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2003 칸 영화제 결산 - 정성일[7]
로우예는 상하이의 시간에 씨줄과 날줄을 그리는 중이다. 1928년 만주에서 연인 사이인 일본인 이타미와 중국 처녀 딩후이(장쯔이)가 헤어진다. 그리고 1930년 상하이. 이타미는 중국 독립군들을 소탕하기 위해 다시 중국으로 돌아오고, 딩후이는 독립군을 위해 일하는 중이다. 물론 로우예답게 이 영화의 제목인 ‘자줏빛 나비’는 맥거핀이다. 나비 무늬의 옷 장식
글: 박은영 │
2003-06-07
-
[스페셜1]
2003 칸 영화제 결산 - 정성일[8]
이마무라 쇼헤이가 뱀장어에서 인간성의 ‘보편적’ 회복을 본다면(<우나기>), 구로사와 기요시는 해파리에게서 무리를 지어다니는 ‘동시대 도쿄’ 젊은이들의 연대를 본다. 전공투세대가 뱀장어에서 왕성한 생식과 집요한 고향 회귀의 본능을 본다면, 버블경제 세대는 해파리에게서 즉물적인 생존본능과 무조건적인 행진만을 희망한다. 그들에게는 두 가지 사인만이
글: 이다혜 │
2003-06-07
-
[스페셜1]
2003 칸 영화제 결산 - 정성일[9]
매우 단순하게 정리되었지만 이 이야기는 그렇게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소쿠로프는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오이디푸스적인 문제로 풀어나가는 것을 거절한다. 차라리 그 둘 사이는 이상하게도 동성애적인 끈으로 칭칭 감겨 있다. <어머니와 아들>에서는 풍경이 중요하다면 <아버지와 아들>에서는 육체, 그 살과 뼈가 만들어내는 힘의 형상이 중요
글: 이다혜 │
2003-06-07
-
[스페셜1]
2003 칸 영화제 결산 - 정성일[10]
독단과 편견으로 뽑은 ‘칸에서 본’ 2003년 10편의 영화이 순위는 내가 마음대로 정한 것이며, 이것은 영화제 수상결과와 아무 상관이 없다(나는 혹시나 영향받을 것을 두려워해서 결과가 발표되기 전에 뽑았다). 이 명단에서 복원판 상영과 회고전은 모두 제외시켰다. 그러니 아쉽지만 펠리니와 파졸리니, <불타버린 시간의 연대기>, 리처드 브룩스, 사
글: 이다혜 │
2003-06-07
-
[스페셜1]
한국영화산업 X-ray 5 - 현장 스탭의 처우개선 [1]
직능조합으로 전문성 향상과 처우개선을!한국영화산업 진단시리즈 5편-무로 현장 스탭들의 처우개선운동 현황과 대안스탭처우개선운동 일지2001년 3월14일 비둘기둥지(http://cafe.daum.net/vidulgi) 개설2001년 4월25일 비둘기둥지의 제안으로 대종상 시상식에서 스탭처우개선을 요구하는 침묵시위2001년 4월 촬영조수협회 구성2001년
글: 남동철 │
2003-06-07
-
[스페셜1]
한국영화산업 X-ray 5 - 현장 스탭의 처우개선 [2]
02. 어떻게 조직력을 만들 것인가?스탭들의 초과된 노동시간에 대한 보상은 여전히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촬영이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도 특별한 수당을 기대하긴 힘들다.(사진은 기사내용과 상관없음)일단 노동법의 보호를 받는 노조를 만든다면 조직이 쉽게 힘을 가질 수 있겠지만 분야별 스탭이 모여 단체를 구성한다고 곧바로 노조로 인정받을 수 있을지
글: 남동철 │
2003-06-07
-
[스페셜1]
김지운 감독이 말하는 <장화,홍련> 제작기 [1]
아… 오늘도 악몽을 꾼다
김지운 감독이 쓴 <장화, 홍련>, 그 식은땀의 기록
"바로 이거야!" 무섭게 추웠던 지난해 어느 겨울날 신작 공포영화의 연출 제의를 덥석 받아든 김지운 감독은 참으로 용감무쌍했다. 부임하는 관리마다 영문 모를 시체가 되어 실려나가는 고장에 자청해서 뛰어든 <장화홍련전>의 철원 부사도 그만큼 담대하지는
글: 권은주 │
2003-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