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제5회 하노이국제영화제⑨] 영화 <디자이너> 배우 디엠 마이, “삶의 굴곡이 많은 여성을 표현해보고 싶다”
지난해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디자이너>라는 베트남영화를 챙겨본 관객이 있을 것이다. 1969년 9대째 운영되는 아오자이 전문점의 딸로 태어났지만, 정작 아오자이에 관심이 없던 뉴이가 2017년으로 시간여행으로 하면서 아오자이의 매력에 눈을 뜨는 이야기다. 디엠 마이가 연기한 헬렌은 뉴이가 2017년으로 왔을 때 만나는 친구로, 패션에 관심이 많고
글·사진: 김성훈 │
2018-11-14
-
[스페셜1]
[제5회 하노이국제영화제⑧] 베트남판 드라마 <태양의 후예> 배우 카 응언, “베트남 최고의 배우가 되고 싶다”
현재 베트남에서 TV를 켜면 ‘베트남판 <태양의 후예>’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배우 카 응언이 원작에서 송혜교가 맡은 주인공으로 결정되면서 이곳에서도 큰 화제가 됐다. 연기 경력이 이제 겨우 드라마 두편째지만, “열심히 노력해 최고의 배우가 되겠다”는 포부만큼은 크다.
-<태양의 후예> 시나리오를 처음 읽었을 때 어땠나.
=
글·사진: 김성훈 │
2018-11-14
-
[스페셜1]
[제5회 하노이국제영화제⑦] 단편경쟁부문 심사위원 리 타이 중 촬영감독 - 관객의 신뢰 얻는 그날까지
단편경쟁부문 심사위원으로 영화제에 참여한 리 타이 중은 베트남을 대표하는 촬영감독이다. 영화 80여편, 드라마 300여편이 그의 손을 거쳤다고 하니 말 다 했다. 심사 회의를 막 마치고 기자를 만난 그는 “영화 볼 시간이 많지 않았음에도 29편의 단편영화들을 다 챙겨봤다”며 “마음에 드는 작품이 있었냐고? 아직은 비밀이다(웃음)”라고 말했다.
-지금까
글·사진: 김성훈 │
2018-11-14
-
[스페셜1]
[제5회 하노이국제영화제⑥] 응오 프엉 란 하노이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베트남영화국 국장, “교육 프로그램을 아낌없이 지원하겠다”
상영관, 마켓 등 영화제가 열리는 어느 장소에서나 그를 볼 수 있었다. 응오 프엉 란 하노이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은 영화제 기간 내내 사람 챙기랴, 행사 챙기랴, 사방팔방으로 뛰어다녔다. 영화평론가이자 베트남영화국 국장이기도 한 그를 만나 올해 영화제와 관련된 얘기를 나눴다.
-올해 영화제는 계획대로 잘되고 있는 것 같나.
=영화제 개막 전부터 상영작
글·사진: 김성훈 │
2018-11-14
-
[스페셜1]
[제5회 하노이국제영화제⑤] 급성장하는 베트남 영화계 · 영화인들
베트남 하노이 하면 가장 먼저 뭐가 떠오르는가?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는 호수? 베트남 최초로 아시안게임 축구 4강에 오른 박항서 감독의 베트남 축구국가대표팀? 베트남전쟁 때 집집마다 팠다는 벙커(땅굴)? 쌀국수, 분짜, 반미 같은 베트남의 인기 음식들? 모두 맞는 얘기다. 이제는 여기에 하노이국제영화제도 추가해야 할 듯하다. 최근 급성장하는 베트남 영
글·사진: 김성훈 │
2018-11-14
-
[스페셜1]
[제31회 도쿄국제영화제④] 히사마쓰 다케오 도쿄국제영화제 페스티벌 디렉터 - 편견 없는 영화제를 만들고 싶다
히사마쓰 다케오 도쿄국제영화제 페스티벌 디렉터는 격의 없는 사람이었다. 올해로 두 번째 임기를 맞은 그는 외신 기자들과의 만남을 기꺼이 즐기며 자신이 제시한 ‘소통 강화’라는 비전을 몸소 실천했다.
-페스티벌 디렉터로서 두 번째 해를 맞았다. 올해는 어떤 목표와 계획을 세웠나.
=지난해 페스티벌 디렉터로서 세 가지 비전- 확장하는(Expansive
글: 이주현 │
2018-11-14
-
[스페셜1]
[제31회 도쿄국제영화제③] <더 건> 다케 마사하루 감독 - 도구에 집착하는 현대인들에 주목했다
<더 건>은 <백엔의 사랑>(2014)을 만든 다케 마사하루 감독의 신작이다. 우연히 총 한 자루를 손에 넣은 대학생 도루(무라카미 니지로)가 총에 집착하게 되는 이야기로, 흑백의 명암을 인상적으로 활용해 인물의 심리를 집요하게 파헤친다. 다케 마사하루 감독은 <더 건>으로 최우수 일본 감독상을 수상했다.
-나카무라 후
글: 이주현 │
2018-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