
2021-04-07
-
[music]
[Music] 성장하는 싱어송라이터의 오늘 - 김세정 《I’m》
첫곡 <Teddy bear>의 문이 뿌옇게 퇴색된 기타 연주로 열리는 순간, 귀가 솔깃하다. 느긋하게 출렁이는 리듬을 타고 ‘your eyes, your hair, your toes, your lips, 가만 널 마주 봐’ 하는 탁한 목소리가 들려오면 어쩐지 자세를 고쳐 앉게 된다. 앨범 커버를 한번 더 확인한다. 김세정, 그 세정이 맞다. 참
글: 김윤하 │
2021-04-08
-
[디스토피아로부터]
[송길영의 디스토피아로부터] 어쨌든, 함께 보다
척박한 미디어 환경에서도 꿋꿋이 발행되고 있는 <씨네21>을 사서 보시는 독자 분들은 필시 전문가일 것이라 믿기에 다음의 질문을 하고 싶다.
“영화와 드라마의 차이는 무엇인가 ?”
이것저것 검색하다 시나리오작가들의 카페에서 동일한 주제의 논의를 발견했다. 영화가 화면으로 이야기하는 비중이 높아 ‘지문’이 중요하다면 드라마는 ‘대사’로 이야기
글: 송길영 │
2021-04-07
-
[해외통신원]
[베를린] '우리 어머니, 우리 아버지' 역사 왜곡, 폴란드 법정에서 공식 사과 판결
독일 공영방송 <ZDF>와 우파 영화사가 지난 3월 23일, 폴란드 법원 2심에서 미니시리즈 3부작 <우리 어머니, 우리 아버지> (Unsere Mütter, unsere Väter)에 대해 “독일 공영방송 <ZDF>는 홈페이지에 공식 사과하라”는 판결을 받았다. 소송인은 2차대전 당시 폴란드 빨치산이었던 96살 즈비기
글: 한주연 │
2021-04-06
-
[후아유]
[WHO ARE YOU] '아무도 없는 곳' 윤혜리
<아무도 없는 곳>의 유진은 선배 창석(연우진)의 소설 출간을 돕는 편집자다. 시종 시니컬함을 유지하면서도 과거의 상실을 거리낌 없이 창석에게 털어놓는 인물이다. <대자보>로 제15회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에서 ‘단편의 얼굴상’을 수상한 후, <아무도 없는 곳>에 이르기까지 배우 윤혜리가 달려온 시간에 관해 물었다.
반짝
글: 조현나 │
사진: 최성열 │
2021-04-06
-
[씨네21 리뷰]
영화 '피넛 버터 팔콘' 아웃사이더 주인공이 목적지로 향하는 여정을 담은 로드무비
22살 잭(잭 고트사겐)에겐 꿈이 있다. 지금은 양로원에서 노인들과 집단생활 중이지만 프로레슬러 데뷔를 소망한다. 10년도 더 지난 경기 비디오를 보며 영상 속 선수를 찾아 프로레슬링을 배우겠노라 다짐한다. 룸메이트의 도움으로 시설에서 탈출한 잭은 강가에 정박한 어느 통통배 안에 숨어든다. 선주 타일러(샤이아 러버프)는 보트를 몰다 잭을 발견하고 자초지종
글: 김태호 │
2021-04-06
-
[씨네21 리뷰]
영화 '더스트맨'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출신 김나경 감독의 첫 장편 연출작
태산(우지현)은 여기저기 떠돌며 살아가는 청년이다. 과거의 상처 때문에 집을 나왔고, 서울역에서 다른 홈리스들과 함께 꿋꿋이 살아간다. 어느 날 태산은 굴다리를 지나가다가 굴다리 벽을 도화지 삼아 그림을 그리는 모아(심달기)를 만난다. 태산은 길거리에 주차된 자동차 뒤 유리에 쌓인 먼지로 그림을 그려 모아에게 보여준다. 일면식도 없던 두 사람은 서로의 재
글: 김성훈 │
2021-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