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스토피아로부터]
[홍기빈의 클로징] 아나키즘의 유혹
아나키즘. 한때 ‘무정부주의’로 번역되었던 이 말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파괴, 테러, 방화, 무질서 등 부정적인 의미를 떠올리게 한다. 아나키즘은 19세기 이래로 폭넓은 의미의 사회주의운동의 한 조류로서 장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아는 이들도 이를 공산주의 이상으로 과거의 유물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자유주의, 사회주의, 파시즘, 민족주의
글: 홍기빈 │
2024-08-29
-
[시네마 오디세이]
[이도훈의 영화의 검은 구멍] 영화의 끝없는 표류, 디지털 롱테이크가 부른 대항해의 시대
리얼리티를 확보하기 위한 연출 방식 중 하나였던 롱테이크의 지위가 전과는 사뭇 달라졌다. 디지털카메라의 기록 능력이 향상되면서 아바스 키아로스타미, 차이밍량, 아피찻풍 위라세타꾼, 페드로 코스타처럼 이미지의 정적인 흐름을 통해 관객의 관조적 관람을 유발하는 작품, 즉 슬로 시네마(slow cinema)에서 롱테이크가 자주 나타난 바 있다. 그 작품들은 기
글: 이도훈 │
2024-09-04
-
[영화비평]
[비평] 포스트 포르노 시대의 새로운 쇼, <미래의 범죄들>
표층적 차원의 몸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더이상 구경거리가 되지 못하는 미래가 바로 <미래의 범죄들>이 그리는 시대다. 데이비드 크로넌버그는 보디 호러 장르의 <비디오드롬>에서 <엑시스텐즈>에 이르기까지 신체와 기계라는 물질과 그를 통해 보는 환각과 꿈이라는 비물질을 탐구해왔다. 비물질인 환각 이미지마저도 신경전달물질의 이상
글: 유선아 │
2024-09-04
-
[프런트 라인]
[비평] 왜 극장에는 <프랑켄슈타인>이 상영 중이었을까, <트위스터스>
<트위스터스>가 <트위스터>(1996)로부터 빌려온 건 인물의 성격과 갈등 구도만이 아니다. 익히 알려진 영화를 영화 속에 인용하는 방식도 둘의 공통점이다. 주인공이 만든 토네이도 실험기구의 이름이 ‘도로시’라는 데서부터 인용은 이미 시작된다. 도로시는 주디 갈런드가 연기한 <오즈의 마법사>(1939) 주인공 소녀의 이름이다
글: 김소희 │
2024-09-04
-
[김민하의 타인의 우주]
[김민하의 타인의 우주] 주제 없는 사랑
사랑을 할 때 나의 모습을 좋아한다. 호기심을 잔뜩 안고 시작해, 푹 빠져들어 정신없이 헤엄을 치고, 아파하기도 많이 아파하면서 나도 몰랐던 나의 부분들을 포착하게 되는, 이 ‘연애’라는 여정을 통해 많은 것을 깨달았다. 모든 감각이 예민해지고 풍만해지는 이 시기에는, 아이러니하게도 사랑 외의 다른 것들은 들리지도 보이지도 않는다. 그땐 무턱대고 아팠던
글: 김민하 │
2024-09-05
-
[후아유]
[who are you] <한국이 싫어서>, 김뜻돌
세상 모든 돌에는 저마다의 뜻이 있다고 스스로 지은 이름. 김뜻돌로 그는 노래하고, 이제 연기도 한다. 지난해 <한국이 싫어서>가 개막작으로 선정되어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레드카펫을 처음 밟았을 때 “무대에서 늘 보던 관중들이 아닌 영화배우들이 시야에 잡혀서 너무 신기하고 긴장했던” 경험을 천진하게 회고하는 이 뮤지션에게 아직 배우라는 직업은 미지
글: 김소미 │
사진: 최성열 │
2024-08-29
-
[대학탐방]
[인터뷰] 카메라 뒤에서도 자신감 있게, 김채은 정화예술대학교 융합예술학부 연기전공 24학번 재학생
- 신축인 대학로캠퍼스에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지원에 영향을 주었을 것 같다.
그렇다. 새 건물이라는 점뿐만 아니라 캠퍼스를 대학로로 옮겼다는 점이 매력적이었다. 아무래도 대학로가 연극의 중심지다 보니 연계된 활동이 많을 것 같았고 들어와 보니 그러한 움직임이 있어 만족스럽다. 무대연기와 매체 연기를 고루 배울 수 있는 커리큘럼도 마음에 들
글: 이유채 │
사진: 백종헌 │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