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경희의 SF를 좋아해]
[이경희의 SF를 좋아해] 에우로파의 여신들
가끔 나는 SF 작가들을 MBTI…, 아니, MICE라는 네 가지 척도로 분류해보곤 한다. MICE는 <엔더의 게임>으로 유명한 오슨 스콧 카드의 작법서에 등장하는 개념인데, 인물에 집중하는 기성 소설과 달리 장르 소설은 세계(Milieu), 착상(Idea), 인물(Character), 사건(Event) 등 네 가지 요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는
글: 이경희 │
2021-06-17
-
[국내뉴스]
롯데시네마, 7월 1일부터 영화관람요금 1천원 인상
롯데시네마가 오는 7월 1일부터 영화관람요금 정책을 변경한다. 성인 2D 일반영화 기준 주중 1만 3천원, 주말 1만 4천원으로 기존보다 1천원 인상된다. 지난해 12월 인상 이후 약 6개월 만이다. 롯데시네마 측은 ‘코로나19로 인한 영화산업의 장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함’이라고 관람료 인상의 이유를 설명했다. 대신 영화관 운영 시간과 고객 편의 등을 고려
글: 조현나 │
사진: 씨네21 사진팀 │
2021-06-07
-
[영화비평]
장르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차용한 지아장커의 '강호아녀'
지아장커 감독은 전작 <산하고인>(2015)에서 멜로드라마 형식을 빌려 중국 인민들이 급격한 산업화를 겪으며 자본주의에 잠식되어가는 과정을 한 여성의 일생(1999년부터 2025년까지)을 통해 비판적으로 다뤘다. 이번 영화 <강호아녀>(2018)에서도 전작과 마찬가지로 감독의 아내이자 뮤즈인 자오타오를 내세워 현대 중국 사회의 변화된
글: 홍은애 │
2021-06-16
-
[정종화의 충무로 클래식]
[정종화의 충무로 클래식] '하녀'와 '화녀' 사이
<충녀>
제작 한립물산주식회사 / 감독 김기영 / 상영시간 120분 / 제작연도 1972년
김기영 감독은 1960년작 <하녀>로 한국영화의 새로운 챕터를 열었다. 서구영화의 문법과 장르 관습들을 자신의 것으로 다시 창안했고, 영리한 연출과 제작의 효율성이 빛을 발하며 상업적 성공과 미학적 성취가 동시에 창출됐다. 그의 아홉 번째
글: 정종화 │
2021-06-14
-
[국내뉴스]
김정남 암살사건 다룬 다큐, 예술영화 불인정 논란
김정남 암살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암살자들>이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로부터 예술영화 불인정을 통보받자 이에 반발하고 나섰다. <암살자들>의 공동 배급사인 더쿱과 왓챠, 제공사인 kth는 6월7일 입장문을 발표하고 <암살자들>의 예술영화 불인정 사유를 영진위에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지난 5월 17일, 영화의 공동 배급
글: 조현나 │
2021-06-07
-
[디스토피아로부터]
[김겨울의 디스토피아로부터] 연구 결과를 연구하기
얼마 전, 관심 있던 책의 광고를 읽다 호기심이 푸시시 식어버렸다. 필립 짐바르도의 ‘스탠퍼드 교도소 실험’을 가져와 인간의 가학성에 대한 주장의 근거를 대고 있었기 때문이다. 필립 짐바르도가 1971년 행했던 이 실험은 평범한 스탠퍼드대학교 학생들이 무작위로 감옥의 간수와 죄수 역할이 주어지자, 역할에 충실하다 못해 간수들은 가학적인 폭력을 가하고 죄수
글: 김겨울 │
2021-06-10
-
[후아유]
[WHO ARE YOU] '낫아웃', 송이재
올해 전주국제영화제에서 3관왕을 차지한 화제작 <낫아웃>은 고교 야구 유망주인 광호(정재광)의 여정을 그린다. 광호는 야구를 계속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가짜 휘발유 배달 아르바이트를 시작하고 그곳에서 수현(송이재)을 만난다. 야구 하나만 바라보고 달리는 광호와 달리 수현은 언제나 한 걸음 뒤로 물러나 상황을 관망하고, 결정적인 순간 광호가 선
글: 조현나 │
사진: 오계옥 │
2021-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