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21 리뷰]
무척 간결하고 담백하며 우아한 무협영화 <검우강호>
명나라 시대, 800년 전 사라진 라마의 유해를 차지하기 위해 전국의 검객이 모여든다. 하지만 유해의 일부를 한 사찰에 맡겨놓고 속세를 떠난 증정(양자경)은 얼굴도 바꾸고 자신의 정체를 숨긴 채 살아간다. 한때 흑석파의 자객이었던 증정을 찾기 위해 흑석파의 우두머리인 왕륜(왕학기)을 비롯해 나머지 킬러들인 옥(서희원), 레이빈(여문락), 마법사(대립인)는
글: 주성철 │
2010-10-13
-
[씨네21 리뷰]
실제로 오페라를 보는 듯한 영화 <돈 조반니>
카를로스 사우라의 영화를 보면 늘 눈과 귀가 즐겁다. 팔순을 바라보는 스페인의 이 노장은 1980년대 이후 정치적 입장에서 벗어나 스페인의 영혼이 담긴 춤과 음악, 예술이라는 주제를 줄기차게 탐구해왔다. 그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작품 <탱고>를 비롯하여 수많은 영화에서 플라멩코, 스페인의 화가 고야, 포르투갈의 음악 파두 등을 적절히 배치하며
글: 김태훈 │
2010-10-13
-
[씨네21 리뷰]
인기 라디오 DJ와 연쇄살인마 스토커가 벌이는 대결 <심야의 FM>
심야의 라디오는 방송이라기보다 사적 밀담에 가깝다. 인기 라디오 DJ와 연쇄살인마 스토커가 벌이는 2시간 동안의 대결을 박진감있게 그린 <심야의 FM>은 환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는 한 남자를 통해 환상이 현실로 새어들어올 때의 일그러짐을 보여준다. 5년 동안 <심야의 영화음악실>이라는 라디오를 진행해온 DJ 고선영(수애)은 두딸의
글: 송경원 │
2010-10-13
-
[씨네21 리뷰]
구식 휴대폰을 소재로 해 구식 공포를 답습하는 함정 <엔드 콜>
“사신님, 사신님, 통화시간만큼 제 수명을 드릴 테니 소원을 들어주세요.” 밤 열두시, 특정 번호로 전화를 걸어 다음과 같이 말하면 사신이 소원을 들어준다는 소문이 여고생들 사이에 퍼진다. 아버지가 지긋지긋한 사요코(우스다 아사미)는 사신의 번호로 전화를 걸고, 그녀의 소원대로 아버지는 죽는다. 그리고 또 다른 10대 소녀들-변태 선생님을 증오하는 소녀와
글: 장영엽 │
2010-10-13
-
[씨네21 리뷰]
서로 다른 종교들 사이의 진리 <할>
트렌드라고까지 할 순 없겠지만, 최근 개봉한 다큐멘터리 중 종교를 주제로 삼은 작품이 적지 않다. 지난해 <소명>에 이어 올해에도 <소명2: 모겐족의 월드컵> <위대한 침묵> <회복> <잊혀진 가방> <울지마, 톤즈> 등이 관객과 만났다. “불교의 선종에서 스승이 참선하는 사람을 인도할 때
글: 이영진 │
2010-10-13
-
[씨네21 리뷰]
가족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는 영화 <22블렛>
영화는 인자한 얼굴을 하고 있는 여인의 주름진 얼굴로 시작한다. 그녀의 곁에는 자신의 주름진 뺨을 천진난만한 표정으로 어루만지는 손자와 그녀를 부드럽게 안아주는 늙은 아들이 있다. 이들 부자는 여인이 만들어준 음식을 받아 길을 나선다. 그리고 영화는 해변에서 연을 날리며 노는 아들과 그와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아내, 이 모습을 온화한 표정으로 바라보
글: 김태훈 │
2010-10-13
-
[씨네21 리뷰]
사랑은 50년의 기다림이 아닌 현재다. <레터스 투 줄리엣>
좋은 로맨스영화를 보고 나면 심장에 조그맣게 구멍이 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무언가가 심장에 콕 박히고, 무언가가 콕 박힐 때 난 조그만 구멍으로 바람이 들어왔다가 빠져나가는 느낌. 구멍을 통해 환상이 새로 생겨나고 그 환상은 커졌다 작아졌다를 반복하다 마음에 작은 문양을 새긴다. 싱숭생숭하다는 말은 이렇게 심장에 구멍이 나 별별 환상을 품게 되는 상태
글: 이주현 │
2010-10-06