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영화평론가 정성일, 귀여니를 만나다 - 인터뷰 지상중계 [2]
힘되는 네티즌(^^v), 무서운 네티즌(-_-;;)
정성일 l 불편한 질문일 수도 있는데 네편 다 이야기 전체를 놓고 보면 이야기 균형감각은 참 불균질해요. 하지만 귀여니 최대의 장점은 심금을 울리는 상황을 잘 만들어요. ‘절대’ 명장면이라고 할까?
귀여니 l 구성 면에서 미약한 걸 알아요. 국어성적이 뛰어난 것도 아니었구요. (ㅜ.ㅜ) 글을 많이
글: 김혜리 │
2004-08-03
-
[스페셜1]
영화평론가 정성일, 귀여니를 만나다 - 인터뷰 지상중계 [1]
두 사람은 모두 긴장해 있었다. 갑작스런 귀여니의 여행으로 부랴부랴 앞당겨 이루어진 만남의 자리에서, 귀여니 팬클럽 회원인 정성일 영화평론가는 책 속표지에 작가의 사인을 받을 준비를 하고 있었고, 작가 귀여니는 오늘의 인터뷰어가 연초에 <씨네21>에 쓴 ‘인터넷 소설의 영화화’에 대한 심오한 글의 기억을 떠올리며 각오를 다잡고 있었다. “백
글: 김혜리 │
2004-08-03
-
[스페셜1]
영화평론가 정성일, 귀여니를 만나다
두둥! 여름방학이다. <그놈은 멋있었다>와 <늑대의 유혹>이 같은 날 개봉했다. ‘귀여니 월드’는 드디어 아니 기어코, 스크린으로 열려버리고 말았다. 독자들의 욕구와 소녀 작가의 환상 사이로, 깜박이는 커서를 앞으로 앞으로 외롭게 밀어갔던 인터넷 연재물은, 종이책에 활자로 또박또박 박히더니, 이제 영화가 되어버렸다. 쿠궁! 영화는
정리: 김혜리 │
2004-08-03
-
[스페셜1]
철학이 있는 SF 블록버스터 <아이,로봇>의 모든 것 [2]
3. 로봇을 둘러싼 다양한 인간 군상
<아이, 로봇>의 캐릭터들
<아이, 로봇>은 제목과 로봇공학 3원칙을 제외하면 아시모프의 소설집과 거의 관계가 없다. 그러나 앨프리드 래닝과 수잔 캘빈, U.S. 로보틱스는 많은 이들에게 친숙한 이름이다. 원작에서 캘빈은 U.S. 로보틱스에서 일하는, 개척자에 해당하는 로봇공학자 래닝의 세미
글: 김현정 │
2004-07-27
-
[스페셜1]
철학이 있는 SF 블록버스터 <아이,로봇>의 모든 것
어떤 작가들은 한권의 책을 쓰는 데 만족하지 못하고 하나의 세계를 창조하려 한다. 아이작 아시모프는 그런 작가였다. 그는 <로봇>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로 아직 오지 않은 역사를 내다보았다. 두 시간에 불과한 영화는 아시모프로부터 로봇을 물려받았지만, 섣불리 그 장대한 시간의 중심을 건드리지는 못했다. 그러나 <아이, 로봇&g
글: 김현정 │
2004-07-27
-
[스페셜1]
‘럭셔리 멜로’ <파리의 연인> 열풍 분석 - 인기 원인은?
돌아와서 정씨는 사견과 인터뷰를 바탕으로 <발리에서 생긴 일>의 인기가 <파리의 연인>으로 어떻게 확장된 것인지 그 맥락을 생각해본다. <파리의 연인>의 현재 인기몰이를 정리해보기로 한다. 이하는 정씨 생각.
첫 번째, ‘엑조티즘’(이국성)이다. 두 드라마를 제작한 SBS 특별기획팀뿐 아니라 타방송사에서도 이국에서의 사
글: 정한석 │
2004-07-27
-
[스페셜1]
‘럭셔리 멜로’ <파리의 연인> 열풍 분석 - 김양 프로듀서 인터뷰
<발리에서 생긴 일>은 어떻게 기획된 것이었나. 김기호, 이선미 작가의 이름을 딴 이김 제작단에서 쓰여진 시놉이 있었다. 처음 제목은 <청춘에 건배를>이었다. 기획 자체가 다른 것들과 좀 달랐다. 4명의 이야기인데, 드라마가 시청자들이 따라가기에 굉장히 불편하게 구성되어 있었고, 지금까지 없었던 심리멜로였다. 그런데 오히려 이
글: 정한석 │
2004-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